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033B1 - 차양모자 - Google Patents

차양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033B1
KR101743033B1 KR1020160002355A KR20160002355A KR101743033B1 KR 101743033 B1 KR101743033 B1 KR 101743033B1 KR 1020160002355 A KR1020160002355 A KR 1020160002355A KR 20160002355 A KR20160002355 A KR 20160002355A KR 101743033 B1 KR101743033 B1 KR 101743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hair band
flange
wear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오승
Original Assignee
(주)청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림 filed Critical (주)청림
Priority to KR102016000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6Visors with sunscreens, e.g. tinted or dual viso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에 결합되어 햇빛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한 플라스틱 필름상의 차양부; 상기 헤어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차양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차양부에 결합되고, 통풍이 가능하도록 메쉬(mesh)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양모자{SUN VISOR}
본 발명은 머리에 착용하여 햇빛으로부터 얼굴 피부를 보호하는 차양모자에 관한 것이다.
차양모자는 햇빛으로부터 얼굴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이 강조된 모자로서, 일명 '썬캡'이라 불린다. 특히 여름철의 강한 태양광선으로부터 안면을 보호하거나 자외선이 직접 얼굴에 닿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서 차양모자는 햇빛으로부터 사용자 얼굴로 진행하는 빛을 가리기 위한 차양과 이를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헤어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차양모자는 차양의 각도조절가능여부, 헤어밴드의 체결방식 등에 따라서, 핀캡, 각도캡, 바이저(visor)로 구분된다.
핀캡은 머리를 둘러싸는 플라스틱 고정 밴드에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그와 유사한 필름지의 차양이 결합되어 자외선 차단 기능을 하게 된다.
각도캡은 구조는 핀캡과 유사하지만, 헤어밴드와 차양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차양의 각도가 조절가능하다. 즉, 햇빛의 입사각에 따라서 차양의 각도를 사용자의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바이저는 주로 테니스나 골프 등의 운동시 착용하는 것으로서, 플라스틱 재질의 차양 부분과 원단 재질의 헤어밴드가 봉제를 통해서 결합된다. 헤어밴드 자체에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버클이나 벨크로 같은 체결부재가 별도로 요구된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차양모자는 차양의 전면이 폴리카보네이트로 되어 있어서 통풍이 안되어 얼굴부위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마에 쉽게 땀이 차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양모자를 착용한 상태에서 말할 때 소리가 울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예민한 착용자에게 매우 불편감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1434호(2014. 12. 04 등록, 차양길이 조절용 모자)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감이 우수한 차양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가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차양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에 결합되어 햇빛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한 플라스틱 필름상의 차양부; 상기 헤어밴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차양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차양부에 결합되고, 통풍이 가능하도록 메쉬(mesh)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자가 제공된다.
상기 메쉬부는, 상기 차양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부 메쉬; 및 상기 전면부 메쉬와 대응되도록 상기 차양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부 메쉬를 포함하여, 2 중 메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차양부가 개구되지 않고 잔여하는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는 상기 전면부 메쉬와 상기 후면부 메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 메쉬와 상기 후면부 메쉬는 메쉬 패턴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차양부와 상기 메쉬부는 서로 봉제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착용자가 차양모자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착용자의 땀 등의 분비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착용자에게 쾌적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차양모자에 의하여 착용자의 말소리가 울리는 문제가 해결되어 착용자에게 우수한 착용감이 제공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차양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차양모자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의 전면부 메쉬의 메쉬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의 후면부 메쉬의 메쉬 패턴을 나타낸 도면.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양모자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차양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차양모자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의 전면부 메쉬의 메쉬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의 후면부 메쉬의 메쉬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는, 헤어밴드(100), 차양부(200), 개구부(300) 및 메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어밴드(100)는 착용자의 이마와 머리에 걸쳐 착용되는 부분으로, 차양모자를 착용자에게 고정시켜 주는 것이다.
헤어밴드(10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헤어밴드(100)는 고무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헤어밴드(100)는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맞게 신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헤어밴드(100)는 절개라인이 없이 원형띠 형상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착용자가 차양모자를 머리 정수리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착용 또는 탈모하게 된다.
