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734Y1 - 강관파일 연결구 - Google Patents

강관파일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734Y1
KR200315734Y1 KR20-2003-0004397U KR20030004397U KR200315734Y1 KR 200315734 Y1 KR200315734 Y1 KR 200315734Y1 KR 20030004397 U KR20030004397 U KR 20030004397U KR 200315734 Y1 KR200315734 Y1 KR 200315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pile
cylindrical body
sock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유식
Original Assignee
(주)평화엔지니어링
민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화엔지니어링, 민경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3-0004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7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7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길이로 제조되는 강관파일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 사이에 연결구를 설치하여 강관파일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강관파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에 위치되는 강관파일과 상기 강관파일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강관파일과를 연결시키도록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간에 용접 결합되는 연결구로 구성되는 통상의 강관파일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강관파일에 일측단이 용접 결합되되, 타측단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원통체와; 상기 상부원통체의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도록 가운데에 너트가 형성된 소켓과; 상기 하부강관파일에 일측단이 용접 결합되되, 상부원통체의 일측단이 끼워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원통체와; 상기 하부원통체의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도록 내측면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원추링과; 상기 상부원통체가 하부원통체내로 끼워지고, 상기 하부원통체의 원추링을 거쳐 소켓에 삽입되며,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으로 경사면이 구비됨과 동시에 속이 빈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내로 삽입되어 소켓에 나사 결합되도록 볼트가 형성된 체결구와; 상기 고정체와 체결구 사이에 삽입 고정되도록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자석으로 구성됨으로써, 현장에서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을 연결하여 강관파일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부강관파일과하부강관파일간의 연결작업과 강관파일을 인반하여 재사용시 분리해체가 신속하게 수행됨에 따라 전체적인 공기가 단축됨과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간의 연결에 따른 시공비를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강관파일 연결구{steel pipe pile jointer}
본 고안은 강관파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에서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을 연결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연결하여 강관파일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강관파일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파일은 강판을 원통 모양으로 제작한 말뚝 형태로서, 구조물의 기초말뚝용이나 항만 시설에서 잔교식 또는 돌핀식 구조에 많이 사용된다.
상기한 강관파일을 사용할 때는 시공성을 고려하여 선단장치부를 개방하거나 지질 조건 등을 고려하여 이를 폐쇄할 수도 있으며, 특수한 토질에서는 특수 선단장치로 보강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강관파일을 이용한 지반 보강작업을 할 때는 일반적으로 강관파일의 길이가 일정한 단일 규격으로 제조되므로, 강관파일의 관입깊이에 따라 강관파일을 연장할 때는 부득이하게 강관파일간을 연결시킨 것을 사용하는 바, 이때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간에 이음판을 대고, 이 이음판을 체결구로체결하는 방식으로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을 연결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된 강관파일을 진동항타기를 사용하여 지중에 압입시에는 진동항타기의 잦은 강관파일의 항타로 인하여 이음판에 체결된 체결구가 풀리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이음판을 이용한 방식외에 강관파일간을 용접으로 연결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간의 용접방식은 지중에 하부강관파일을 삽입시에는 별 다른 문제점을 야기하지는 않으나, 강관파일을 인발시에는 용접으로 결합된 강관파일이 장대하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인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강관파일간의 잦은 용접과 절단으로 인하여 강관파일의 용접 및 절단부위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현장에서 연결구를 이용하여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을 용이하게 연결하여 강관파일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강관파일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는 상부에 위치되는 강관파일과 상기 강관파일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강관파일과를 연결시키도록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간에 용접 결합되는 연결구로 구성되는 통상의 강관파일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강관파일에 일측단이 용접 결합되되, 타측단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원통체와; 상기 상부원통체의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도록 가운데에 너트가 형성된 소켓과; 상기 하부강관파일에 일측단이 용접 결합되되, 상부원통체의 일측단이 끼워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원통체와;
