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641Y1 -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 Google Patents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641Y1
KR200315641Y1 KR20-2003-0007113U KR20030007113U KR200315641Y1 KR 200315641 Y1 KR200315641 Y1 KR 200315641Y1 KR 20030007113 U KR20030007113 U KR 20030007113U KR 200315641 Y1 KR200315641 Y1 KR 200315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hollow
light
power supply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우석
한현직
최상용
Original Assignee
강우석
한현직
최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우석, 한현직, 최상용 filed Critical 강우석
Priority to KR20-2003-0007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6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주,야간용 바다낚시 찌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찌 몸체와, 낚시찌의 몸체에 형성된 중공에 밀봉되게 삽입되며 또한 그 안에 일단부가 개방된 중공이 형성되고, 내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전극수용 앵커와, 상기 전극수용 앵커의 중공 내에 한 일단부가 수용되는 전원부와, 상기 앵커에 수용되지 전원부의 다른 일단부를 밀봉되게 삽입할 수 있는 중공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야간에 전원 부에 의해 발광을 하는 상부와 전원부가 삽입되는 하부를 가지는 발광부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는 소정의 색깔, 통상적으로 붉은색을 내는 플라스틱재료의 광투과성 캡으로 밀봉된다.

Description

주,야간용 바다낚시찌{Sea fishing float for use in day and night}
본 고안은 바다낚시찌에 관한 것으로서, 주간,야간에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야간에 사용할 때 발광력이 기존의 낚시찌보다 강력하며 또한 그 구조가 간단한 바다낚시용 찌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나날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많은 일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일을 하면서 얻은 업무적 스트레스를 풀고자 여러가지 취미생활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여러가지의 취미생활중에는 낚시가 있다. 특히, 오늘날에는 바다낚시가 점점 더 많은 인기를 얻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낚시는 하루만에 끝내는 것이 아니라, 갯바위나 자그마한 바위섬에서 며칠을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야간에도 낚시가 계속 이루어지게 된다. 야간 낚시의 경우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바다낚시찌는 낚시찌 소정부위에 캐미라이트라고 하는 발광부를 부착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낚시찌 몸체를 광투과 재질로 만들고 몸체 속에 소정의 발광부를 삽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캐미라이트라고 하는 야간 낚시용 발광부는 수명이 짧아서 한번 사용하면 다시 사용할 수 없어서 계속 구매해야 하고 또한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그 발광력이 낮다. 또한 낚시찌 몸체 속에 소정의 발광부를 삽입한 경우에도 발광부에서 나오는 빛이 투과성 몸체를 한번 더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에 발광력이 낮다. 따라서 일기가 좋지 않은 야간에 낚시를 하는 경우에, 낚시인은 찌의 상태를 잘 파악할 수 없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광력이 우수하여 야간에도 사용하기 용이하며, 또한 휴대가 간편하고 또한 야간낚시용 찌로 전환이 용이한 주,야간용 바다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의 잔여 전력양에 상관없이 일정한 세기를 광을 방출하는 주,야간용 바다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낚시찌 몸체부와, 상기 중공에 삽입되어 전원부를 수용하는 전원수용 앵커와, 전원과, 그리고 전원부의 일부를 수용하며 또한 전원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을 하는 발광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다낚시찌에서 발광부에 일부 수용되는 전원부의 수용형태에 따라서 주,야간용 바다낚시찌가 발광을 하거나 또는 발광을 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발광부의 발광체로서,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는, 광투과성 외피로 덮여져 있는 일반적인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체를 사용하는 대신에, 외피가 없는 베어(bear) 상태의 발광체를 기판위에 재치한 다음에 에폭시와 같은 투명한 수지로 인캡슐레이션 함으로써 광의 밝기를 극대화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야간용 바다낚시찌의 구성을 해체한 상태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발광부의 세부를 보여주는 도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야간용 바다낚시찌는 중공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찌 몸체(100)와, 낚시찌의 몸체에 형성된 중공(110)에 밀봉되게 삽입되며 또한 그 안에 일단부가 개방된 중공(210)이 형성되고, 내벽에 나사산(220)이 형성되는 전극수용 앵커(200)와, 상기 전극수용 앵커의 중공 내에 한 일단부가 수용되는 전원부(300)와, 상기 앵커에 수용되지 전원부의 다른 일단부를 밀봉되게 삽입할 수 있는 중공(430)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야간에 전원부에 의해 발광을 하는 상부(470)와 전원부가 삽입되는 하부(440)를 가지는 발광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는 소정의 색깔, 통상적으로 붉은색을 내는 플라스틱재료의 광투과성 캡(410)으로 밀봉된다.
