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940B1 -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 - Google Patents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940B1
KR101666940B1 KR1020150033250A KR20150033250A KR101666940B1 KR 101666940 B1 KR101666940 B1 KR 101666940B1 KR 1020150033250 A KR1020150033250 A KR 1020150033250A KR 20150033250 A KR20150033250 A KR 20150033250A KR 101666940 B1 KR101666940 B1 KR 101666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ire
support means
cap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222A (ko
Inventor
변형자
Original Assignee
변형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형자 filed Critical 변형자
Priority to KR102015003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94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4Peaks or visors detachable or movable, e.g. rot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42B1/0183Peaks or visors with stiff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1Collapsible or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6Transformable, convertible or reversible ha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7Means for attaching eyewear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 둘레 또는 전체를 감싸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과 일체 또는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챙을 포함하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은, 상기 지지수단과 접하는 내곽과 외부로 돌출되는 외각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자외선으로부터 적어도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차양막; 상기 차양막의 내곽 테두리에 마련된 프레임; 및 상기 차양막의 외곽 테두리에 굴곡 가능하게 내삽된 와이어;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챙의 외각에 자유 굴곡이 가능한 와이어가 내지되어, 자외선의 입사각과 시야에 따라 챙의 각도와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챙의 자유 굴곡을 통해, 휴대는 물론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은 물론,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양막 내곽에 프레임이 마련되어, 차양막의 형상과 지지수단과의 이격이 유지와 회동에 따른 간섭 예방이 가능하여 자외선 차단과 착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챙의 자유변형 또는 복원이 용이하여 독창적 개성연출이 가능하여 만족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경을 통한 신체 보호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상승효과를 구유하고 있는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Cap with variable visor}
본 발명은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챙의 외각에 자유 굴곡이 가능한 와이어가 내재되어 자외선의 입사각과 시야에 따라 챙의 각도와 면적을 선택적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챙의 부피축소가 가능한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자외선으로부터 시야확보는 물론, 피부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패션의 아이템으로도 착용하고 있으며, 그 종류로는 통상 야구모자, 썬캡 및 밀집모자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모자는 머리를 감싸 고정하는 지지수단 및 지지수단과 일체 또는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챙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수단은 모리 둘께를 감싸는 밴드(예를 들어, 썬캡)와 머리 전체를 감싸는 캡(예를 들어, 야구모자 및 밀집모자)을 아우르는 표현이다.
챙은 통상 한 쌍의 외피 사이에 소정 두께의 종이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심재가 내장되어 그 형상이 정형화되어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챙은 형상의 변화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굴곡이 가해질 경우, 심지가 훼손되어, 형상의 유지는 물론, 본연의 기능인 자외선 차단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소비자 취향과 독창성이 요구되는 패션 아이템인 모자의 정형화를 탈피시킬 필요가 있으며, 패션 아이템으로서의 만족도는 물론, 기능성이 가미된 모자의 연구 요구되고 있으며, 나아가, 모자 본연의 기능과 함께 독창성과 소비자의 요구가 반영된 모자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모자의 한계 극복을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챙의 외각에 자유 굴곡이 가능한 와이어가 내지되어, 자외선의 입사각과 시야에 따라 챙의 각도와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를 제안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챙의 자유 굴곡을 통해, 휴대는 물론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은 물론,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를 제안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양막 내곽에 프레임이 마련되어, 차양막의 형상과 지지수단과의 이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회동에 따른 간섭을 예방하여 회동의 편의는 물론, 자외선 차단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를 제안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양막 외곽에 와이어가 내재되어, 챙의 자유변경을 통해 착용자의 연출력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여 본인만의 개성을 돋보이도록 하거나 또는, 와이어가 형상기억 합금과 같이 탄력적 복원이 가능한 소재일 경우, 변형에 따른 복원이 용이하도록 하여, 모자 자체의 형상이 지속되도록 하여 착용의 만족감을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를 제안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챙의 내측에 지지수단과 일체 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보호경을 통해, 바람 및 자외선은 물론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안면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를 제안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머리 둘레 또는 전체를 감싸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과 일체 또는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챙을 포함하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은, 상기 지지수단과 접하는 내곽과 외부로 돌출되는 외각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자외선으로부터 적어도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차양막; 상기 차양막의 내곽 테두리에 마련된 프레임; 및 상기 차양막의 외곽 테두리에 굴곡 가능하게 내삽된 와이어;를 개시한다.