상기 하부원통체의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도록 내측면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원추링과; 상기 상부원통체가 하부원통체내로 끼워지고, 상기 하부원통체의 원추링을 거쳐 소켓에 삽입되며,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으로 경사면이 구비됨과 동시에 속이 빈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내로 삽입되어 소켓에 나사 결합되도록 볼트가 형성된 체결구와; 상기 고정체와 체결구 사이에 삽입 고정되도록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자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상부원통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하부원통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소켓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소켓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원추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원추링을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원추링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고정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고정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고정체를 도시한 배면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고정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체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의 체결구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가 강관파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원통체 12 : 관통공
14 : 안내부 16 : 요홈
18 : 오링 20 : 소켓
21 : 너트 22 : 내벽
23 : 요홈 24 : 외벽
25 : 관통홀 28 : 핀
30 : 하부원통체 32 : 요홈
34 : 관통공 40 : 원추링
42 : 경사면 50 : 고정체
52 : 경사면 54 : 단턱
56 : 반달홈 58 : 요홈
60 : 체결구 62 : 볼트
64 : 원판 66 : 육각홈
68 : 반달홈 70 : 자석
72 : 중공부 J : 연결구
S1 : 상부강관파일 S2 : 하부강관파일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는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강관파일(S1)과 상기 상부강관파일(S1)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강관파일(S2)을 연결시키도록 상부강관파일(S1)과 하부강관파일(S2) 사이에 용접 결합되는 연결구(J)로 구성되는 통상의 강관파일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강관파일(S1)에 일측단이 용접 결합되되, 타측단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12)이 형성된 상부원통체(10)와; 상기 상부원통체(10)의 관통공(12)에 삽입 고정되도록 가운데에 너트(22)가 형성된 소켓(20)과; 상기 하부강관파일(S2)의 일측단이 용접 결합되되, 상부원통체(10)의 타측단이 끼워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34)이 형성된 하부원통체(30)와;
상기 하부원통체(30)의 관통공(34)에 삽입 고정되도록 내측면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원추링(40)과; 상기 상부원통체(10)가 하부원통체(30)내로 끼워지고, 상기 하부원통체(30)의 원추링(40)을 거쳐 상기 상부원통체(10)의 소켓(20)에 삽입되며,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으로 경사면(52)이 구비됨과 동시에 속이 빈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체(50)와;
상기 고정체(50)내로 삽입되어 소켓(20)의 너트(21)에 나사 결합되도록 볼트(62)가 형성된 체결구(60)와; 상기 고정체(50)의 반달홈(56)과 체결구(60)의 반달홈(68)간에 형성되는 부분에 삽입 고정되도록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자석(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원통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원통체(10)는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으로 직각으로 꺾여 형성되되, 그 경계면상에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안내부(14)가 다수개 설치되어, 상부원통체(10)를 하부원통체(30)내로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원통체(10)에는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타측단 외주면을 따라 요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6)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오링(18)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하부원통체(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타측 외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로 절개 형성되는 요홈(32)이 다수개 형성되어, 상부원통체(10)의 안내부(14)를 용이하게 고정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2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체로 형성되되, 상기 원통체의 가운데에는 형성되는 너트(21)와; 상기 너트(21)의 외주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내벽(22)과; 상기 내벽(22)의 직하부로 소정의 깊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요홈(23)과; 상기 요홈(23)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직상부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외벽(24)과; 상기 내벽(22)과 외벽(24)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2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25)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핀(28)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추링(40)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체로 형성되되, 그 내측면이 상광하협으로 소정의 경사면(42)을 가지면서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50)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상광하협으로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면 내측에 직하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단턱(54)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소정의 직경과 갯수로 반달홈(56)이 형성되며, 배면에는 소켓(20)에 설치된 핀(28)과 결합되도록 요홈(58)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60)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되는 볼트(62)와 상기 볼트(62)의 상부에 위치되는 원판(64)과 상기 원판(64)에 내부에 소정의 각을 가진 육각홈(66)으로 구성되며, 상기 육각홈(66)에는 그 외측으로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마다 소정의 직경과 갯수로 반달홈(68)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자석(7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되, 그 가운데에 중공부(72)가 형성된 구조이다.
