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186Y1 -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 - Google Patents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186Y1
KR200316186Y1 KR20-2003-0008730U KR20030008730U KR200316186Y1 KR 200316186 Y1 KR200316186 Y1 KR 200316186Y1 KR 20030008730 U KR20030008730 U KR 20030008730U KR 200316186 Y1 KR200316186 Y1 KR 200316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body
parking lot
plant
soil
foa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교
Original Assignee
이용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교 filed Critical 이용교
Priority to KR20-2003-0008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1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2Drainage device- laying apparatus, e.g. drainage plough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식물 재배용 흙(12)이 담겨져 있는 상부 본체(10)와 이를 지탱하는 하부 지지대(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본체(10)가 숯 분말(18)이 혼재된 경량 콘크리트로 구성되고 식물 재배용 흙(12) 아래층에 수 개 배수공이 천공된 발포체층(11)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부의 일부가 상기 발포체층(11)과 접하도록 상부 본체(10)에 매립되며 다수의 소공(19)이 있는 유공관(14)을 구비하고 있고, 또 대략 H자 형으로 상부 본체(10)에 병행하여 매립된 상기 유공관(14)의 일 단부에 수위 유지관(15)이 각기 설치되어 있어서, 아파트나 연립주택의 베란다 전후면 또는 담장 겸용으로 설치될 경우 그 아래에 차량을 보유할 수 있어서 한정된 토지를 화단과 주차장으로 이중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주차난 해소와 동시에 공동 주택의 개조시 저렴한 비용으로 실내면적을 확장할 수 있으며, 또 화단기능을 하는 상부 본체 내의 다공성 숯 분말로 인하여 식물에 필요한 수분과 온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주므로 식물의 생장률을 높이고 음이온의 방사로 주위 공기도 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structure serving both as flowerbed and as parking place}
본 고안은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에 대한 것이다.
요즈음, 낡은 아파트나 빌라 등의 공동주택을 새로 개조하는 리모델링(remodeling)이 곳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주택 개조시 토지는 한정되어 있지만, 거주자들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보다 안락한 생활을 누리기 위하여 아파트 내면의 확장을 원하고 있다. 그래서, 리모델링 시 한정된 공간과 비용하에서 실내 공간을 될 수 있으면 많이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하여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 한 대표적 예로, 기존의 복도식 아파트는 계단식 아파트로 구조를 변경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있는데, 이때 엘리베이트 박스를 아파트 동의 전·후면에 배치되어 있던 화단에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을 경우 화단의 설치공간이 부족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지면상의 주차공간이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는 차량 대수로 이미 아파트나 단독주택의 밀집지역에서는 주차문제가 심각한 상태이어서 현 실정 상 주차공간을 더 줄이거나 없앨 수는 없다. 그래서,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별수 없이 지하에 주차장을 설치하거나 외부 토지를 매입하여야만 하였다. 이 경우 공사기간은 물론 공사나 땅의 매입으로 많은 비용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리모델링시 소요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주민들에게 큰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또 전 체 주민들의 동의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절차상으로도 복잡한 문제점이 아닐 수 없었다.
본 고안자는 주택밀집지역이나 기존의 제한된 공간의 낡은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 등의 개조 시 주차공간을 별도로 확보함이 없이 화단과 겸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그 결과, 화단은 반드시 아파트나 공동주택의 전면이나 후면에 배치되어야 한다는 고정 관념을 탈피하여 화단의 위치 및 구조를 변경하여 주차장을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한정된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그에 따라 실질적으로 주차장 확보를 위한 비용과 공사 기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주차장 겸용 화단대를 개발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Ⅰ-Ⅰ선에 따른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을 구성하는 상부 본체의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화단대 구조물 10 : 상부 본체
11 : 발포체층 12 : 재배용 흙
13 : 팬스(fence) 14 : 유공관(有孔管)
15 : 수위 유지관 16 : 배수공
17 : 파지수단 18 : 숯 분말
19 : 소공(小孔) 20 : 하부 지지대
식물 재배용 흙이 담겨져 있는 상부 본체와 이를 지탱하기 위한 하부 지지대로 이루어지는 주차장 겸용의 화단대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가 숯 분말이 혼재된 경량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물 재배용 흙 아래층에 수 개의 배수공이 뚫어져 있는 발포체층이 위치하고 있고, 다수의 소공이 천공되어 있으며 그 상부의 일부가 상기 발포체층과 접하도록 상기 본체에 매립되는 유공관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공관이 대략 H자 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 본체에 매립되며, 평행하여 매립된 유공관의 일 단부에 수위 유지관이 각기 설치되는 것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대의 상부 본체는 경량의 고 경도 재질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통상의 경량 콘크리트의 혼합시 숯 분말이 혼합되어 고화된 것으로, 원형, 타원형,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숯 분말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본체의 화분대를 받쳐주는 하부 지지대는 H자 형, 사각형, 계단형상을 한 것 등 각종 형태의 것이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그 하부에 자동차 한 대가 수용될 수 있는 넓이 및 높이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상기 상부 본체와 식물 재배용 흙 아래층에 배치되는 발포체층은 연질 및 경질의 다공성 합성수지로써, 페놀계 수지, 요소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와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흔히 시중에서 스티로폼(styrofoam: 등록상표명)이라 불리는 것도 적용될 수 있다.
