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198Y1 - 래치 모듈 - Google Patents

래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198Y1
KR200316198Y1 KR20-2003-0008939U KR20030008939U KR200316198Y1 KR 200316198 Y1 KR200316198 Y1 KR 200316198Y1 KR 20030008939 U KR20030008939 U KR 20030008939U KR 200316198 Y1 KR200316198 Y1 KR 200316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housing
module
leaf spring
latc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태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8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1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1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2Rectilinearly moving bol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래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링크삽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후단부가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내부에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된 래치와, 전방을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면 중간에 전방을 향해서 경사진 걸림턱이 하부로 돌출형성되고 측부면 종단부는 상기 래치의 후면에 설치되며 전단부는 상기 개구부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판스프링과, 상기 걸림턱과 맞물리는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래치 핀과, 상기 래치후방에 설치되어 래치를 전진시키는 리턴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래치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함과 아울러 생산비가 절감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래치 모듈{Latch module}
본 고안은 래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라이커를 구속 혹은 해제하는 래치의 전/후진을 위해서 래치의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판스프링을설치하고 상기 걸림턱과 맞물리는 래치 핀을 하우징내부에 설치하며 래치후방에는 리턴스프링을 부착하여 래치 모듈의 구조가 간단하도록 한 래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구성요소가 상호 결합 혹은 해제되는 도어나 자동차의 리어시트와 같은 물품에는 래치 모듈과 스트라이커 및 상기 래치 모듈에 링크로 연결되어 래치 모듈을 구동시키는 노브를 포함하는 록킹 시스템이 부착된다.
이 중에서 도어에 사용되는 록킹 시스템은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시트에 사용되는 록킹 시스템은 트렁크가 리어 시트와 연결된 자동차에 있어서 트렁크 공간을 넓게 사용하기 위하여 리어시트의 등받이를 시트의 상면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록킹 시스템을 구성하는 래치 모듈의 동작을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래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래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2b는 래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일반적인 래치 모듈은 크게, 스트라이커(미도시)가 삽입되는 마운팅홀(12)이 형성된 래치(10)와, 상기 래치(10)와 맞물리며 래치(10)를 구속 혹은 해제하는 파울(20)과, 상기 래치(10)와 파울(20)을 연결하는 인장스프링(30)과, 상기 래치(10)와 파울(20) 및 인장스프링(30)이 설치되며, 상기 마운팅홀(12)과 연관되어 스트라이커를 구속 혹은 해제하는 개구부(42)가 일측에 형성되고, 스트라이커 삽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소거하기 위한 댐퍼(44)가 상기 개구부(42)의 내측 종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이하 제 1,2브라켓이라 함; 40a, 40b), 및 상기 파울(20)에 연결되어 래치(10)와 파울(2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링크(50)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4는 래치(10)를 고정하는 힌지축을 나타내고, 24는 파울(20)을 고정하는 힌지축(24)을 나타내며, 48은 인장스프링(30)의 일측고정구(31)가 안내되는 원주형 가이드홀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래치 모듈은 도 2a와 같이 마운팅홀(12)이 개방된 상태에서 래치(10)의 마운팅홀(12)로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면서 래치(10)를 밀면, 래치(10)가 힌지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파울(20)과 맞물리게 되므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운팅홀(12)이 개구부(42)에 수직으로 위치되면서 스트라이커가 구속된다.
그리고, 스트라이커의 구속상태를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노브에 연결된 링크(50)를 화살표방향으로 당기면 인장스프링(30)이 늘어나면서 파울(20)이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파울(20)과 래치(10)의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파울(20)과 래치(10)의 구속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인장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하여 래치(10)는 도 2b의 상태에서 도 2a의 상태로 복원되고 링크(50)를 놓으면 파울(20)도 원위치로 복원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래치 모듈치에 의하면 래치와 파울, 인장스프링 및 한쌍의 브라켓과 같이 크기와 형상이 다른 부품들을 일체로 조립하는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될뿐만 아니라, 보잡한 구조로 인한 고장발생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트라이커를 구속 혹은 해제하는 래치의 전/후진을 위해서 래치의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판스프링을 설치하고 상기 걸림턱과 맞물리는 래치 핀을 하우징내부에 설치하며 래치후방에는 리턴스프링을 부착하여 래치 모듈의 구조가 간단하도록 한 래치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래치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래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2b는 래치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래치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a내지 도 4d는 릴리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래치 모듈 210 : 링크
220 : 래치 230 : 판스프링
232 : 걸림턱 240 : 래치 핀
242 : 경사면 250 : 하우징
260 : 리턴스프링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하부에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링크삽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후단부가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내부에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된 래치와, 전방을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면 중간에 전방을 향해서 경사진 걸림턱이 하부로 돌출형성되고 측부면 종단부는 상기 래치의 후면에 설치되며, 전단부는 상기 개구부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판스프링과, 상기 걸림턱과 맞물리는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래치 핀과, 상기 래치후방에 설치되어 래치를 전진시키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래치 모듈에서 판스프링은 래치와 일체로 사출성형하거나, 래치와 별도로 형성하여 래치에 체결한다.
상기 판스프링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구조는 해당업자라면 다수의 방법으로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예로는 판스프링의 상부면 중간부를 두 번 절곡하여 걸림턱을 형성하거나, 판스프링에 별도의 걸림턱을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판스프링은 래치에 별도로 체결되는 것을 사용한 경우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래치 모듈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a내지 4d는 래치 모듈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래치 모듈(200)은 도 3 및 도 4a내지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210)와 연결되는 래치(220)와, 중심부에 걸림턱(232)이 형성되고 전방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래치(220)에 설치되는 판스프링(230)과, 상기 걸림턱(232)과 맞물리도록 상부에 하향 경사면(242)이 형성된 래치 핀(240)과, 상기 래치(220) 후방에 설치되는 리턴스프링(260), 및 스트라이커(270)가 삽입되는 개구부(252)와 링크(210)가 삽입되는 링크삽입구(254)가 형성된 하우징(25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래치(220)는 링크(210)가 후방으로 최대한 당겨져 리턴스프링(260)이 최대한 압축된 상태에서 선단부가 개구부(252) 후방에 위치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후면에는 판스프링(230)이 삽입되는 삽입홈(224)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50)내부에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23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면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측부면은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부면 중간을 다른 방향으로 두번 절곡하여 하향 경사면을 갖는 걸림턱(232)을 형성하고 상부면 선단부는 상부를 향하도록 만곡형성하며, 측부면 종단부를 수직으로 절곡형성하여 상기 래치(220)의 삽입홈(224)으로 절곡부(234)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또한, 상기 래치 핀(240)은 상기 걸림턱(232)과 맞물리는 하향경사면이 상부에 형성되어, 하우징(250)에 대칭으로 형성된 관통공(254)으로 삽입되어 체결수단(244)(245)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상기 체결수단(244)(245)의 예로서는 래치 핀(240)의 선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탄성그립퍼(244)와 래치 핀(240)의 후단부에 형성된 스톱퍼(245)로 구성되며, 이 외에도 볼트나 너트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체결수단의 구조가 본원의 요지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래치 모듈의 작동예를 하기에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4a내지 도 4d는 래치 모듈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와 같이 스트라이커(270)가 하우징(250)의 개구부(252)로 삽입되면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230)의 선단을 밀면, 상기 판스프링(230)의 선단부가 들리면서 걸림턱(232)이 래치 핀(240)의 경사면(242)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걸림턱(232)이 경사면(24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리턴스프링(260)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기 래치(220)가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도 4d와 같이 래치(220)가 스트라이커(270)사이로 들어가면서 래치 모듈이 잠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220)에 연결된 링크(210)가 당겨지면서 후퇴하면, 판스프링(230)의 걸림턱(232)이 경사면(242)을 타고 승강된 후 걸림턱(232)이 판스프링(230)의 복원력에 의하여 래치 핀(240)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래치(220)와 스트라이커(270)의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래치와 파울을 사용하는 구조에 비하여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래치 모듈은 자동차의 도어나 트렁크 래치 및 리어시트와 같은 각종 록킹시스템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1. 하부에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방에 링크삽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후단부가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내부에 전/후진 가능하도록 설치된 래치와,
    전방을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상부면 중간에 전방을 향해서 경사진 걸림턱이 하부로 돌출형성되고 측부면 종단부는 상기 래치의 후면에 설치되며 전단부는 상기 개구부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된 판스프링과,
    상기 걸림턱과 맞물리는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래치 핀과,
    상기 래치후방에 설치되어 래치를 전진시키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래치와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래치와 별도로 형성되어 래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판스프링의 상부면 중간부를 두 번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판스프링에 별도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 모듈.
KR20-2003-0008939U 2003-03-25 2003-03-25 래치 모듈 KR200316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939U KR200316198Y1 (ko) 2003-03-25 2003-03-25 래치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939U KR200316198Y1 (ko) 2003-03-25 2003-03-25 래치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198Y1 true KR200316198Y1 (ko) 2003-06-12