상기 차양막은, 한 쌍이 나란한 직물인 것이며, 내곽 및 외곽 테두리 중 적어도 외곽 테두리에 봉제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재의 봉제를 통해 상기 프레임 및 와이어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는, 변형이 유지되는 금속제이거나, 변형의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금속 및 합성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탄성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는, 다수의 마디가 힌지 구조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차양막과 함께 상기 지지수단과 접착 또는 봉제를 통해 일체형으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수단과 일부가 중첩된 접합을 통해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챙은, 상기 차양막의 내곽에 상기 프레임이 내재되어, 상기 차양막의 형상유지 및 상기 지지수단과의 이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가 관통하는 한 쌍의 홀; 및 상기 한 쌍의 홀 사이 상기 차양막의 내곽 테두리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홀이 형성된 양단의 두께 대비 0.5 내지 1.5의 비율을 갖으며, 두께 비율은 단계적으로 점증되거나,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챙은, 상기 지지수단과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보호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챙의 외각에 자유 굴곡이 가능한 와이어가 내지되어, 자외선의 입사각과 시야에 따라 챙의 각도와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챙의 자유 굴곡을 통해, 휴대는 물론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은 물론,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양막 내곽에 프레임이 마련되어, 차양막의 형상과 지지수단과의 이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회동에 따른 간섭을 예방하여 회동의 편의는 물론, 자외선 차단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양막 외곽에 와이어가 내재되어, 챙의 자유변경을 통해 착용자의 연출력 향상이 가능하도록 하여 본인만의 개성을 돋보이도록 하거나 또는, 와이어가 형상기억 합금과 같이 탄력적 복원이 가능한 소재일 경우, 변형에 따른 복원이 용이하도록 하여, 모자 자체의 형상이 지속되도록 하여 착용의 만족감을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챙의 내측에 지지수단과 일체 또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보호경을 통해, 바람 및 자외선은 물론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안면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챙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챙의 일례를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개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D1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도 3의 D2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챙 전개상태에서의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착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보호경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의 변형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자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00)는 자외선으로부터 적어도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나아가, 자외선의 입사각과 시야에 따라 챙의 각도와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모자(100)는 머리 둘레 또는 전체를 감싸는 지지수단(110) 및 지지수단(110)과 일체 또는 힌지(130)를 통해 회동 가능하면서, 선택적 굴절이 자유로운 챙(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수단(110)은 모자(100)를 신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영역 내지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상 야구모자 및 밀집모자 등과 같이 머리 전체를 감싸는 영역을 지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머리 둘레를 감싸는 밴드 형태를 지지수단으로 지칭한다.
이러한 지지수단(110)은 모자(100)의 기능에 따라 도 1a과 같이 챙(120)과 일체의 형태로 이루거나 또는, 도 1b와 같이 지지수단(110)과 모자(100)가 힌지(130)를 통해 결합된다.
도 1a의 모자(100)일 경우, 챙(120)이 지지수단(110)에 고정된 통상의 모자(100)로서, 챙(120)과 지지수단(110)이 봉제에 의해 일체화된 상태를 이루고,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와 같이 내부적 결합구조에 의해 일체화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b의 모자(100)는 지지수단(110)과 챙(120)이 힌지(130) 결합되어, 자외선 내지는 시야에 따라 챙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챙(120)은 모자(100)와 힌지(130)를 통해 결합되며, 힌지(130)는 브래킷(131)에 의해 고정되어 챙(120)의 원활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챙(120)은 자유 굴곡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110)과 접하는 내곽과 외부로 돌출된 외곽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자외선으로부터 적어도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차양막(125), 차양막(125)의 내곽 테두리에 내삽된 판재 형태의 프레임(121) 및 차양막(125) 외곽 테두리에 굴곡 가능하게 내삽된 와이어(124)를 포함하고, 프레임(121)과 와이어(124) 사이가 공백으로 이루어지며, 챙(120)의 공백은 자율적 굴곡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양막(125)은 한 쌍이 나란한 직물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내곽 및 외곽 중 적어도 외곽 테두리에 봉제되는 마감부재(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감부재(127)는 차양막(125)의 마감하기 위한 수단은 물론, 프레임(121) 및 와이어(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즉, 도 2와 같이 지지수단 챙(120)이 일체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챙(120)의 내각에는 마감부재(127)를 적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때는 외곽 테두리에만 적용하는 것이다.