즉, 이와 같은 이유는 상기 자석(70)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72)는 상기 상부강관파일(S1)과 하부강관파일(S2)간을 조립후 해체시 자석(70)이 강자성체이므로 강한 자기력으로 인하여 제거가 어려워 중앙에 형성된 자석(70)의 중공부(72)에 일반적인 볼트를 삽입 회전시켜 잡아당기면, 상기 자석(70)이 고정체(50)의 반달홈(56)과 체결구(60)의 반달홈(68) 사이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나오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원통체(10), 소켓(20), 하부원통체(30), 원추링(40), 고정체(50), 체결구(60) 및 자석(7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상부강관파일(S1)과 하부강관파일(S2)을 용이하게 연결하여 강관파일(S1, S2)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를 이용한 강관파일 연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가 강관파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를 이용한 강관파일 연결은 상부원통체(10)의 타측단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12)이 형성하고, 이 관통공(12)에 핀(28)이 끼워진 소켓(20)을 용접으로 장착하며, 하부원통체(30의 일측단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34)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34)에 원추링(40)을 용접으로 장착하며, 상기 상부원통체(10)와 하부원통체(20)를 각각 상부강관파일(S1)과 하부강관파일(S2)의 타단부에 용접으로 연결한다.
이어서, 상기 하부원통체(30)가 용접된 하부강관파일(S2)을 항타기를 이용하여 지중에 계속적으로 항타하여, 지중으로부터 지상으로 소정의 높이에 하부강관파일(S2)을 위치시키는 한편, 상기 상부원통체(10)가 용접된 상부강관파일(S1)을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서 상부원통체(10)를 하부원통체(3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상부원통체(10)의 안내부(14)를 하부원통체(30)의 요홈(32)에 정확히 맞춘 상태로 상부원통체(10)를 삽입하면, 상부원통체(10)의 안내부(14)가 하부원통체(30)의 요홈(32)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부원통체(30)내에 장착된 소켓(20)과 하부원통체(30)내에 장착된 원추링(40)이 일렬를 이룬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원추링(40)에 고정체(50)를 삽입하고, 상기고정체(50)에 체결구(60)를 계속하여 장착하되, 상기 체결구(60)의 볼트(62)가 고정체(50)를 통과시킨 후 소켓(20)의 너트(21)에 닿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구(60)의 육각홈(66)부분을 렌치를 이용하여 체결구(60)의 육각홈(66)을 회전시킴에 따라 자연히 체결구(60)의 볼트(62)는 점차 회전되어 소켓(20)의 너트(21)에 나사결합으로 견고히 체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소켓(20)의 너트(21)에 체결구(60)의 볼트(62)를 나사 결합시킨 후, 상부강관파일(S1)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항타에 따른 압력으로 인하여 체결구(6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체(50)의 반달홈(56)과 체결구(60)의 반달홈(68) 사이에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자석(70)을 삽입한다.
즉, 다수개로 이루어진 고정체(50)의 반달홈(56)과 다수개로 이루어진 체결구(60)의 반달홈(68)끼리 맞나게 되면, 반달홈(56)과 반달홈(68)이 합쳐져서 합친 부분이 하나의 정원부분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정원부분에 원형 자석(70)을 설치하면, 상부강관파일(S1)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항타에 따른 압력으로 인한 체결구(6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한 자석(70)의 삽입으로 인하여 상부강관파일(S1)과 하부강관파일(S2)의 연결 작업은 완료된다.
이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된 상부강관파일(S1)과 하부강관파일(S2)의 상부강관파일(S1)을 항타기로 항타시키면 하부강관파일(S2)은 전체가 지중으로 매입되고, 상부강관파일(S1)이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상의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며, 이때 상부강관파일(S1)은 하부강관파일(S2)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부강관파일(S1)과 하부강관파일(S2)간을 연결구(J)로 연결한 후 항타시킨 후 지속적으로 항타시켜 지반상 소정의 위치로 상부강관파일(S1)과 하부강관파일(S2)을 이동시킨 후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여러개의 강관파일(S1, S2)을 효율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한 상부강관파일(S1)과 하부강관파일(S2)간의 연결작업과는 반대로 상부강관파일(S1)과 하부강관파일(S2)간의 해체작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작업의 역순으로 시행한다.
