KR200316678Y1 - 불상 유골함 - Google Patents

불상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678Y1
KR200316678Y1 KR20-2003-0008827U KR20030008827U KR200316678Y1 KR 200316678 Y1 KR200316678 Y1 KR 200316678Y1 KR 20030008827 U KR20030008827 U KR 20030008827U KR 200316678 Y1 KR200316678 Y1 KR 200316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buddha
mounting hole
bo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이만
전인창
유정남
Original Assignee
전인창
유정남
권이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창, 유정남, 권이만 filed Critical 전인창
Priority to KR20-2003-0008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6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6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2Altars; Religious shrines; Fonts for holy water; Crucifix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한 시신의 안장하는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불상 모양으로 제작된 유골함바디와; 상기 유골함바디 안에 장착되는 유골함을 가지고 있다.
상기 유골함 바디는 상기 유골함을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는 유골함장착홀과; 상기 유골함을 장착한 후 유골함장착홀을 폐쇄하기 위한 유골함장착홀도어를 가지고 있으며, 불교에서 석가의 위촉을 받아, 그가 죽은 뒤 미래불인 미륵불(彌勒佛)이 출현하기까지의 무불(無佛)시대에 6도(六道)의 중생을 교화·구제한다는 보살인 지장보살의 형상을 사용한다.
상기 유골함은 상기 유골함장착홀에 삽입되는 형태로서, 유골함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 유골함마개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불상 유골함{Buddha figure having urn}
본 고안은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우리나라의 장묘 문화에서, 장묘 시 묘지를 구하는 것에 애로점이 많이 있고, 화장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감에 따라 점차적으로 화장의 보급률의 늘어나고 있다.
도 1은 종래 유골함의 사시도이고, 종래의 유골함(10)은 원통형이나, 육면체의 용기로서, 중량이 무거운 옥이나 석재를 통해 제작되고, 유골함 뚜꺼의 자체 중량으로 외부와 공기를 차단 시켜 화장한 유골을 담아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유골을 유골함(10)에 보관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골함(10)에 습기가 침투하여 안치된 유골에 곰팡이가 생길 뿐만 아니라, 이러한 습기와 더불어 침투한 벌레들이 유골함(10)에서 번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불교에서 종교적인 이유에서 화장한 유골을 유골함(10)에 안치할 경우, 불상의 앞에 유골함을 놓게 되어있어 자리를 많이 차지하고, 불상과 유골함을 각각 마련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골함에 습기가 침투하지 못하고, 유골함에 벌레들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유골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타 다른 목적이나 효과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유골함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개략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 중 유골함의 개략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유골함 20 : 유골함바디
30 : 유골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불상 모양으로 제작된 유골함바디와; 상기 유골함바디 안에 장착되는 유골함을 가지고 있다.
상기 유골함 바디는 상기 유골함을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는 유골함장착홀과; 상기 유골함을 장착한 후 유골함장착홀을 폐쇄하기 위한 유골함장착홀도어를 가지고 있으며, 불교에서 석가의 위촉을 받아, 그가 죽은 뒤 미래불인 미륵불(彌勒佛)이 출현하기까지의 무불(無佛)시대에 6도(六道)의 중생을 교화·구제한다는 보살인 지장보살의 형상을 사용한다.
상기 유골함은 상기 유골함장착홀에 삽입되는 형태로서, 유골함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 유골함마개를 가지고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 중 유골함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불상 모양으로 제작된 유골함바디(20)와, 상기 유골함바디(20) 안에 장착되는 유골함(30)을 가지고 있다.
상기 유골함바디(20)는 유골함(30)을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는 유골함장착홀(22)과, 유골함(30)을 장착한 후 유골함장착홀(22)을 폐쇄하기 위한 유골함장착홀도어(미도시)를 가지고 있다.
상기 유골함장착홀도어(미도시)는 불상모양의 유골함바디(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유골함바디(20)에 장착된 유골함(30)이 유골함바디(20)에서 이탈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골함(30)은 상기 유골함장착홀(22)에 삽입되는 형태로서, 유골함(30)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 유골함마개(32)를 가지고 있다.
상기 유골함마개(32)는 화장된 유골을 유골함에 안치하고 난 후 공기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나사산(34)을 통해 유골함(30)에 결합된다.
상기 유골함바디(20)의 형상은 불상 모양으로서, 불교에서 죽은자를 보살피는 보살인 지장보살의 형태로 제작되어, 불심을 갖은 사람들에게 위안을 주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설치과정을 도 2를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화장한 시신의 유골을 유골함(30)에 담기 위하여, 유골함(30)의 유골함마개(32)를 개봉하고, 개봉된 곳을 통해 유골함(30)에 화장한 유골을 담는다. 그리고 개봉했던 유골함마개(32)를 유골함(30)에 결함시켜 외부의 공기가 유골함(30)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후 밀봉돈 유골함(30)을 유골함바디(20)에 안치하기 위하여, 유골함장착홀도어(미도시)를 열고, 유골함(30)을 유골함바디(20) 안에 장착한 후 유골함장착홀도어를 닫아서 유골함(30)이 유골함바디(20)에서 이탈되지 않게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이며, 본 고안의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변화와 변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불상유골함은 화장한 유골을 담은 유골함에 습기나 기타의 불순물이 침투하지 못하게 유골함을 밀봉함으로서, 종래에 발생하여 왔던 곰팡이나 벌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불상의 앞에 유골함이 놓여서 자리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와, 불상과 유골함을 각각 마련해야 하는데 비해, 본 고안에 의한 불상유골함은 유골함을 불상의 내부에 위치하게 하여 종교적인 요구도 만족시킬 뿐만 아니라 장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불상 모양으로 제작된 유골함바디와; 상기 유골함바디 안에 장착되는 유골함을 포함하는 불상유골함에서,
    상기 유골함 바디는 상기 유골함을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는 유골함장착홀과; 상기 유골함을 장착한 후 유골함장착홀을 폐쇄하기 위한 유골함장착홀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유골함은 상기 유골함장착홀에 삽입되는 형태로서, 유골함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 유골함마개를 포함하는 불상유골함
KR20-2003-0008827U 2003-03-25 2003-03-25 불상 유골함 KR200316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827U KR200316678Y1 (ko) 2003-03-25 2003-03-25 불상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827U KR200316678Y1 (ko) 2003-03-25 2003-03-25 불상 유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678Y1 true KR200316678Y1 (ko) 2003-06-18

