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468Y1 - 애완동물용 모자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468Y1
KR200316468Y1 KR20-2003-0009683U KR20030009683U KR200316468Y1 KR 200316468 Y1 KR200316468 Y1 KR 200316468Y1 KR 20030009683 U KR20030009683 U KR 20030009683U KR 200316468 Y1 KR200316468 Y1 KR 200316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head
hat
band
fix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이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환 filed Critical 이인환
Priority to KR20-2003-0009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4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4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아지나 고양이 등 애완동물의 머리에 착용하여 세련된 패션을 창출하며, 자외선으로부터 애완동물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애완동물의 머리둘레 전면에 착용되어 햇빛의 자외선으로부터 눈과 얼굴을 차단하기 위한 일정넓이의 투명창으로 형성된 전면차양과, 다양한 무늬모양 또는 자수가 형성된 직물지로서 상기 전면차양의 내측선단을 마감하는 테두리부에 봉제 형성되어 머리 전면을 커버하되 그 양 측면으로 애완동물의 귀가 노출되는 노출구가 절개 형성되며 그 후단에는 일정길이 절첩된 상태로 고정되는 부착수단이 형성된 머리커버와, 상기 전면차양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모자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애완동물의 목 또는 머리 뒤로 묶어 고정하기 위한 일정길이의 고정밴드 및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그 중간이 상기 머리커버 후단에 형성된 부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고 그 양측단은 결합공이 형성되도록 절첩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고정밴드가 관통 결합된 상태로 애완동물의 귀 뒤쪽에 착용되는 보조밴드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모자{CAP FOR PET}
본 고안은 애완동물의 머리에 착용하여 세련된 패션을 창출하며, 자외선으로부터 애완동물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모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최근에는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이 단순히 기르는 동물의 수준을 지나 가족의 의미로서 발전되고 있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특히, 강아지나 고양이에 대한 성향은 실내에서 거의 모든 생활을 함께 공유하는 정도로 발전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각종 애완동물에 대한 생활용품 또는 식품들이 파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애완동물에 관련된 의복, 액세서리, 집, 취수기, 미용기구 및 변기통 등 많은 고안들이 제안되고 있는바 특히, 애완동물이 착용할 수 있는 의복이나 액세서리에 관련되어 가장 많은 소비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많은 신생 사업들이 성업하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그러나 종래에 애완동물의 머리에 패션을 창출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수건을 이용하여 애완동물의 머리에 묶거나 유아용 모자를 애완동물의 머리에 착용시키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이에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수건을 머리에 묶어 착용시킨 경우에는 애완동물이 활동하면서 쉽게 풀어짐으로서 분실될 위험이 클 뿐만 아니라, 착용한 수건이 머리 주위로 돌아가 눈을 가림으로서 방향감각을 잃고 그로 인한 잦는 충돌 및 상해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유아용 모자를 착용시킬 경우에는 애완동물의 귀를 덮어버리게 됨으로서 애완동물들이 불편해하며, 만약 귀를 덮지 않게 되면 쉽게 떨어져 사실상 착용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애완동물들은 대부분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한 여름철 장시간 야외로 외출할 경우 강한 자외선에 의하여 시력이 저하될 위험이 있다는 것은 이미 기정사실이고, 이에 대한 주위를 요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이에 대한 궁극적인 대책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애완동물이 간편하게 착용하여 패션을 창출하고 더불어 외출 시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시력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모자가 제공되지 않았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애완동물이 활동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간편하게 착용하여 새로운 패션을 창출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모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애완동물이 장시간 외출 시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시력 저하 등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모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모자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모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모자의 결합부재를 보인 개략도로서,
도 4a는 벨크로 테이프가 적용된 개략도.
도 4b는 후크가 적용된 개략도.
