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010Y1 - 자외선 차단 차양모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 차양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010Y1
KR200315010Y1 KR20-2003-0005805U KR20030005805U KR200315010Y1 KR 200315010 Y1 KR200315010 Y1 KR 200315010Y1 KR 20030005805 U KR20030005805 U KR 20030005805U KR 200315010 Y1 KR200315010 Y1 KR 200315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translucent member
opaque
translucent
opaqu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희석
Original Assignee
하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희석 filed Critical 하희석
Priority to KR20-2003-0005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0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외선 차단 차양모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시야확보를 위한 부위만을 한정하여 반투명부재를 사용하고, 그 외 부분에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해 불투명부재를 사용함으로서 사용자의 얼굴에 비춰지는 햇빛의 양을 감소시키고, 강도를 보강하여 사용과정에서 손상되는 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상기 차양(200)은 양측에 연결구(300)가 관통되는 관통홀(212)를 구비한 반투명부재(210)와; 양측에 위치하는 관통홀(222)과 시야확보를 위한 오목부(224)가 형성되고, 상기 반투명부재(210)의 하단 일부와 겹쳐 적층되는 불투명부재(220)와;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적층된 적층부(230)와; 상기 밴드(100)와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겹쳐지는 엔딩부(2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 차양모{peaked cap for ultraviolet interception}
본 고안은 자외선 차단 차양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차양에 시야확보를 위한 부위에 반투명부재를 사용하고, 그 외 부위에는 불투명부재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비춰지는 햇빛을 최대한 줄이고, 외관상 미려하며, 견고성이 보강된 차양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모는 사용자가 스포츠 관람, 등산, 낚시, 여행 시에 햇빛을 차단하여 눈부심을 방지하며 얼굴에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어 피부에 기미 등의 잡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차양모는 도시된 도 1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에 탄력적으로 조여질 수 있는 밴드(2)가 있고, 상기 밴드(2)에는 넓은 면적의 반투명한 차양(3)이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구(4)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양(3)은 얼굴을 완전히 가렸을 때 앞이 보이도록 하면서도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반투명수지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자외선 차단기능을 갖는 차양모(1)에 있어서는 사용 시 사용자가 밴드(2)를 이용해 머리를 지지시키면 되는데, 이 상태에서 햇빛의 자외선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밴드(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차양(3)을 아래쪽으로 눌러 상기 차양(3)이 얼굴을 완전히 가려주도록 하면 되고, 이 상태에서는 상기 차양(3)이 반투명수지임을 감안할 때 전방이 차양(3)에 의해 보이지 않거나 하는 문제는없게 된다.
하지만 자외선을 차단하고 싶지 않거나 아니면 그늘진 곳에서 모자를 계속적으로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밴드(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차양(3)을 위쪽으로 올려 상기 차양(3)이 얼굴을 완전히 가리지 않도록 하면 전방이 차양(3)을 통하지 않고 직접 보여지게 된다.