한편, 지지수단(110)과 챙(120)이 일체화를 이룰 경우, 챙(120)의 내곽을 나타낸 상세도와 같이 지지수단(110)의 심지(113)와 프레임(121)이 소정 중첩된 접합상태를 이루며, 이때, 접합은 봉제 내지는 접착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첩에 의한 단차는 별도의 쿠션부재(111)를 통해 커버되도록 하여, 착용에 따른 이질감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힌지(130)를 통해 결합된 구조의 챙일 경우, 도 3 내지 5와 같이 챙의 내곽과 외곽은 마감부재(127)가 적용되며, 마감부재(127)를 통해 프레임(121)과 와이어(124)가 차양막(125)에 내재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챙의 일례를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개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D1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3의 D2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21)은 양단에 도 1의 힌지(130)가 관통하는 한 쌍의 홀(122)이 형성되고, 한 쌍의 홀(122) 사이 영역으로서 차양막(125)의 내곽 테두리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프레임(121)은 합성수지 내지는 종이 보드인 것이 바람직하나, 다만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123)는 일면이 차양막(125)의 내곽에 대응하는 만곡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타면은, 곡면, 수평면 및 사면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면체로 이루어진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삭제
이상과 같이 프레임이 차양막 내곽에 마련되어, 챙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할 경우, 지지수단과의 이격상태를 유지시켜 회동에 따른 간섭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차양막(125) 내곽에 프레임(121)이 마련됨으로써, 지지수단(110)과 챙(110)의 이격이 유지되기 때문인데, 만약 프레임(121)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챙(120)의 내곽은 형상유지와 지지수단(110)과의 이격 유지가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지지수단(110)과 챙(120)은 회동 시, 간섭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사용자는 모자(100)의 착용에 불편함과 번거로움의 발생으로 인해 착용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와이어(124)는 차양막(125) 외곽 테두리에 굴곡 가능하게 내삽되며, 마감부재(127)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와이어(124)는 변형이 유지되는 금속제이거나, 변형발생시 복원이 이루어지는 금속 및 합성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탄성체이다. 즉, 와이어(124) 특성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을 굴곡시켜 고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굴곡 발생시 탄력적으로 복원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나, 다만, 본 발명에서는 굴곡이 유지되도록 하여 하는 와이어(124)의 적용례를 토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와이어(124)는 도 9와 같이 굴곡이 이루어지면 현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황(예를 들어, 자외선의 입사각과 시야 확보를 위해)에 따라 챙(120)의 일부 내지는 상당수 영역을 굴곡하여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만족감을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챙(120)의 굴곡 유지가 가능하므로, 휴대는 물론,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과, 공간의 활용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와이어(124)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다수의 마디가 힌지 구조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구조일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관절 구조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챙(120)과 더불어,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경(140)이 더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챙 전개상태에서의 저면도, 도 7은 모자의 착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보호경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경(140)은 지지수단(110)과 일체 또는 힌지(13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경(140)은 자외선 내지는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투명의 합성수지 및 유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투명의 합성수지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경(140)은 자외선의 효과적 차단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면에 자외선 차단용 필름 또는 필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챙(120)과 함께 보호경(140)이 마련된 모자를 통해, 바람에 의해 대기중 이물질이 눈으로 유입되거나, 안면부 가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보호경(140)에 자외선 차단과 함께 편광기능이 더 부가될 수 있으며, 이는 통해 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전은 물론, 수상레저 등 다양한 레저분야에서도 착용이 가능하여, 모자의 산업의 확장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보호경(1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챙(120)과, 지지수단(110)이 힌지(130) 결합되어, 상호 회동을 통해, 선택적으로 챙(120)과 보호경(140)을 중첩하거나, 챙(120)을 상부로 회동시겨 안면에 보호경(140)만이 위치하도록 착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모자는 자외선의 입사각과 시야에 따라 챙의 각도와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챙의 자유 굴곡을 통해, 휴대는 물론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은 물론,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양막 내곽에 프레임이 마련되어, 차양막의 형상과 지지수단과의 이격이 유지와 회동에 따른 간섭 예방이 가능하여 자외선 차단과 착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챙의 자유변형 또는 복원이 용이하여 독창적 개성연출이 가능하여 만족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호경을 통한 신체 보호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상승효과를 구유하고 있는 발명인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모자 111 : 쿠션부재
113 : 심지 110 : 지지수단
120 : 챙 121 : 프레임
122 : 홀 123 : 지지부
124 : 와이어 125 : 차양막
127 : 마감부재 129 : 공백
130 : 힌지 131 : 브래킷
140 : 보호경

Claims (10)

  1. 머리 둘레 또는 전체를 감싸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과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챙을 포함하는 모자에 있어서,
    상기 챙은, 상기 지지수단과 접하는 내곽과 외부로 돌출되는 외각이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자외선으로부터 적어도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차양막;
    상기 차양막의 내곽 테두리에 내재되어 상기 차양막 형상이 유지되도록 하는 프레임; 및
    상기 차양막의 외곽 테두리에 굴곡 가능하게 내삽된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차양막은, 상기 프레임과 와이어 사이에 공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챙의 자유 변형이 가능한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막은,
    한 쌍이 나란한 직물인 것이며, 내곽 및 외곽 테두리 중 적어도 외곽 테두리에 봉제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부재의 봉제를 통해 상기 프레임 및 와이어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챙의 자유 변형이 가능한 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변형이 유지되는 금속제이거나, 변형의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금속 및 합성수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챙의 자유 변형이 가능한 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다수의 마디가 힌지 구조에 의해 굴곡 가능하게 연결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챙의 자유 변형이 가능한 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차양막과 함께 상기 지지수단과 접착 또는 봉제를 통해 일체형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챙의 자유 변형이 가능한 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수단과 일부가 중첩된 접합을 통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챙의 자유 변형이 가능한 모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챙은,
    상기 차양막의 내곽에 상기 프레임이 내재되어, 상기 지지수단과의 이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챙의 자유 변형이 가능한 모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양단에 마련되어 상기 힌지가 관통하는 한 쌍의 홀; 및
    상기 한 쌍의 홀 사이 영역으로서 차양막의 내곽 테두리 형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 변형이 가능한 모자.