도 4c는 단추가 적용된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모자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전면차양 12:투명창
14: 테두리 20: 머리커버
22: 노출구 24: 부착수단
30: 고정밴드 32: 벨크로 테이프
34: 후크 36: 단추
40: 보조밴드 42: 결합공
44: 길이조절부재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애완동물의 머리둘레 전면에 착용되어 햇빛의 자외선으로부터 눈과 얼굴을차단하기 위한 일정넓이의 투명창으로 형성된 전면차양과,
다양한 무늬모양 또는 자수가 형성된 직물지로서 상기 전면차양의 내측선단을 마감하는 테두리부에 봉제 형성되어 머리 전면을 커버하되 그 양 측면으로 애완동물의 귀가 노출되는 노출구가 절개 형성되며 그 후단에는 일정길이 절첩된 상태로 고정되는 부착수단이 형성된 머리커버와,
상기 전면차양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모자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애완동물의 목 또는 머리 뒤로 묶어 고정하기 위한 일정길이의 고정밴드 및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그 중간이 상기 머리커버 후단에 형성된 부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고, 그 양측단은 결합공이 형성되도록 절첩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고정밴드가 관통 결합된 상태로 애완동물의 귀 뒤쪽에 착용되는 보조밴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면차양의 투명창은 자외선을 차단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의 양 끝에는 착탈이 용이하며, 선택적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더 구성되는 바, 상기 고정밴드의 양 끝에 결합 형성된 결합부재는 벨크로 테이프, 후크, 단추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밴드의 일측 적소에는 애완동물의 머리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하도록 길이조절부재가 결합 형성되며, 상기 고정밴드 또는 보조밴드는 신축성 밴드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특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모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모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전면차양(10)과 머리커버(20)와 고정밴드(30) 및 보조밴드(40)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차양(10)은 일정넓이로 형성되어 애완동물의 머리둘레 전면에 착용된 상태에서 햇빛으로부터 눈과 얼굴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전면차양(10)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햇빛의 자외선을 차단함과 동시에 전방을 투시하도록 투명창(12)으로 형성되는바, 투명창의 외주연에는 직물 테두리부(14)가 일체로 봉제되어 마감된다. 그러나 전면차양(10)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 되지 않고 연성의 합성수지판 외부에 직물지를 커버하여 봉제한 일반형태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머리커버(20)는 다양한 무늬모양 또는 자수가 형성된 직물지로서 전면차양(10)의 상단을 마감하는 직물 테두리부(14)에 일체로 봉제 형성되어 머리 전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커버(20)의 양 측면에는 애완동물이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양측 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구(22)가 절개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20)의 후단에는 일정길이 절첩된 상태로 고정되는 부착수단(24)이 형성된다. 즉, 상기 부착수단(24)은 머리커버(20)의 내측면 후단에 벨크로 테이프가 봉제되고 이를 접었을 때 접하는 머리커버(20) 내측면 적소에 또 다른 벨크로 테이프가 봉제됨으로서 상호 접착되고, 이를 통해 보조밴드(4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밴드(30)는 전면차양(10)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목 또는 머리 뒤로 묶어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즉, 전면차양(10)의 투명창(12)을 마감하는 테두리부(14)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상기 보조밴드(40)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그 중간이 머리커버 후단에 결합되고, 그 양측단은 결합공(42)이 형성되도록 일정길이 절첩 고정되어 그 결합공(42)을 통해 고정밴드(30)가 관통 결합된다. 이와 같은 보조밴드(40)는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노출구(22)를 통해 노출된 애완동물의 귀 뒤쪽으로 착용된다.
이때, 상기 고정밴드(30) 및/또는 보조밴드(40)는 신축성 밴드로 형성하여 애완동물의 머리 크기에 따라 신축적으로 착용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모자의 적소에는 인식수단(50)이 부착되는 바, 상기 인식수단(50)은 타인을 통해 모자를 착용한 애완동물의 주소 및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식별내용이 기재되는 것으로서 모자로부터 유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공(42)에 고리 형태로 결합된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모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모자의 결합부재를 보인 개략도로서,
도 4a는 벨크로 테이프가 적용된 개략도이고,
도 4b는 후크가 적용된 개략도이며,
도 4c는 단추가 적용된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살펴본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모자는 고정밴드(30)의 양 끝에 착탈이 용이하며, 선택적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더 구성되는 바, 상기 고정밴드(30)의 양 끝에 결합 형성된 결합부재는 벨크로 테이프, 후크, 단추로 이루어진다.