또 이들의 발포체층에는 빠른 배수를 위하여 수 개의 배수공이 뚫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 본체의 바닥면에 매립되어 있는 유공관은 통상 플라스틱재의 것이 중량과 내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경량의 금속 유공관이 적용될 수 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겸용 화단대의 특징 및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차장을 겸할 수 있는 화단대 구조물(A)은 꽃, 교목, 잔디 등의 식물을 적절히 배열, 식재하여 재배하기 위한 재배용 흙(12)이 맨 위에 위치하고 있는 상부 본체(10)와, 이를 일정 장소에 확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지탱하며 그 내부에 차량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충분한 공간을 보유하는 하부 지지대(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본체(10)는 그 자체의 중량과 크기에 의하여 상기 하부 지지대(20)에 별도의 고착 수단 없이도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으나, 태풍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여 상기 상부 본체(10)는 상기 하부 지지대(20)와 통상의 고착수단에 의하여 해제 가능하게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이 화단대 구조물(A)은 건축의 주차장법에 준하여 건축 연면적 120㎡당 1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며, 대략적으로 그 폭 및 길이는 2.3m × 5m정도가 되나, 시군구의 조례에 따라 그 크기는 조정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난 상기 상부 본체(10)는 식물 재배용 흙(12)을 수용할 수 있는 직사각형의 대형 용기로써, 경량 콘크리트로 주로 이루어지되 그 내에 일정량의 숯 분말(18)이 골고루 혼재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상부 본체(1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내면에 보온 작용을 하는 일정 두께, 대략 10∼20㎜정도의 발포체층(11)을 구비하고 있어 겨울철 재배중의 나무나 꽃들의 냉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 상부 가장자리에는 안전 팬스(13)가 설치될 수 있고 또 그 상단부에는 운반용 파지 수단(17)이 수 개 구비되어 있어 들어올려 이동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의도하는 식물의 냉해방지와 수분보유율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상기 발포체층(11) 위에 일명 오아시스라고도 불리는 공지의 수분보유용 물질이 소정 두께로 더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발포체층(11)에는 상부의 식물 재배용 흙(12)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이하부의 상부 본체(10)로 잘 통과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만큼의 배수공(도시 안됨)이 뚫어져 있다.
또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본체(10)에는 유공관(14)이 대략 H자 구조로 그 상부의 일부가 상기 발포체층(11)과 접하도록 매립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다수의 소공(19)이 천공되어 있다. 또 대략 H자 형으로 연결된 유공관(14) 중 평행하는 두 개의 유공관(14)의 일 단부에는 수위 유지관(1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위 유지관(15)은 상기 유공관(14)과 연결되는 일 단의 부위가 상기 유공관(14)의 높이보다 약간 더 높게 형성되고 배수공(16)이 있는 타 단은 하부 지면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부 층의 식물 재배용 흙(12)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상기 발포체층(11) 및 상기 상부 본체(10)에 매립된 유공관(14)을 거쳐 수위 유지관(15)의 배수공(16)을 통해 바로 지면으로 배출되지 않고 일정 수위가 유지될 때까지 상기 유공관(14)내에 일단 보유된 후 일정 수압에 도달되어야만 상기 배수공(16)을 통하여 외부로 흘러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유공관(14)에 물이 항상 내재하고 있어 상기 상부 본체(10)의 상부에 식재되어 있는 꽃과 나무들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지지대(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내에 차량을 보유할 수 있는 공간만 확보할 수 있으면 족하고 특별한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외장은 상기 상부 본체(10)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방식에 의하여 페인트나 금속 코팅으로 마무리되며, 이 때 상기 상부 본체(10)의 색상과 동일하게 처리되거나 상부에 식재된 꽃 등 식물에 맞추어 조화될 수 있는 색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겸용 화분대 구조물(A)은 상기 상부 본체(10)가 견고하면서도 경량의 콘크리트로 구성되므로 중량이 가벼워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때, 그 크기에 비해 비교적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또 상부에 파지수단(17)이 구비되어 있어 보다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 상부 본체(10)의 내부에 다공성의 숯 분말(18)이 혼재되어 있어 상기 상부 본체(10)의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상기 숯 분말(18)의 흡수력에 의하여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보유할 수 있고 일정 온도를 유지하여 주므로 식물의 생장률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상부 본체(10)에 매립된 유공관(14)이 수위 유지관(15)을 구비하고 있어 수분이 그 단부의 배수공(16)을 통해 자연 배수되지 않고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유공관(14)에 보유될 수 있어서 건기(乾期)가 다소 장기간 지속되더라도 그들의 소공(19)을 통하여 상부로 식물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해 줄 수 있으므로 식물 성장에 크게 도움을 준다.
