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422Y1 -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 장치 - Google Patents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422Y1
KR200315422Y1 KR20-2003-0007272U KR20030007272U KR200315422Y1 KR 200315422 Y1 KR200315422 Y1 KR 200315422Y1 KR 20030007272 U KR20030007272 U KR 20030007272U KR 200315422 Y1 KR200315422 Y1 KR 200315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tower crane
wire drum
emergenc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7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연
Original Assignee
한국타워크레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워크레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워크레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7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 B66D1/44Control devices non-automatic pneumatic of hydrau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Shovels (AREA)

Abstract

타워크레인을 사용하는 건축공사장에서의 작업도중에 비상사태가 발생되었을 때, 크레인의 운전자가 크레인의 운전실 내부에 설치된 본 고안의 비상탈출 장치를 이용하여 지상으로 무사히 탈출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 장치를 제공하고자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탈출용 와이어(31)가 권취된 와이어드럼(30)은 상부에 걸고리(11)를 구성시킨 비상탈출기본체(10)의 중앙하부에 축과 베어링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시키고, 와이어드럼 축(33)의 일 측 단부와, 비상탈출기본체의 일 측 외벽 상단에 부착시킨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22)의 끝단을 커넥팅로드(40)로서 연결고정 시켜서 유압실린더(20)의 크랭크운동으로 커넥팅로드(40)가 회전 운동하여 와이어드럼(3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 장치 { Escape of tower crane }
본 고안은 고층건물을 건설하는 건축현장에 사용되는 타워크레인에 있어서; 타워크레인을 조작하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자세히는 건축현장에서의 타워크레인작업 시 천재지변 또는 기계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타워크레인이 쓰러질 때 운전자가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축현장에서 타워크레인작업 중 천재지변 또는 기계적인 결함 등불의의 사고로 인하여 운전자가 타워크레인의 운전석에서 지상으로 탈출하여야 할 경우 탈출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타워크레인의 마스터에 설치된 승강장치 외에는 특별한 장치가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사고가 발생되었을 때 승강 장치를 이용할 시간적인 여유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사고가 발생되었을 때 승강장치의 작동이 불가능할 때가 대부분인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한 사고가 발생 되었을 때 크레인의 운전자는 대부분이 목숨을 잃거나 중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타워크레인을 사용하는 건축공사장에서의 작업도중에 상기와 같은 사고가 발생되었을 때, 크레인의 운전자가 크레인의 운전실 내부에 설치된 본 고안의 비상탈출 장치를 이용하여 지상으로 무사히 탈출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장치를 제공하고자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와이어(31)가 권취된 와이어드럼(30)은, 상부에 걸고리(11)를 구성시킨 비상탈출기 본체프레임(12)의 중앙하부에 축(33)과 베어링(34)에 의해 회동되도록 구성시키고, 와이어드럼 축(33)의 일 측 단부와, 비상탈출기 본체프레임(12)의 일 측외벽 상단에 부착시킨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22)의 끝단을 커넥팅로드(40)로서 연결고정 시켜서 유압실린더(20)의 크랭크운동으로 커넥팅로드(40)가 회전 운동하여 와이어드럼(3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전체구성이 표현된 정면도.
도 2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걸고리 12 : 본체프레임
20 : 유압실린더 22 : 피스톤로드
30 : 와이어드럼 31 : 와이어
32 : 링크 40 : 커넥팅로드
50 : 크레인운전실 100 : 타워크레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전체구성이 표현된 정면도이며,
도 2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탈출 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어있다,
상기한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 비상탈출 장치는 상부에 걸고리(11)가 구성된 본체의 중앙하부에 탈출용 와이어(31)가 권취된 와이어드럼(30)이 축(33)과 베어링(34)에 의해 회동되도록 일체로 구성되며, 유압실린더(20)는 와이어드럼의 중심축과 수직선상에서 본체프레임(12)의 일 측 중앙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유압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2) 끝단에 커넥팅로드(40)를 부착시켜 상기 커넥팅 로드(40)를 와이어드럼(30)의 일 측 축(33)의 끝단과 조립시켜서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는 일정한 규격의 강철프레임으로 구성시키고,
와이어드럼(30)은 탈출을 위한 와이어(31)를 충분히 권취시켜 와이어드럼중심 축(33)을 이용하여 본체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의 하부중심에 조립시켜 본체내부에서 회동되게 구성되어있다.
그리고 주유 구(23)와 유압조절밸브(24)가 구성된 유압실린더(20)는 본체프레임의 일 측 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때 실린더의 피스톤 축(22) 중심선과 와이어드럼(30)의 중심은 동일선상에서 수직에 근접 -바람직하게는 유압실린더의 크랭크운동에 방해받지 않을 최소의각도- 하도록 위치하여야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유압실린더(20)는 체결 구(21)에 의해 본체 프레임(12)에 체결되나 좌우로 유동가능토록 구성되어야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축(22)의 끝단과, 실린더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와이어드럼의 축(33) 끝단에 커넥팅로드(40)를 연결시켜 유압실린더의 크랭크운동에 의하여 커넥팅로드(40)의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와이어드럼(30)의 회전으로 탈출용 와이어(30)가 풀려지게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와이어(31)의 끝단에는 비상탈출을 위한 링크(32)가 부착되어있으며,
본 고안 비상탈출 장치(10)는 타워크레인 운전실내부의 일정장소에 걸고리(11)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크레인 운전자는 구명조끼 또는 구명벨트를 상시 착용하거나 착용하기 쉬운 곳에 보관하며, 유사시 상기 조끼 또는 벨트를 착용한 후 타워크레인 운전실내부에 설치된 본 고안 비상탈출 장치(10)의 와이어(31) 끝단에 부착된 링크(32)와, 구명조끼 또는 구명벨트에 구비되어있는 링크와 결합시켜 지상으로 뛰어 내리게 되면 운전자의 자중에 의하여 유압실린더(20)가 작동되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축(22)과 와이어드럼 축(33)과 연결된 커넥팅로드(40)의 회전운동으로 인하여와이어드럼(30)이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며 와이어(31)가 일정한 속도로 풀려지게 되어 운전자는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라 완성되는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 장치는 건축공사 현장에서 타워크레인 작업도중 비상사태가 발생되었을 때 크레인의 운전자가 본 고안의 비상탈출 장치를 이용하여 지상으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인명구호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에 걸고리(11)가 구성된 본체의 중앙하부에, 끝단에 링크()를 구비한 탈출용 와이어(31)가 권취된 와이어드럼(30)이, 축과 베어링에 의해 회동되도록 일체로 구성되며, 유압실린더(20)는 와이어드럼의 중심축과 수직선상에서 본체프레임의 일측 중앙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유압실린더(20)의 피스톤로드(22) 끝단에 커넥팅로드(40)를 부착시켜 상기 커넥팅로드(40)를 와이어드럼(30)의 일 측 축(33)의 끝단과 조립시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 장치.
KR20-2003-0007272U 2003-03-05 2003-03-05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 장치 KR200315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272U KR200315422Y1 (ko) 2003-03-05 2003-03-05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7272U KR200315422Y1 (ko) 2003-03-05 2003-03-05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422Y1 true KR200315422Y1 (ko) 2003-06-02