상기 낚시찌 몸체(100)는 오동나무와 같은 목재로 만들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력을 가지는 어떠한 재질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낚시찌 몸체(100)에 형성된 중공부(110)에 삽입되는 전극수용 앵커(200)는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며, 그 크기는 중공부(110)에 삽입될 때 중공부와 밀착되어 중공부 내에 물이 침투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다. 상기 전원부(300)는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있는 것이며, 크기가 소형이고 또한 무게가 상당히 가볍다. 또한 전원부(300)의 몸체 외피(320)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전극의 역할을 하고, 또한 전원부의 봉형 돌 기부(310) 역시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전극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전극들은 소정의 절연체로 서로간에 절연되어 도통이 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가장 핵심부라 할 수 있는 발광부(400)의 단면을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여 발광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발광부(400)를 낚시찌 몸체의 중공부(110)에 삽입되어 있는 전원수용 앵커(200)의 내측 나사산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420)가 외부에 형성되고 또한 전원부(300)의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430)를 가지는 발광부 하부(440)와,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베어(bare) 상태의 발광체(450)가 재치되어 있는 기판부(460)가 구성되어 있는 발광부 상부(470)와, 상기 발광체(450)의 한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중공부(430) 내측을 따라 연장하여 중공부 끝에서 외부로 그 끝이 구부러진 외부 리드핀(480)과, 상기 발광체(450)의 또 다른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발광부 하부(440)와 발광부 상부(470)의 중간에 형성된 관통구(H)을 벽을 따라 연장하여 관통구가 끝나는 부분 이전에 관통구 벽쪽으로 구부러진 내부 리드핀 (490)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구(H)의 크기는 전원부(300)의 봉형 돌기전극(310)이 삽입되어 내부 리드핀(490)과 충분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설명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이 주,야간용 바다낚시찌를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낚시찌 몸체(100)의 중공부(110)에 전원부(300)를 수용하는 전원부 수용앵커(200)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앵커와 몸체의 결합이 끝난 후에, 만일 주간 낚시를 행하는 경우에, 전원부(300)의 봉형 돌기전극(310)이 낚시찌 몸체부를 향하도록 한 다음에 전원부의 몸체(320)를 발광부(400)의 하단부(420)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430) 내로 삽입한다. 그런 다음에,중공(430)로 삽입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전원부를 낚시찌 몸체(100)의 중공부(110)에 삽입되어 있는 전극수용 앵커(200)의 중공부(210)에 삽입하고, 발광부 하부(440)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420)를 중공부(210) 내측에 형성된 나사홈(220)과 나사결합한다. 그러면, 낚시를 위한 사용준비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준비된 낚시찌에 있어서, 전원부의 한 전극역할을 하는 전원부 몸체외피(320)는 발광부 하부(440) 내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외부 리드핀(480)과 접촉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전원부(300)의 봉형 돌기부(310)가 발광부 하부(440)의 중공(430)에 삽입되지 않고 전원수용 앵커(200)의 중공(210)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발광부(400)의 내부 리드핀(490)과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통을 위한 통전회로가 완전하게 구성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발광부(400)의 발광체(450)가 발광을 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주간에는 전원부(300)의 전력낭비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야간 낚시의 경우에, 주간낚시용으로 결합된 낚시찌에서부터 발광부(400)를 떼어내고, 그런 다음에 발광부(400)의 중공(430)에 삽입되어 있는 전원부(300)를 떼어낸다. 