또한, 헤어밴드(100)는 강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헤어밴드(100)의 착용자 뒷통수 부분은 절개되어, 헤어밴드(100)의 양단이 착용자 뒷통수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강성이 높다는 것은, 변형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의미한다. 착용자는 헤어밴드(100)의 절개부분을 기준으로 헤어밴드(100) 양단을 벌리고, 차양모자를 이마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착용하게 되고, 헤어밴드(100)에는 높은 강성 때문에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헤어밴드(100)는 착용자의 머리둘레에 맞게 자동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다만, 헤어밴드(100)의 강성은 착용자의 평균적인 힘으로 순간적으로는 변형될 수 있지만, 착용 후에는 착용자 이마와 머리에 밀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착용자의 피부 보호를 위해, 헤어밴드(100) 외피가 부드러운 직물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착용자 이마 측 외피로는 상대적으로 마찰계수가 큰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헤어밴드(100)는 착용자 이마에 대해서 잘 흘러내리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헤어밴드(100)의 착용자 뒷통수 부분에는 결합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는, 지퍼(zipper), 단추, 버클(buckle), 벨크로(belcro) 등일 수 있다. 즉, 헤어밴드(100)는 원형띠 상으로 형성되지 않고, 헤어밴드(100)의 일측이 절개되어, 헤어밴드(100)의 양단이 상술한 결합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헤어밴드(100)는 착용자의 머리둘레 맞게 수동적으로 길이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헤어밴드(100)는 부드러운 직물 소재로 이루어져 변형이 용이할 수 있다.
헤어밴드(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있으나,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양부(200)는 헤어밴드(100)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얼굴을 보호하는 부분이다. 즉, 차양부(200)는 착용자의 얼굴을 햇빛, 비 등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차양부(200)는 착용자의 이마 쪽에 위치하도록 헤어밴드(100)에 결합될 수 있다.
차양부(200)는 경질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필름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차양부(200)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양부(200)의 플라스틱은 구부러지거나 접힐 수 있을만큼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차양부(200)는 부채꼴 모양으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이마에 맞도록 구부러져 위로 볼록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차양부(200)는 햇빛을 가릴 수 있어야 하므로, 플라스틱은 햇빛 투과율이 낮은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햇빛 투과율이 거의 없도록 두꺼울 수 있다. 또한, 차양부(200)는 햇빛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어두운 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착용자의 얼굴이 햇빛의 특정 파장인 자외선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차양부(200)에는 자외선 차단 코팅이 마련될 수 있다.
차양부(200)는 헤어밴드(10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양부(200)와 헤어밴드(100)는 봉합될 수 있다.
여기서, 차양부(200)의 헤어밴드(100)와 결합되는 측의 단부를 내측단(즉, 차양부(200)의 착용자 이마 측 단부)이라고 부를 수 있고, 그 반대의 단부(즉, 차양부(200)의 착용자 이마와 먼 단부)를 외측단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외측단 중 내측단과 바로 붙어있는 일부분을 좌우단이라 칭할 수 있다. 그리고, 좌우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최외측단이라고 칭할 수 있다.
역기서, 최외측단과 좌우단은 명백히 구분이 될 수도 있지만, 정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 상 최외측단과 좌우단을 도입하도록 한다.
차양부(200)의 내측단은 착용자의 이마에 대응되도록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양부(200)의 외측단 역시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양부(200)의 외측단에는 외피가 형성될 수 있으며, 차양부(200)가 플라스틱 필름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착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외피가 부드러운 직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피는 차양부(200)에 봉제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외피는 차양부(200)의 강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즉, 차양부(200)의 외측단이 불필요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피를 차양부(200) 외측단에 덧댐으로써, 차양부(200)가 뻣뻣해져 차양부(200)의 형상이 잘 유지될 수 있다.
봉제선의 간격에는 제한은 없지만, 차양부(200) 형상 지지를 위해서, 그 간격은 약 0.5cm일 수 있다.
한편, 차양부(200)는 헤어밴드(10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차양부(200)의 양단과 헤어밴드(100)의 일면이 힌지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양부(200)의 헤어밴드(100) 일면에 대한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개구부(300)는 차양부(200) 에 마련되는 부분으로, 차양부(200) 내측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00)는 헤어밴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차양부(200)의 내측단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개구부(300)는 내측단에서 소정 간격(제1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300)는 차양부(200)의 외측단과도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개구부(300)는 차양부(200)의 좌우단과도 소정 간격(제2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간격은 내측단과 개구부(300) 간의 제1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300)는 차양부(200)의 최외측단과도 이격되며, 차양부(200)의 최외측단과 이격된 간격(제3 간격)의 거리는 제1 간격, 제2 간격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도 2를 참조하면, 개구부(300)의 가장자리에는 개구부(300)의 가장자리에는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R)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개구부(300)의 네 가장자리 중, 차양부(200)의 최외측단 쪽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R)라 칭할 수 있다.