즉, 도 4a에 도시된 결합부재는 일측 고정밴드(30)와 타측 고정밴드(30)가 교차하여 접하는 양 끝 접촉면에 벨크로 테이프(32)가 각각 봉제 형성된 것으로서 착탈이 용이하고, 벨크로 테이프의 접촉면을 조절하여 부착함으로서 고정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결합부재는 후크(34)를 이용한 것으로서, 고정밴드(30)의 양 끝에 착탈식 후크(34)가 부착 결합되어 착탈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도 4c에 도시된 결합부재는 일측 고정밴드에 다수개의 단추공이 형성되고 타측 고정밴드(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추(36)가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다수개의 단추공에 선택적으로 단추(36)를 끼움으로서 고정밴드(30)의 길이조정 및 착탈이 간편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모자의 보조밴드(40)에는 길이조절부재(44)가 결합됨으로서 애완동물의 머리 크기에 따라 길이를 가변하여 용이하게 착용하도록 형성되는 바, 상기 길이조절부재(44)는 일반적인 고리형태의 구조로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착용 및 각 구성간의 유기적인 구조관계를 강아지에 착용시킨 예로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애완동물용 모자의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애완동물용 모자의 머리커버(20)가 강아지의 머리 정수리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고 전면차양(10)을 강아지 머리둘레의 전면에 위치시켜 강아지의 머리 및 얼굴이 커버되도록 한다.
이때, 머리커버(20)의 노출구(22)로 노출된 강아지 귀 뒤쪽으로 보조밴드(40)가 위치되도록 하여 알맞은 길이로 조절함으로서 편안한 상태로 착용되도록 하며, 이후 고정밴드(30)를 강아지의 목 아래쪽으로 묶어 착용 완료한다.
이와 같이 강아지의 머리에 착용시킨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모자는 머리커버(20)의 노출구(22)에 양측 귀가 노출된 상태로 보조밴드(40)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쉽게 벗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모자가 돌아가거나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의 편리성이 보장된다. 더욱이 강아지의 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모자를 장시간 착용하여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며, 외부 소리에 대하여 즉각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성 또한 보장되는 것이다.
한편, 머리커버(20)에는 다양한 무늬모양 또는 색상이나 자수를 형성함으로서 착용하는 강아지와 어울리는 것을 선택하여 새로운 패션의 창출이 가능하며, 또한 투명창(12)에 투명 색지를 부착하여 다양한 색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것은 일반적인 행태로서 가능하다. 따라서 강아지는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모자를 착용함으로서 전면차양(10)의 투명창(12)을 통하여 전방 및 좌·우측을 주시함과 동시에 햇빛의 자외선으로부터 시력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머리커버(20)와 투명창(12)을 통하여 다양한 패션의 창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30) 및 보조밴드(40)는 결합부재 및 길이조절부재(44)에 의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착용하는 강아지의 머리 크기에 맞춰 편안한 상태로 착용되며 특히, 상기 고정밴드(30) 및 보조밴드(40)의 재질을 신축성 소재로 사용할 경우 밴드 자체의 신축성에 의하여 착용이 매우 간편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애완동물용 모자는 애완동물에게 착용이 간편하며 착용한 애완동물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활동에 지장이 없는 상태로 착용하여 새로운 패션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완동물이 장시간 외출 시 강한 자외선으로부터 시력 저하 등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8)

  1. 애완동물의 머리둘레 전면에 착용되어 햇빛의 자외선으로부터 눈과 얼굴을 차단하기 위한 일정넓이의 투명창으로 형성된 전면차양;
    다양한 무늬모양 또는 자수가 형성된 직물지로서 상기 전면차양의 내측선단을 마감하는 테두리부에 봉제 형성되어 머리 전면을 커버하되 그 양 측면으로 애완동물의 귀가 노출되는 노출구가 절개 형성되며 그 후단에는 일정길이 절첩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부착수단이 형성된 머리커버;
