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299Y1 - 탈수 촉진장치를 가진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원심분리기 - Google Patents

탈수 촉진장치를 가진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원심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299Y1
KR200316299Y1 KR20030005845U KR20030005845U KR200316299Y1 KR 200316299 Y1 KR200316299 Y1 KR 200316299Y1 KR 20030005845 U KR20030005845 U KR 20030005845U KR 20030005845 U KR20030005845 U KR 20030005845U KR 200316299 Y1 KR200316299 Y1 KR 200316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crew conveyor
slurry
dehydrat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058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인숙
Original Assignee
오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인숙 filed Critical 오인숙
Priority to KR200300058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1/2016Driving control or mechanisms; Arrangement of transmission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8Skimmers or scrapers for discharging ; Regulating thereof
    • B04B11/082Skimmers for discharg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7/00Elements of centrifuges
    • B04B7/02Casings; Lids
    • B04B7/04Casings facilitat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83Configuration of liquid outlet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탈수 촉진에 의한 원심분리의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의 탈수 촉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날개(8)가 부착된 회전축(9)의 후반부 중심으로 슬러리 공급관(3)이 관통하고 슬러리 공급관(3)의 개방된 내측단(10)은 회전축(9)의 중간 부위를 방사상으로 관통하게 설치된 스크류 컨베이어(2)가 회전식 원통(1) 내에 동심원상으로 설치되고, 기어박스(13)의 각 출력측에 상기 회전축(8)과 원통(1)의 관축(13)이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수에 약간의 차이를 두고 동일방향으로 고속 회전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원통(1)의 후단에다 액체 배출구(7)의 외곽에 흡입날개(22)가 위치하도록 탈수 촉진장치(20)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수 촉진장치를 가진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 {screwtype centrifugal machine having dehydration promoting device for disposing of slurry}
본 고안은 탈수 촉진에 의한 원심분리의 효율성 제고에 목적을 둔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의 탈수 촉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는 탄두형 회전식 원통 속으로 슬러리를 공급하면서 원통과 그 속에 배치된 스크류 컨베이어를 회전수에 약간의 차이를 두고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슬러리가 고체와 액체로 분리돼 각각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는 고액의 분리가 스크류 컨베이어와 원통의 상호 엇갈린 회전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슬러리가 너무 묽다든지 혹은 슬러리가 너무 된 경우 등 농도에 따라서는 고액의 분리가 비효율인 면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러리의 농도에 관계없이 탈수를 촉진시켜 고액 분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의 과제는, 분리된 액체가 빠져나가는 원통의 배출구측에 고체로부터 분리된 액체의 배출을 재촉하는 탈수 촉진장치를 장착하여 원통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고체로부터 분리된 액체를 흡입하여 보다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서 원심분리의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구성한 탈수 촉진장치를 가진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로 달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탈수 촉진장치를 가진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 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기어박스의 복수 출력측에 원통과 스크류 컨베이어가 동력적 으로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참고도