결국,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R)의 폭은 상술한 제1 간격, 제2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개구부(300)의 가장자리에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R)가 형성된다는 것은, 차양부(200)에 개구부(300)가 마련되더라도, 개구부(300)에 의하여 차양부(200)가 헤어밴드(100)와 분리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차양부(200)는 헤어밴드(100)와 접촉되도록 결합되고 있으며, 이는, 차양부(200)에 개구부(300)가 마련되더라도 차양부(200)가 그 형상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메쉬부(400)는 메쉬구조, 망사형으로 된 것으로, 차양부(200)의 개구부(3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쉬부(400)는 개구부(300)를 커버하도록 차양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메쉬부(400)의 면적은 개구부(30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메쉬부(4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메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쉬부(400)는 복수의 합성수지 섬유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합성수지 섬유들은 망사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쉬 패턴이란, 합성수지 섬유들이 배치된 모양을 일컫는다.
다만, 메쉬부(400)는 반드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경우에 따라서 금속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메쉬 패턴이란, 복수의 금속사(絲)들이 배치된 모양을 일컫는다.
그리고 메쉬부(400)는 폴리(poly) 재질의 실로 경사나 위사를 진행하여 형성된 망사일 수 있다. 이렇게 폴리 재질로 경사나 위사를 진행하여 형성함으로써, 메쉬부(400) 전체에 주름이 가지 않고 뻣뻣한 느낌을 가져다 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메쉬부(400)는 지지력을 갖게되고, 차양부(200) 전체는 정돈된 느낌을 유지할 수 있다.
즉, 메쉬부(400)의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쉬패턴은 메쉬부(400)의 해당 소재가 배치된 모양을 말하는 것이다.
메쉬부(400)는 전면부 메쉬(F)와 후면부 메쉬(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 메쉬(F)는 차양부(200)의 전면(즉, 차양부(200)의 양면 중 햇빛을 바라보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고, 후면부 메쉬(B)는 차양부(200)의 후면(즉, 차양부(200)의 양면 중 착용자 얼굴을 바라보는 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전면부 메쉬(F)와 후면부 메쉬(B)는 개구부(3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대응되도록 겹칠 수 있다. 이렇게, 전면부 메쉬(F)와 후면부 메쉬(B)가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어, 메쉬부(400)가 2중 메쉬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통풍과 햇빛 차단 모두의 효과가 효율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개구부(300)의 가장자리에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R)가 마련되는 경우, 전면부 메쉬(F)와 후면부 메쉬(B)는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R)의 전면과 후면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R)는 전면부 메쉬(F), 후면부 메쉬(B) 사이에 배치된다.
즉, 메쉬부(400)는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R)의 상부와 하부를 커버한다. 즉, 2중의 메쉬로 형성되어,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R)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상 깔끔해보이는 효과뿐만 아니라, 플리스틱 필름 잔여부(R)에 손이나 얼굴 등의 피부가 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메쉬부(400)는 차양부(200)에 봉제결합될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차양부(200)에 봉제결합될 수 있다. 메쉬부(400)와 차양부(200)가 봉제결합된 부분은 도면들에서 A로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메쉬부(400)는 차양부(200) 내측단 쪽의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R)와는 접착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메쉬부(400)는 차양부(200) 좌우단 쪽의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R)와도 접착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는 테이프, 본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쉬부(400)의 차양부(200) 최외측단 쪽과는 봉제결합될 수 있다. 메쉬부(400)의 가장자리는 차양부(200)의 면에 안착되고 메쉬부(400)와 차양부(200)가 함께 스티칭(stitching)될 수 있다. 이러한, 봉제결합은 메쉬부(400)와 차양부(200)의 결합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전면부 메쉬(F)는 차양부(200) 전면에 봉제결합되고, 후면부 메쉬(B)는 차양부(200) 후면에 봉제결합될 수 있다.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서, 메쉬부(400)는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R) 전체와 봉제결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면부 메쉬(F)와 후면부 메쉬(B)는 서로 다른 메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는 전면부 메쉬(F)의 메쉬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전면부 메쉬(F)의 메쉬 패턴은 'X'자가 반복되는 모양일 수 있다.
도 4에는 후면부 메쉬(B)의 메쉬 패턴이 도시되어 있다. 후면부 메쉬(B)의 메쉬 패턴은 '+'자가 반복되는 모양일 수 있다.