다음에, 전원부(300)의 봉형 돌기전극(310)이 중공(430)을 향하도록 한 다음에 전원부(300)를 중공(430)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봉형 돌기전극(310)이 발광부(40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H)에 삽입되어 내부 리드핀(490)과 전기적 접촉을 하게 된다. 또한 전원부의 몸체외피(320) 또한 중공(430)에 있는 외부 리드핀(480)과 전기적 접촉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통을 위한 통전회로가 완성되어, 발광부(400)의 발광체(450)가 발광을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부(300)를 발광부(400)의 중공에 삽입한 다음, 발광부(400)를 낚시찌 몸체(100)와 나사결합한다. 그러면, 야간낚시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피씨비(pcb) 기판 위에 베어(bare)상태의 발광체(450)를 재치한 후에, 소정의 본딩 절차를 통해 발광체의 전극을 리드핀에 연결한 다음에, 발광체 위에 에폭시와 같은 투명재질의 수지류로 볼록렌즈 형태로 인캡슐레이션한다. 그러면, 시중에서 구입하는 발광다이오드와는 달리 발광체(450)로부터의 빛이 투명한 수지를 통해 거의 대부분 방출되기 때문에 더 밝은 빛을 보이게 된다.
또한, 전원으로 발광체를 오래 동안 발광시키게 되면, 발광체에서 나오는 빛의 크기가 점점 더 줄어들게 되어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빛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전원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에 사용한 전원을 완전히 사용하지 않고 폐기하게 되어 비용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발광체(450)에 칩저항(R)을 연결시킴으로써, 전원의 전압이 떨어짐과 상관없이 발광체가 항상 일정한 크기의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전원을 보다 오래동안 사용하게 됨으로써 비용을 절감을 이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낚시찌의 몸체에 소정의 중공을 형성하고 또한 중공 내측에 나사선을 형성하며, 발광부에는 상기 몸체와 나사결합할 수 있는 나사를 형성하고 또한 전원을 수용할 수 있고 그리고 전원의 수용형태에 따라 발광부를 발광시키거나 또는 비발광시키는 중공부를 형성하여, 상기 낚시찌 몸체와 발광부를 결합시켜 사용함으로써, 주간에는 발광체를 사용하는 일이 없이 낚시찌를 사용할 수 있고, 야간에는 몸체와 발광체를 해체하여 전원을 통전가능 상태로 바꿔 발광부의 중공에 수납시켜 몸체와 발광체를 결합함으로써 야간용 낚시찌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그 편리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는 발광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광체 자체를 소정의 기판에 재치한 후에 에폭시와 같은 투명한 수지로 인캡슐레이션함으로써, 발광체에서 나오는 빛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발광체에 칩저항을 연결시킴으로서 전원에 남아있는 전력의 량에 상관없이 발광체로부터 나오는 광을 세기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전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주간과 야간에 사용할 수 있는 바다낚시찌에 있어서,
    소정 직경을 가지는 중공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낚시찌 몸체(100)와;
    상기 중공부(110)에 밀착,밀봉 상태로 삽입되며 또한 그 내부에 일단부가 개방된 중공부(210)가 형성되고, 중공부 내벽에 나사결합을 나사산(220)이 형성되는 전원수용 앵커(200)와;
    상기 전원수용 앵커(200)의 중공에 한 일단부가 수용되며, 봉형의 돌출전극(310)과 또 다른 전극으로서의 몸체 외피(320)를 가지는 전원부(300)와;
    전원수용 앵커(200)의 내측 나사산(220)과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420)가 외부에 형성되고 또한 전원부(300)의 일부를 끼워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430)를 가지는 발광부 하부(440)와, 베어상태의 발광체(450)가 재치되어 있는 기판부(460)가 구성되어 있는 발광부 상부(470)와, 상기 발광체(450)의 한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중공부(430)의 내벽을 따라 연장하여 중공부의 외측으로 그 끝이 구부러진 외부 리드핀(480)과, 상기 발광체(450)의 또 다른 전극과 연결되어 상기 봉형 돌출전극이 삽입되게 되는 관통구(H)의 내벽을 따라 연장하여 관통구가 중공부(430)와 연통되는 지점 이전에 관통구의 내벽쪽으로 구부러진 내부 리드핀(490)과, 그리고 발광부상부를 밀봉하는 광투과성의 캡(410)으로 구성된 발광부(400)로 이루어진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2. 