지중에 박힌 상부강관파일(S1)을 크레인으로 끌어올려 지반상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켜 연결구(J) 부분이 육안으로 보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체(50)의 반달홈(56)과 체결구(60)의 반달홈(68)이 만나서 형성된 원형부분에 삽입된 자석(70)을 빼내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자석(70)의 설치면이 평탄면이므로 단순히 손으로 자석(70)을 빼내기에는 자석(70)의 자기력이 강하여 반달홈(56, 68)으로부터 자석(70)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로 자석(70)을 잡을만한 부분도 없으므로 자석(70)의 분리작업이 쉽지는 않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반달홈(56, 68)으로부터의 자석(70)의 분리작업은 자석(70)의 가운데에 형성된 중공부(72)에 일반적인 볼트나 나사를 나사결합으로 끼운 후 볼트를 잡아당기면 볼트에 나사결합되어 붙은 자석(70)이 고정체(50)의 반달홈(56)과 체결구(60)의 반달홈(68) 사이에 형성된 정원공간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체결구(60)의 육각홈(66) 부분을 렌치를 이용하여 결합방향과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구(60)의 볼트(62)가 소켓(20)의 너트(21)로부터 서서히 풀려 체결구(60)의 볼트(62)가 소켓(20)의 너트(21)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고정체(50)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그 후, 상기 체결구(60)가 빠진 상태에서 체결구를 고정지지하고 있던 고정체(50)를 그 하부의 소켓(20)으로부터 빼낸다.
이어서, 최종적으로 상부원통체(10)가 부착된 상부강관파일(S1)을 하부원통체(30)가 부착된 하부강관파일(S2)로부터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린 후 상부강관파일(S1)을 지반의 소정의 위치에 내려놓으면 상부강관파일(S1)과 하부강관파일(S2)간의 분리작업은 완료된다.
그 후, 필요에 따라 상부강관파일(S1)에 용접 결합된 상부원통체(10)를 절단하여 분리시키고, 상부원통체(10)내에 장착된 소켓(20)을 분리시키면, 상부강관파일(S1)과 상부원통체(10)의 구성요소간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어서, 하부강관파일(S2)과 하부원통체(30)를 절단하여 분리시키고, 하부원통체(30)내에 장착된 원추링(40)을 분리시키면, 하부강관파일(S2)과 하부원통체(30)의 구성요소간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는 하나의 강관파일의 양단부에 상부원통체(10)와 하부원통체(30)를 각각 용접으로 결합하고, 이들 부분에 해당되는 연결구(J)의 구성요소를 설치하여 이와 같은 강관파일을 계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는 2개의 강관파일 즉,상부강관파일(S1)과 하부강관파일(S2)에 각각 상부원통체(10)과 하부원통체(30)를 용접으로 결합한 후, 이들 부분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를 설치하여 2개의 강관파일만을 연결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즉, 필요에 따라 하나의 강관파일의 양단부에 본 고안의 연결구(J)를 채택할 수도 있고, 2개의 강관파일의 일단부에 본 고안의 연결구(J)를 채택할 수 있어, 강관파일의 연결에 따른 연결구(J)의 사용상 범위가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는 일정한 길이로 제조되는 강관파일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의 상하단에 연결구를 설치하여 강관파일의 길이를 효율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는 하나의 강관파일의 양단부에 상부원통체와 하부원통체를 각각 용접으로 결합하고, 이들 부분에 해당되는 연결구의 구성요소를 설치하여 이와 같은 강관파일을 계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른 강관파일 연결구는 2개의 강관파일 즉,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에 각각 상부원통체과 하부원통체를 용접으로 결합한 후, 이들 부분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를 설치하여 2개의 강관파일만을 연결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Claims (11)

  1.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강관파일과 상기 상부강관파일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강관파일을 연결시키도록 상부강관파일과 하부강관파일간에 용접 결합되는 강관파일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강관파일에 용접결합되면서 일측단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상부원통체와;
    상기 상부원통체의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도록 가운데에 너트가 형성된 소켓과;
    상기 하부강관파일에 용접결합되면서 상부원통체의 일측단이 끼워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원통체와;
    상기 하부원통체의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도록 내측면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원추링과;
    상기 상부원통체가 하부원통체내로 끼워지도록 상기 하부원통체의 원추링을 거쳐 상기 상부원통체의 소켓에 삽입되되,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으로 경사면을 가지며, 속이 빈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내로 삽입되어 소켓의 너트에 나사결합되도록 볼트가 일측에 형성된 체결구와;