종래의 차양모(1)에 구비된 차양(3)은 전체를 이루는 반투명부재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고, 얇은 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도가 약하여 사용과정에서 쉽게 구부러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사용자의 시야확보를 위한 부위만을 한정하여 반투명부재를 사용하고, 그 외 부분에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해 불투명부재를 사용함으로서 사용자의 얼굴 에 비춰지는 햇빛의 양을 감소시키고, 강도를 보강하여 사용과정에서 손상되는 일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시야확보를 위한 반투명부재와; 시야확보 범위를 제외한 부위에 쏘여지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한 불투명부재와; 상기 반투명부재와 불투명부재가 적층되는 적층부와; 상기 밴드와 반투명부재와 불투명부재가 겹쳐지는 엔딩부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차양모 100 : 밴드
110, 212, 222 : 관통홀 200 : 차양
210 : 반투명부재 220 : 불투명부재
230 : 적층부 240 : 엔딩부
250 : 마감부재 260 : 봉제
300 : 연결구
이하 첨부된 도면을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 고정되는 밴드(100)와, 가장자리에 봉제(260)된 마감부재(250)를 구비하여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200)과, 상기 차양(200)이 밴드(1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구(300)로 구성된 자외선 차단 차양모(10)에 있어서, 상기 차양(200)은 양측에 연결구(300)가 관통되는 관통홀(212)를 구비한 반투명부재(210)와; 양측에 위치하는 관통홀(222)과 시야확보를 위한 오목부(224)가 형성되고, 상기 반투명부재(210)의 하단 일부와 겹쳐 적층되는 불투명부재(220)와;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적층된 적층부(230)와; 상기 밴드(100)와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겹쳐지는 엔딩부(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투명부재(210)는 그 양측에 관통홀(21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구(300)에 의해 밴드(100)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반투명부재(210)는 차양(200)이 사용자의 얼굴을 모두 가리도록 할 경우에 햇빛이 사용자의 눈에 직접 비춰지지 않도록 하면서, 전면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불투명부재(220)는 상기 반투명부재(210)의 하부에 그 일부가 겹쳐져 적층되도록 하고, 양측에 상기 반투명부재(210)에서와 같은 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300)에 의해 상기 밴드(100)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일정부위에 시야확보를 위한 오목부(2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224)는 상기 반투명부재(210)를 통해 사용자가 전면을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불투명부재(220)의 일부를 오목하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의 일부가 적층되면서 형성된 적층부(230)는 본 고안의 차양모(1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의 적층순서가 뒤바뀌지 않도록 하고, 이중으로 겹쳐지므로 차양(200)의 강도를 보강한다.
상기 밴드(100)와,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110), (212), (222)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차례로 적층한 뒤, 연결구(300)를 결합시킴으로서, 상기 밴드(100)에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엔딩부(240)는 상기 밴드(100)와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적층 후, 겹쳐진 부분으로, 그 상부를 봉제(260)하여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서로 고정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 고정되는 밴드(100)와, 가장자리에 봉제(260)된 마감부재(250)를 구비하여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200)과, 상기 차양(200)이 밴드(1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구(300)로 구성된 자외선 차단 차양모(10)에 있어서, 상기 차양(200)은 양측에 연결구(300)의 관통을 위한 관통홀(212)을 구비한 반투명부재(210)와; 양측에 관통홀(222)을 구비하고, 시야확보를 위한 오목부(224)가 형성되며, 상기 반투명부재(210)의 상단 일부와 겹쳐 적층되는 불투명부재(220)와;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적층되는 적층부(230)와; 상기 밴드(100)와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겹쳐지는 엔딩부(240)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2>
상기와 같은 차양모(10)에 있어서, 상기 차양(200)은 양측에 연결구(300)의 관통을 위한 관통홀(212)을 구비한 반투명부재(210)와; 양측에 관통홀(222)을 구비하고 시야확보를 위한 오목부(224)가 형성되며, 상기 반투명부재(210)의 하단 일부와 겹쳐 적층되는 불투명부재(220)와;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적층된 후 그 상부가 봉제(260)되어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일체 연결되도록 한 적층부(230)와; 상기 밴드(100)와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겹쳐지는 엔딩부(240)로 이루어진다.
<실시예 3>
상기와 같은 차양모(10)에 있어서, 상기 차양(200)은 양측에 연결구(300)의 관통을 위한 관통홀(212)을 구비한 반투명부재(210)와; 양측에 관통홀(222)을 구비하고 시야확보를 위한 오목부(224)가 형성되며, 상기 반투명부재(210)의 하단 일부와 겹쳐 적층되는 불투명부재(220)와;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적층된 적층부(230)와; 상기 밴드(100)와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겹쳐지는 엔딩부(2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투명부재(210)가 고글형상으로 형성되어 외관상 미려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적층되는 적층부(230)의 면적이 커지게 되어 차양(200)의 강도가 더욱 보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얼굴에 비춰지는 햇빛의 양을 감소시켜 햇빛에 포함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고,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의 겹침 구성에 의하여 차양(200)의 강도를 더욱 보강하며, 서로 다른 소재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외관상 미려하고 세련되게 보이도록 이루어진다.