도 3은 탈수 촉진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통 2: 스크류 컨베이어
3: 슬러리 공급관 6: 고체 배출구
7: 액체 배출구 20: 탈수 촉진장치
22: 흡입날개
도 1에서, 통상의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는 회전식 원통(1)과 스크류 컨베이어(2), 슬러리 공급관(3), 및 구동수단(4)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1)은 슬러리에서 액체가 분리된 고체(케이크)가 배출되는 쪽은 탄두를 닮은 원추부(5)로 되어 있으며, 액체와 분리된 고체는 원추부(5)의 선단에 형성된 고체 배출구(6)로 빠져나가고 고체에서 분리된 액체는 후단에 천공된 액체 배출구(7)를 통해 기외로 배출된다.
스크류 컨베이어(2)는 원통(1) 내에 동심원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원통(1)의 내부 단면의 윤곽을 따라 형성된 이 스크류 컨베이어(2)의 나선형 이송날개(8)는 원통(1)의 후단쪽에서 고체를 걷어 고체 배출구(6)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슬러리 공급관(3)은 스크류 컨베이어(2)의 회전축(9) 후단에서 중앙으로 그 중심을 관통한 후 방사상으로 배치된 개방된 그 내측단(10)을 통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슬러리를 흩뿌리듯이 원통(1)속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도 2와 함께 설명하면, 구동수단(4)은 모터(11)를 동력원으로 하는 기어박스(12)에 내장된 2개의 출력기어에 원통(1)의 관축(13)과 스크류 컨베이어(2)의 회전축(8)을 각기 연결하여 회전수에 약간의 차이를 갖고 동일 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게 한 것이다. 회전은 원통(1)이 스크류 컨베이어(2) 보다도 약간 빠르다. 이를테면, 원통(1)이 2000rpm이면 스크류 컨베이어(2)는 1950rpm 식이다.도 1로 돌아가서, 이러한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에 있어서, 본 고안은 원통(1)의 후단에 탈수 촉진장치(20)를 장착한 것이다. 도 3과 함께 살펴보면 탈수 촉진장치(20)는 원판(21)의 편면에 방사상으로 흡입날개(22)가 부착된 흡입팬이며, 흡입날개(22)가 액체 배출구(7)의 외곽에 위치하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이 탈수 촉진장치(20)는 기판(21)을 원통(1)의 후단에 대고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시켜 원통(1)과 함께 회전토록 한다.
모터(11)를 구동시키면 기어박스(12)는 원통(1)과 스크류 컨베이어(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게 된다. 이렇게 운전중일때 슬러리 공급관(3)으로 슬러리를 공급한다. 슬러리는 슬러리 공급관(3)의 내측단(10)으로 빠져나와 원통(1) 속으로 흩뿌려진다.
슬러리 중에서 비중이 큰 고체는 원통(1)의 하부로 침전되기도 하고 더러는 수면 위 내면에 부착된다. 스크류 컨베이어(2)는 원통(1)의 내주면에 부착된 고체와 침전물을 걷우서 고체 배출구(6)로 이송 배출시킨다. 반면, 고체에서 분리된 액체는 원통(1)의 구조상 자연스레 뒤쪽으로 쏠린다.이렇게 쏠리는 액체는 액체 배출구(7)가 원통(1)의 수위보다도 낮은 곳을 돌아갈 때 빠져나가게 된다. 여기까지는 종전의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의 작용과 마찬가지다.탈수 촉진장치(20)는 원통(1)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원통(1)을 따라 등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탈수 촉진장치(20)가 고속으로 회전할 때는 흡입날개(22)의 내측단 부근은 진공화된다. 이 같은 흡입날개(22)의 내측단에 조장되는 진공화에 의해서 액체 배출구(7)를 통한 원통(1) 내의 공기가 빨려나가게 되는데, 액체 배출구(7)가 원통(1) 내 수위보다도 낮은 곳을 돌아갈 무렵이면 그 액체 배출구(7)로 배출되는 액체는 탈수 촉진장치(20)의 흡입날개(22)의 흡입력에 이끌려 배출에 속도감이 붙게된다. 그래서 액체의 배출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고안은 기존의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의 원통 후단에서 액체 배출구의 외곽에 흡입날개가 위치하는 탈수 촉진장치를 장착하여 원통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할 때 흡입날개의 내측단쪽에 조장되는 진공화현상으로 고체에서 분리된 액체를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원심력을 이용한 고액 분리에 아주 효과적이다.