Family

ID=4940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827U KR200316678Y1 (ko) 2003-03-25 2003-03-25 불상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6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2602A (en) Submersible crematory urn
US8087132B2 (en) Vessel for interring cremated remains and associated methods
CA2838444C (en) Cremated remains remembrance and burial system
US6785938B1 (en) Pet crematory urn
US20060179623A1 (en) Degradable urn
US8074329B2 (en) Scatter urn and cremation urn containing same
US5659932A (en) Burial capsule with anti-decay system
KR200316678Y1 (ko) 불상 유골함
KR101862317B1 (ko) 책 구조형 유골 안치함
US869518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human and animal remains
Aldred The tomb of Akhenaten at Thebes
KR200399295Y1 (ko)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KR20120103061A (ko) 유골함
TWI265023B (en) Cinerary urn
US274575A (en) Geoege s
EP1175882A1 (en) Cinerary container
JP2000139676A (ja) 体内に遺骨の安置が可能な構造を具備した仏像。
JP3035847U (ja) 仏 壇
KR200281069Y1 (ko) 결로 방지재가 내장된 이중벽 유골함
KR960005313Y1 (ko) 종교의식을 가진 납골함
JP3057377U (ja) 納骨室付位牌
KR200343043Y1 (ko) 고인의 실물형상이 구비된 납골함
CN201154054Y (zh) 可永久保存逝者头发的骨灰盒
KR200347823Y1 (ko) 수납 통을 갖는 금속재 비석.
US20230193648A1 (en) Grave Marker System With Concealed Time Caps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