반투명부재를 사용자의 시야확보를 위한 부위에 한정되도록 사용하고, 그 외 부분에는 햇빛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해 불투명부재를 사용함으로서 사용자의 얼굴 에 비춰지는 햇빛의 양을 감소시키고, 강도를 보강하여 사용과정에서 손상되는 일을 방지하도록 하며,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용자의 머리에 밀착 고정되는 밴드(100)와, 가장자리에 봉제(260)된 마감부재(250)를 구비하여 햇빛을 차단하는 차양(200)과, 상기 차양(200)이 밴드(1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구(300)로 구성된 자외선 차단 차양모(10)에 있어서,
    상기 차양(200)은 양측에 연결구(300)가 관통되는 관통홀(212)를 구비한 반투명부재(210)와; 양측에 위치하는 관통홀(222)과 시야확보를 위한 오목부(224)가 형성되고, 상기 반투명부재(210)의 하단 일부와 겹쳐 적층되는 불투명부재(220)와;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적층된 적층부(230)와; 상기 밴드(100)와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겹쳐지는 엔딩부(2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차양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딩부(240)는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를 적층 연결한 상태에서 그 상부가 봉제(260)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차양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230)는 상기 불투명부재(220)의 하부에 반투명부재(210)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차양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230)는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의 일부가 적층되도록 한 후 그 상부를 봉제(260)하여 상기 반투명부재(210)와 불투명부재(220)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차양모.
  5.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부재(210)는 고글의 형상과 같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차양모.
KR20-2003-0005805U 2003-02-27 2003-02-27 자외선 차단 차양모 KR200315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805U KR200315010Y1 (ko) 2003-02-27 2003-02-27 자외선 차단 차양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805U KR200315010Y1 (ko) 2003-02-27 2003-02-27 자외선 차단 차양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010Y1 true KR200315010Y1 (ko) 2003-06-02

Family

ID=4933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805U KR200315010Y1 (ko) 2003-02-27 2003-02-27 자외선 차단 차양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0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222A (ko) * 2015-03-10 2016-09-21 변형자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222A (ko) * 2015-03-10 2016-09-21 변형자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
KR101666940B1 (ko) * 2015-03-10 2016-10-17 변형자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06807A1 (en) Embedded type cap structure
US3128474A (en) Glareproof cap
KR100266995B1 (ko) 자외선 차단용 모자
KR200344884Y1 (ko) 차양패널을 구비한 모자
KR200315010Y1 (ko) 자외선 차단 차양모
KR101669500B1 (ko) 회전형 썬차양이 구비된 모자
KR100555729B1 (ko) 보조차양을 갖는 차양모
KR100810978B1 (ko) 모자 및 모자용 차단부재
KR200436303Y1 (ko) 자외선차단 차양모
KR200369583Y1 (ko) 모자
KR200246393Y1 (ko)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
JP2003049314A (ja) サングラスを設置した帽子
KR102254625B1 (ko) 크기와 디자인의 선택이 가능한 맞춤형 썬캡
KR200297339Y1 (ko) 차양모의 헤어밴드
KR20050045975A (ko) 자외선 차단용 차양이 구비된 모자
KR20130010605A (ko)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KR200426425Y1 (ko) 이단 차양이 구비된 썬캡
KR200315019Y1 (ko) 모자용 차양
KR200168835Y1 (ko) 차광모자
KR200344905Y1 (ko) 차양모자
KR200289886Y1 (ko) 썬캡 겸용 모자
KR200171962Y1 (ko) 보호안경이 축설된 차양모자
KR200251933Y1 (ko) 모자
KR200236686Y1 (ko) 차양에 투시창을 구비한 모자
KR200254830Y1 (ko) 자외선 차단용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