위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겸용 화분대 구조물(A)은 땅의 빈 공간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정면 베란다에 설치될 경우 그 높이가 높아 정면 시야를 조금 가리게 되면 현재 지면을 적당히 절토(切土)한 후 설치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은 아파트나 연립주택의 동과 동 사이, 베란다 정면 또는 후면에 설치하거나 담장 겸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한정된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가 있어서 별도의 주차공간이없는 주택 밀집지역에서의 주차난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 아파트 및 연립주택 등 공동 주택의 개조시 저렴한 비용으로 실내면적을 한층 넓게 보유할 수 있도록 하며, 주차장 확보를 위한 공사와 그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단대 구조물의 상기 상부 본체 내에 혼재되어 있는 숯 분말의 역할로 인해 식물에 필요한 수분과 온도를 적절히 조절해 줄 수 있고 주위로 음이온을 방사할 수 있으며 살균력의 보유로 해로운 미생물이나 벌레들의 번식을 막아 주므로 식물을 잘 자라게 하고 주위 공기도 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에 의하면, 상부 본체 내의 숯 분말의 작용과 함께, 그에 구비된 수위 유지관의 작용으로 상기 유공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그 내에 일정기간 보유될 수 있어서 식물에 수분을 보다 더 충분히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식물 재배용 흙(12)이 담겨져 있는 상부 본체(10)와 이를 지탱하기 위한 하부 지지대(20)로 이루어지는 주차장을 겸할 수 있는 화단대 구조물(A)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10)가 숯 분말(18)이 혼재된 경량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물 재배용 흙(12) 아래층에 수 개의 배수공이 뚫어져 있는 발포체층(11)이 위치하고 있으며, 다수의 소공(19)이 그 주위 표면에 천공되어 있고 상부의 일부가 상기 발포체층(11)과 접하도록 상기 상부 본체(10)에 매립되는 유공관(14)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14)이 대략 H자 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상부 본체(10)에 매립되며, 그 병행하여 매립된 유공관(14)의 일 단부에 수위 유지관(15)이 각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
KR20-2003-0008730U 2003-03-24 2003-03-24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 KR200316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30U KR200316186Y1 (ko) 2003-03-24 2003-03-24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30U KR200316186Y1 (ko) 2003-03-24 2003-03-24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186Y1 true KR200316186Y1 (ko) 2003-06-11

Family

ID=4940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730U KR200316186Y1 (ko) 2003-03-24 2003-03-24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1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85Y1 (ko) 2010-04-23 2012-12-05 정만식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입구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구조체
KR20240002436A (ko) 2022-06-29 2024-01-05 조원대 담장을 이용한 주차장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885Y1 (ko) 2010-04-23 2012-12-05 정만식 공동주택 지하주차장 입구 공간을 활용하기 위한 구조체
KR20240002436A (ko) 2022-06-29 2024-01-05 조원대 담장을 이용한 주차장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8429B2 (ja) 緑化装置
JP5133661B2 (ja) 壁面緑化植栽装置
US20110225883A1 (en) Vegetation wall
US8429851B2 (en) Modular interlocking pre-vegetated roof system
US8371073B2 (en) Building with integrated natural systems
US20100307056A1 (en) Modular Planting and Irrig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09077665A (ja) 土壌構造
KR100607381B1 (ko) 주택 단지 내에 꽃섬을 제공하는 조립식 조경 분수대
US20110308176A1 (en) Rooftop Cooling and Rainwater Retention Panel and System
JP4384944B2 (ja) 雨水利用システム
KR200316186Y1 (ko) 주차장 겸용 화단대 구조물
KR101884995B1 (ko) 식생이 가능한 지붕 구조를 구비한 이동주택
JPH11256630A (ja) 雨水地下貯溜タンクシステム
US8500996B1 (en) Self sustaining vegetated roof for harvesting and recycling rain water
JP5187752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二重管ユニット
JP2004147607A (ja) 緑化装置及び緑化方法
JP2012023992A (ja)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KR20190017191A (ko) 배수 및 식생이 가능한 옥상용 식생 파레트
US20230329156A1 (en) Latticed modular structure for multi-layer planting
JP2003310060A (ja) 屋上集合ガーデンプランター
JPH11269945A (ja) 住宅の緑化植栽に対する灌水システム
KR200365258Y1 (ko) 노면상의 조경장치
JP4517222B2 (ja) 植物育成用のプランター
KR101414078B1 (ko) 생육모듈
JP2005295963A (ja) 建造物の緑化装置及び緑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