제1항에 있어서, 기판부(460) 위에 재치된 베어상태의 발광체(450)를 투명한 수지로 밀봉하여, 발광체로부터의 광을 손실없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3. 제1항에 있어서, 주간낚시때에는, 전원부(300)의 봉형 돌기전극(310)을 낚시몸체(100)쪽을 향하도록 한 다음에 발광부(400)의 하부(440)에 있는 중공(300)에 끼워 삽입하여, 봉형 돌기전극(310)과 발광부의 관통구(H) 내측에 있는 내부 리드 핀(490)의 전기적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발광부의 발광체(450)가 발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4. 제1항에 있어서, 야간낚시때에, 전원부(300)의 봉형 돌기전극(310)을 발광부(400)쪽을 향하도록 한 다음에 발광부(400)의 하부(440)에 있는 중공(300)에 끼워 삽입하여, 봉형 돌기전극(310)이 발광부의 관통구(H)로 삽입되어 내부 리드핀(490)가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발광부의 발광체(450)가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5. 제1항에 있어서, 전원부(300)의 잔여 전력양에 상관없이 발광체(450)가 일정한 광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발광체(450)에 칩저항(R)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KR20-2003-0007113U 2003-03-10 2003-03-10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KR200315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113U KR200315641Y1 (ko) 2003-03-10 2003-03-10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113U KR200315641Y1 (ko) 2003-03-10 2003-03-10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641Y1 true KR200315641Y1 (ko) 2003-06-09

Family

ID=4933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113U KR200315641Y1 (ko) 2003-03-10 2003-03-10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6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460A (ko) * 2019-05-08 2020-11-18 김승환 전자 케미 라이트
KR102648513B1 (ko) * 2023-10-17 2024-03-15 김윤임 발광체를 구비한 전자찌의 전원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460A (ko) * 2019-05-08 2020-11-18 김승환 전자 케미 라이트
KR102236696B1 (ko) * 2019-05-08 2021-04-06 김승환 전자 케미 라이트
KR102648513B1 (ko) * 2023-10-17 2024-03-15 김윤임 발광체를 구비한 전자찌의 전원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467B1 (ko) 집어등용 노출단자의 절연구조
US5195266A (en) Fish lure
KR20090001670U (ko) 낚시용 전자 케미라이트
KR20180058007A (ko) 낚시찌용 발광장치
KR200315641Y1 (ko) 주,야간용 바다낚시찌
KR200452428Y1 (ko) 낚시찌용 전자 발광장치
KR20120050611A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낚시찌
KR200439140Y1 (ko) 전기적 접촉성능과 발광기능을 향상시킨 낚시찌
KR200398086Y1 (ko) 낚시인조미끼를 부설한 집어등
KR200390204Y1 (ko) 광 전자찌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KR101045755B1 (ko) 반사경을 갖는 발광찌
KR200424607Y1 (ko) 낚시용 전자찌의 광색 변환구
KR200390156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된 낚시찌
KR19990071365A (ko) 소형전기발광체
KR2014009058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200186624Y1 (ko) 전기발광 낚시찌
KR200279449Y1 (ko) 발광수단이 구비되는 낚시찌
CN213756331U (zh) 一种改进型发光电子浮漂以及用于该发光电子浮漂的卡塞
JP3085168B2 (ja) 電気浮子
JPH09224537A (ja) 電気浮子、電気浮子用発光装置及び電気浮子の発光方法
KR2014009073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CN209546677U (zh) 一种变色浮漂配件
KR102595885B1 (ko) 발광체를 구비한 전자찌의 전원공급장치
JP2000004741A (ja) 釣用発光浮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