    상기 고정체의 반달홈과 체결구의 반달홈간에 형성되는 부분에 삽입 고정되도록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자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원통체는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으로 직각으로 꺾여 형성되되, 그 경계면상에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안내부가 다수개 설치되어, 상부원통체를 하부원통체내로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원통체는 그 일측단 외주면을 따라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오링이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원통체는 그 일측 외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로 절개 형성되는 다수개의 요홈이 형성되어, 상부원통체의 안내부를 용이하게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연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전체적으로 원통체로 형성되되, 가운데에는 형성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 외주를 따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내벽과; 상기 내벽의 직하부로 소정의 깊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요홈과; 상기 요홈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직상부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외벽과;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과파일 연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는 핀이 결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연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링은 전체적으로 원통체로 형성되되, 그 내측면이 상광하협으로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면서 내경이 좁아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연결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으로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면 내측 직하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단턱이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소정의 직경과 갯수로 반달홈이 형성되며, 배면에는 배면에는 소켓에 설치된 핀과 결합되도록 요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연결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하부에 위치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상부에 위치되는 원판과 상기 원판상에 내부에 소정의 각을 가진 육각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연결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육각홈에는 그 외측으로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마다 소정의 직경과 갯수로 반달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연결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되, 그 가운데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 연결구.
KR20-2003-0004397U 2003-02-14 2003-02-14 강관파일 연결구 KR200315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397U KR200315734Y1 (ko) 2003-02-14 2003-02-14 강관파일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397U KR200315734Y1 (ko) 2003-02-14 2003-02-14 강관파일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734Y1 true KR200315734Y1 (ko) 2003-06-09

Family

ID=4933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397U KR200315734Y1 (ko) 2003-02-14 2003-02-14 강관파일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7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897B1 (ko) * 2009-08-03 2010-03-09 주식회사 제일산기 연약지반용 파일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897B1 (ko) * 2009-08-03 2010-03-09 주식회사 제일산기 연약지반용 파일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668B2 (en) Drill tip for foundation pile
US20150191886A1 (en) Mountable Earth-Embedding Anchor with Removable Underground Conduit Panels and Installation Apparatus
KR20090049250A (ko) 콘크리트 파일 연결용 체결구
KR101561437B1 (ko) 온실용 지주 조립체
KR200315734Y1 (ko) 강관파일 연결구
JPH069063Y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杭
KR200480999Y1 (ko) 강관 파일의 회전 관입 및 인발용 커플러
KR200389196Y1 (ko) 플랜지를 이용한 연결용 합성수지관
KR101739266B1 (ko) Phc 파일 연결용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파 phc 파일의 보수 시공 방법
KR101565154B1 (ko) 지주용 스크류 파일
KR20190098408A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101639725B1 (ko) 말뚝과 임플란트 파일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와셔를 갖는 복합말뚝
CN217150188U (zh) 预制桩连接结构和整桩结构
US20230383492A1 (en) Supports for helical piles
KR20110029957A (ko) 앵커 볼트 구조
CN212175810U (zh) 可回收利用的基坑支护工程锚杆
US20090309007A1 (en) Concrete form anchor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trenches
CN205776202U (zh) 钻地固定结构
JP3113392U (ja) アンカーピン付杭
KR200263625Y1 (ko) 콘크리트 타설깊이 조절형 강관파일 두부의 덮개구조
KR200430880Y1 (ko) 2중 체결구조를 가진 케이싱 조인트
JP3590364B2 (ja) 鋼管杭用の接続具
KR100628528B1 (ko) 흙막이용 토류판 어셈블리
CN219315696U (zh) 用于支护桩的排水空腔的成形装置、支护桩组合体及拔具
KR101618632B1 (ko) 경타 관입성과 선단 지지력 향상을 위한 임플란트 파일을 갖는 복합말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