Family

ID=49407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7272U KR200315422Y1 (ko) 2003-03-05 2003-03-05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4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131A (ko) 2018-10-05 2020-04-16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비상탈출이 용이한 타워크레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131A (ko) 2018-10-05 2020-04-16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비상탈출이 용이한 타워크레인
KR102102478B1 (ko) * 2018-10-05 2020-04-20 대한민국 비상탈출이 용이한 타워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77763B (zh) 载人升降车
KR200315422Y1 (ko) 타워크레인의 비상탈출 장치
CN207419566U (zh) 一种绞吸船的升降系统
CN201208902Y (zh) 轮胎吊车底盘
RU100510U1 (ru) Гусеничный кран
CN105179371A (zh) 一种调平齿轮齿条式摆动液压缸及使用该结构的消防车
JP7256584B2 (ja) 送電線延線作業用ドローンのパイロットロープ着脱装置
CN201746192U (zh) 电梯对重架上反绳轮的设置结构
CN2282439Y (zh) 高层建筑火灾救生器
CN210103329U (zh) 一种多功能空中连廊吊装设备
CN107472460A (zh) 挡缆桩
CN208145279U (zh) 可调式高层供水弯管与滑轮装置
CN113753811A (zh) 一种多连杆车载举升平台
CN103213891B (zh) 一种单绳缠绕式矿井提升机
CN214301252U (zh) 一种桥梁施工可旋转的检测平台
JP4810375B2 (ja) 下水道管渠等の人孔内の作業に使用される作業者用装置並びに該装置を使用する作業方法
CN2724752Y (zh) 一种救生器
CN206108610U (zh) 一种电梯限速器
CN210623230U (zh) 一种控制阀、变幅油缸、高空作业平台
CN2468512Y (zh) 液压减速救生装置
KR970006573Y1 (ko) 이동식 크레인의 카운트웨이트 장치
SU1328434A1 (ru) Подвеска
CN106276476A (zh) 一种电梯限速器
SU1158417A1 (ru) Противоотк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0885046U (zh) 一种塔吊顶升防倾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