전면부 메쉬(F)와 후면부 메쉬(B)는 서로 겹치도록 형성되며, 각 메쉬 패턴이 서로 상이에하게 형성된다면, 메쉬부(400)에 의한 메쉬 구멍이 더 촘촘해지기 때문에, 햇빛 차단의 효과가 커지면서도 통풍 효과는 유지될 수 있다.
메쉬 패턴은 도 3 및 도 4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쉬 패턴은, 망사 모양뿐만 아니라 메쉬 구멍 크기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예를 들어, 전면부 메쉬(F)와 후면부 메쉬(B)의 메쉬 패턴이 모두 'X'자 반복 형상이더라도 그 크기만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 메쉬(F)와 후면부 메쉬(B)의 메쉬 패턴(모양 및 크기)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도, 전면부 메쉬(F)와 후면부 메쉬(B)의 메쉬 패턴이 서로 어긋나게 겹쳐지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에 의하면, 차양부에 형성된 개구부 그리고 개구부 상에 형성된 메쉬부에 의하여, 통풍이 가능하게 되고, 동시에 메쉬부에 의하여서도 차양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양부 전체에 대해 햇빛 차단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모자는, 기존의 차양모자의 차양 특성에 통풍 특성을 결합한 것으로, 착용자에게 쾌적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메쉬부의 메쉬 구멍에 의하여, 착용자의 말이 차양부에 의하여 반사되는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착용자가 차양모자를 쓴 채로 말을 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말소리가 울리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헤어밴드
200: 차양부
300: 개구부
400: 메쉬부
F: 전면부 메쉬
B: 후면부 메쉬
R: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
A: 봉제결합부

Claims (5)

  1. 헤어밴드;
    상기 헤어밴드의 하단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햇빛으로부터 착용자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한 플라스틱 필름상의 차양부;
    상기 헤어밴드의 하단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차양부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차양부에 결합되고, 통풍이 가능하도록 메쉬(mesh)구조로 형성되는 메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양부는,
    자외선 차단 코팅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쉬부는,
    상기 차양부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부 메쉬; 및
    상기 전면부 메쉬와 대응되도록 상기 차양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부 메쉬를 포함하여, 2 중 메쉬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부 메쉬와 상기 후면부 메쉬는 메쉬 패턴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차양부가 개구되지 않고 잔여하는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스틱 필름 잔여부는 상기 전면부 메쉬와 상기 후면부 메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부와 상기 메쉬부는 서로 봉제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모자.

KR1020160002355A 2016-01-08 2016-01-08 차양모자 KR101743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355A KR101743033B1 (ko) 2016-01-08 2016-01-08 차양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355A KR101743033B1 (ko) 2016-01-08 2016-01-08 차양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033B1 true KR101743033B1 (ko) 2017-06-02

Family

ID=59222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355A KR101743033B1 (ko) 2016-01-08 2016-01-08 차양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0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815A (ja) * 1999-06-10 2000-12-26 Chuo Boshi Kk 帽 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815A (ja) * 1999-06-10 2000-12-26 Chuo Boshi Kk 帽 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004Y1 (ko) 차양기능을 가지는 가면
KR200433255Y1 (ko) 모자용 보조 햇볕 가리개
US20060168708A1 (en) Shade cap
US20050132461A1 (en) Hat with shade panel
US20170360137A1 (en) Cap with tiltable visor
KR101743033B1 (ko) 차양모자
KR200295965Y1 (ko) 마스크 부착형 자외선 차단 모자
KR200471010Y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모자
KR100810978B1 (ko) 모자 및 모자용 차단부재
KR102122609B1 (ko) 사이즈 조절 기능을 갖는 모자
KR101963301B1 (ko) 차양막이 구비된 차양모자와 이의 제조방법
KR200459258Y1 (ko) 타올부재를 갖는 두건
KR101621521B1 (ko) 차양막과 호흡기 위치 맞춤형 마스크를 구비하는 모자
KR101666935B1 (ko) 차양막을 구비하는 상부 개방형 모자
KR100382098B1 (ko) 차광모자
CN217791611U (zh) 可变形帽子
KR200282400Y1 (ko) 모자
KR200231986Y1 (ko) 차광모자의 헤어밴드
KR102383055B1 (ko) 다기능성 버킷 햇
KR200496142Y1 (ko) 햇빛 차단용 마스크
KR102297006B1 (ko) 자외선 차단용 마스크
KR100857836B1 (ko) 차양모
KR102254625B1 (ko) 크기와 디자인의 선택이 가능한 맞춤형 썬캡
RU184707U1 (ru) Головной убор с защитой от излучения
KR200491376Y1 (ko) 보조차양을 구비한 차양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