Family

ID=4940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939U KR200316198Y1 (ko) 2003-03-25 2003-03-25 래치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19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644B1 (ko) 차량 좌석용 록킹 기구
JPH01256677A (ja) 掛金ハウジング及び掛金ハウジングと受金の組合せ体
US8727403B2 (en) Lid securing assembly
KR20060132964A (ko) 차량 시트 부속 래치 조립체
JPH0270877A (ja) 掛金機構及びその構成部品及び構成部品の製造方法
US20100018016A1 (en) Shoulder position adjuster device
KR20200025908A (ko) 차량용 후드래치 장치
US20070057555A1 (en) Latch assembly for a vehicle seat
KR200316198Y1 (ko) 래치 모듈
US20230118668A1 (en) Fastening strap clamp assembly
US7175209B2 (en) Clip for holding a release lever of a vehicle latch during shipping
KR200314672Y1 (ko) 래치 모듈
JP7127246B2 (ja) 車両ラッチ装置の組付方法
US7185451B2 (en) License plate holding bracket and the holding structure thereof
US7306268B2 (en) Manual releasing mechanism for power locking apparatus
KR100828582B1 (ko) 자동차용 무릎 에어백의 조립구조
KR20060004177A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KR0138803Y1 (ko) 리어 시트의 래치장치
KR20040083924A (ko) 래치 릴리즈 장치
KR100356875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래치장치
JP7406954B2 (ja) 車両内装部材の取付装置
KR100320838B1 (ko)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 힌지 구조
KR0140672Y1 (ko) 후드록 래치 브라켓의 스프링 탈락방지구조
KR0113395Y1 (ko) 연료주입구 도어의 잠금장치
JP2023009080A (ja) 車両内装部材の取付装置及び車両内装部材の取付装置用の取付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