  9. 삭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챙은,
    상기 지지수단과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보호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챙의 자유 변형이 가능한 모자.
KR1020150033250A 2015-03-10 2015-03-10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 KR101666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250A KR101666940B1 (ko) 2015-03-10 2015-03-10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250A KR101666940B1 (ko) 2015-03-10 2015-03-10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22A KR20160109222A (ko) 2016-09-21
KR101666940B1 true KR101666940B1 (ko) 2016-10-17

Family

ID=57079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250A KR101666940B1 (ko) 2015-03-10 2015-03-10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9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436B1 (ko) * 2020-09-25 2021-01-29 김진복 안면보호 및 자외선 차단용 모자
KR200496513Y1 (ko) * 2021-08-10 2023-02-16 고도영 모자 겸용 손수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324B1 (ko) * 2017-11-10 2019-07-24 변형자 곡률 조절이 가능한 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495B2 (ja) * 1994-08-06 2001-04-09 インターナシヨ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ヨン データ通信ネットワークをテス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0315010Y1 (ko) * 2003-02-27 2003-06-02 하희석 자외선 차단 차양모
KR200321922Y1 (ko) * 2003-04-30 2003-07-31 우정택 플렉시블 와이어가 내장된 모자
KR200416125Y1 (ko) * 2006-03-02 2006-05-11 신동진 모자용 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4495A (ja) * 1989-11-10 1991-07-02 Canon Inc 画像信号記録再生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495B2 (ja) * 1994-08-06 2001-04-09 インターナシヨ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ヨン データ通信ネットワークをテスト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0315010Y1 (ko) * 2003-02-27 2003-06-02 하희석 자외선 차단 차양모
KR200321922Y1 (ko) * 2003-04-30 2003-07-31 우정택 플렉시블 와이어가 내장된 모자
KR200416125Y1 (ko) * 2006-03-02 2006-05-11 신동진 모자용 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436B1 (ko) * 2020-09-25 2021-01-29 김진복 안면보호 및 자외선 차단용 모자
KR200496513Y1 (ko) * 2021-08-10 2023-02-16 고도영 모자 겸용 손수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22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38538C (en) The headgear for intercepting ultraviolet rays
US9107465B2 (en) Angle-adjustable sun cap
US20140173811A1 (en) Unit composed of helmet and protective eye mask
KR101666940B1 (ko) 챙의 자유변형이 가능한 모자
KR101160080B1 (ko) 귀걸이형 썬캡
US5815832A (en) Assembly and method for moving an eyeshield between positions on a hat
JP6818990B2 (ja) 回転型サンバイザーを備えた帽子
US9158126B1 (en) Adjustable temple piece with securement attachment
KR101613949B1 (ko) 접철식 차양이 구비된 모자
US20050268364A1 (en) Sun hat with an enlarged visor
US20150351966A1 (en) Visor for protecting eyes without disturbing hairstyle
KR101279141B1 (ko) 차양을 갖는 안경
KR101963301B1 (ko) 차양막이 구비된 차양모자와 이의 제조방법
KR200399103Y1 (ko) 안경렌즈 장착식 선캡
KR200454807Y1 (ko) 차양 모자
KR200363347Y1 (ko) 모자 장착용 선글라스의 이동구조
JP3185602U (ja) フード付き眼鏡
KR200313752Y1 (ko) 빛 차단 부재가 설치된 모자
KR101743033B1 (ko) 차양모자
KR200344905Y1 (ko) 차양모자
JP3105808U (ja) サンバイザー付き帽子
KR200251933Y1 (ko) 모자
KR101427745B1 (ko) 이중 자외선 차단막을 갖는 모자
KR20200000378U (ko) 이중차양모
US10016305B2 (en) Clip-on earmuff and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