Claims (1)

  1. 슬러리 공급관(3)이 이송날개(8)구 부착된 회전축(9)의 후반부 중심으로 관통한 후 개방된 내측단(10)이 방사상으로 회전축(9)을 관통한 스크류 컨베이어(2)가 회전식 원통(1) 내에 동심원상으로 설치되고, 기어박스(13)의 각 출력측에 상기 회전축(8)과 원통(1)의 관축(13)이 각기 연결되어 약간의 회전수 차이를 두고 같은 방향으로 고속 회전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원통(1)의 후단에는 액체 배출구(7)의 외곽에 흡입날개(22)가 위치하도록 탈수 촉진장치(20)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수 촉진장치를 가진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
KR20030005845U 2003-02-27 2003-02-27 탈수 촉진장치를 가진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원심분리기 KR200316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5845U KR200316299Y1 (ko) 2003-02-27 2003-02-27 탈수 촉진장치를 가진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원심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05845U KR200316299Y1 (ko) 2003-02-27 2003-02-27 탈수 촉진장치를 가진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원심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299Y1 true KR200316299Y1 (ko) 2003-06-18

Family

ID=4208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05845U KR200316299Y1 (ko) 2003-02-27 2003-02-27 탈수 촉진장치를 가진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원심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29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036B1 (ko) * 2006-08-16 2007-03-02 화양중공업 주식회사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고 슬러지가 추출되는 원심탈수기
KR100722456B1 (ko) 2006-06-14 2007-05-28 (주)대명엔지니어링 폐기물 열분해 장치용 컨베어 구조
KR100887624B1 (ko) * 2007-06-04 2009-03-09 오인숙 폐수용 협잡물 제거장치
KR100896071B1 (ko) * 2008-03-05 2009-05-07 (주)실파인 백래핑공정으로부터 발생하는 슬러리로부터 실리콘파우더의 재생방법
KR101574179B1 (ko) * 2014-02-13 2015-12-03 주식회사 송포하이테크 수밀성이 향상된 원심탈수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456B1 (ko) 2006-06-14 2007-05-28 (주)대명엔지니어링 폐기물 열분해 장치용 컨베어 구조
KR100688036B1 (ko) * 2006-08-16 2007-03-02 화양중공업 주식회사 응집제를 사용하지 않고 슬러지가 추출되는 원심탈수기
KR100887624B1 (ko) * 2007-06-04 2009-03-09 오인숙 폐수용 협잡물 제거장치
KR100896071B1 (ko) * 2008-03-05 2009-05-07 (주)실파인 백래핑공정으로부터 발생하는 슬러리로부터 실리콘파우더의 재생방법
WO2009110745A3 (en) * 2008-03-05 2009-12-03 Silfine Co., Ltd Method of reclaiming silicon powder from slurry generated during back lapping process
KR101574179B1 (ko) * 2014-02-13 2015-12-03 주식회사 송포하이테크 수밀성이 향상된 원심탈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7010A (en) Apparatus for the partial dehydration of sludge in the centrifuge field of a solid jacket centrifuge
FI111873B (sv) Gasavskiljande centrifugal anordning, förfarande för att pumpa och avgasa en fluid samt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papper eller kartong
JPS59206062A (ja) 固体ボウル遠心分離機
EP1372863B1 (en) Automatic solids discharge tubular bowl centrifuge
KR200316299Y1 (ko) 탈수 촉진장치를 가진 슬러리용 스크류 컨베이어-원통형원심분리기
US3423015A (en) Continuous centrifugal separator with pool depth control
CN107096648A (zh) 一种负压驱动进料的卧式螺旋自动卸料沉降离心机
US6056685A (en) Centrifuge having selectively operable harmonic drive for scroll conveyor
KR200384169Y1 (ko) 배수 스크류가 장착된 디켄터 원심분리기
CN113182084A (zh) 一种用于卧式螺旋卸料沉降离心机的进出料装置
SE505557C2 (sv) Dekantercentrifug
CN107081223A (zh) 一种流体高速分离的卧式螺旋自动卸料沉降离心机
KR200319149Y1 (ko) 미세한 분말상 고체의 분리가 가능한 스크류컨베이어-원통형 원심분리기
KR100506948B1 (ko) 2단각 원심 분리기
US3098820A (en) Centrifuge
KR20110096881A (ko) 수직형 원심분리기
US3880346A (en) Centrifuge with mechanism for inhibiting the migration of separated air-entrained solids
KR100867762B1 (ko) 미세슬러지 제거효율을 높이는 스크루 테칸타형 원심분리기
US20220234053A1 (en) Solid bowl screw centrifuge
FI65766B (fi) Centrifug med tvao koncentriska trummor foer avvattning av slam
US945592A (en) Centrifugal separator.
US2546427A (en) Continuous separator
US1699471A (en) Centrifugal separator
CN219615809U (zh) 双椎型三相分离卧式螺旋离心机
JP2002011381A (ja) 遠心分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