    상기 전면차양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모자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애완동물의 목 또는 머리 뒤로 묶어 고정하기 위한 일정길이의 고정밴드; 및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그 중간이 상기 머리커버 끝단에 형성된 부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고, 그 양측단은 결합공이 형성되도록 절첩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고정밴드가 관통 결합된 상태로 애완동물의 귀 뒤쪽에 착용되는 보조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차양의 투명창은 자외선을 차단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폴리카보네이트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양 끝에는 착탈이 용이하며, 선택적으로 길이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양 끝에 결합 형성된 결합부재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양 끝에 결합 형성된 결합부재는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의 양 끝에 결합 형성된 결합부재는 일측 고정밴드에 다수개의 단추공이 형성되고 타측 고정밴드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추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자.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밴드의 일측 적소에는 애완동물의 머리 크기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하도록 길이조절부재가 결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밴드 또는 보조밴드는 신축성 밴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모자.
KR20-2003-0009683U 2003-03-31 2003-03-31 애완동물용 모자 KR200316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683U KR200316468Y1 (ko) 2003-03-31 2003-03-31 애완동물용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683U KR200316468Y1 (ko) 2003-03-31 2003-03-31 애완동물용 모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7467A Division KR20030031057A (ko) 2003-03-20 2003-03-20 애완동물용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468Y1 true KR200316468Y1 (ko) 2003-06-18

Family

ID=49408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683U KR200316468Y1 (ko) 2003-03-31 2003-03-31 애완동물용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4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9766A1 (it) * 2018-10-24 2020-04-24 Barbara Corti Fascia contenitiva per animali, in particolare per cani e gatti
KR200497389Y1 (ko) * 2023-03-02 2023-10-25 도혜숙 애완동물용 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9766A1 (it) * 2018-10-24 2020-04-24 Barbara Corti Fascia contenitiva per animali, in particolare per cani e gatti
KR200497389Y1 (ko) * 2023-03-02 2023-10-25 도혜숙 애완동물용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3925A (en) Ornamental horns and the like with mechanism for selective attachment to headgear
KR200316468Y1 (ko) 애완동물용 모자
US20100294301A1 (en) Hair retaining device
JP3219279U (ja) 日除け帽子
JP3110940U (ja) 帽子
KR100785904B1 (ko) 장신구가 탈부착되는 모자
KR200456313Y1 (ko) 착탈부가 은폐된 뒷목가리개를 구비한 모자
KR20030031057A (ko) 애완동물용 모자
JP3093350U (ja) マスク付着型紫外線遮断帽子
KR200331615Y1 (ko) 애완견용 차양모자
JP3116103U (ja) 帽子
JP4379393B2 (ja) 垂れ幕型日焼け防止帽子
JP3202931U (ja) 日除け帽子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KR200424300Y1 (ko) 햇빛 차단용 의복
KR200157589Y1 (ko) 모자
KR200287872Y1 (ko) 착탈식 모자
KR101644816B1 (ko) 의복 부착 모자용 서포트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의복 부착 모자 어셈블리
KR20090011468U (ko) 방충용 낚시모자
KR101052741B1 (ko)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
JP3217834U (ja) 日除け帽子
KR200418518Y1 (ko) 차양모
KR200331614Y1 (ko) 애완견용 차양모자
KR200453288Y1 (ko) 장식부재 착탈에 의한 양면 사용 차양모
KR200375285Y1 (ko) 동물형 방한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