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393Y1 -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393Y1
KR200246393Y1 KR2020010016964U KR20010016964U KR200246393Y1 KR 200246393 Y1 KR200246393 Y1 KR 200246393Y1 KR 2020010016964 U KR2020010016964 U KR 2020010016964U KR 20010016964 U KR20010016964 U KR 20010016964U KR 200246393 Y1 KR200246393 Y1 KR 2002463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cloth
sunscreen
coupled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석
Original Assignee
김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석 filed Critical 김한석
Priority to KR2020010016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3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393Y1/ko

Links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머리를 덮거나 둘러싸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모자챙과, 햇빛의 자외선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도록 상기 모자챙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된 차양 천을 가진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의 하측 외주연을 따라 모자챙에 결합된 안내부재(16)와,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드하도록 상기 차양 천의 상단변을 따라 상기 차양 천에 결합된 슬라이드부재(18)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부재(18)는, 머리부(32)와, 상기 머리부를 상기 차양 천의 상단에 이어주는 이음부(34)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재(16)는, 상기 머리부가 슬라이딩하는 안내통로부(20)와, 상기 이음부가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안내통로부에서 외측으로 트인 슬릿홈부(2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차양 천을 모자챙의 좌 우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모자를 벗지 않고도 쉽게 시야를 완전히 트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a cap with a sunshade texture for shutting off an ultraviolet rays}
본 고안은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자전거, 조깅 또는 골프 등의 스포츠를 즐기거나 경기장에서 경기를 관람하는 경우 태양과의 반사현상으로 인해 눈이 심하게 자극되어 사물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특히 야외 활동이 많은 하절기에 태양광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태양광에 포함된 자외선은 얼굴 피부의 색소침착, 기미, 심지어 화상이나 피부암 등 신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킨다. 특히 최근에는 지구의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지상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자외선으로 인한 피해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태양광으로 인한 눈부심 또는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로 챙이 있는 모자 또는 썬글라스를 착용하거나 자외선 차단제 등을 직접 피부에 도포하게 된다.
그러나,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직접 도포하기 때문에, 차단제에 포함된 물질로 인하여 개인에 따라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수영장과 같은 장소에서는 자외선 차단제로 인하여 수조의 물을 오염시키며, 운동을 심하게 하는 경우에 얼굴에서 나는 땀으로 인해 차단제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땀을 닦게 되면 차단제가 제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챙이 있는 모자나 썬글라스 등은 얼굴의 앞쪽을 전체적으로 감싸지 못하므로 얼굴에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망사 등의 차양 천이 결합되어 얼굴을 가리는 모자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모자로서, 한국실용신안 공개번호제1999-7743호,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2000-37009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0-72483호 등이 있다.
상기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9-7743호는 모자 안쪽 하단의 주연부에 지퍼를 부착하여 얼굴가리개를 탈,부착시킬 수 있게 한 구성이고, 상기 특허공개번호 제2000-37009호는 모자 챙의 하측 외주연을 따라 차양용 망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망사가 모자의 밑단천에 수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파스너를 형성한 구성이며, 특허공개번호 제2000-72483호는 머리띠의 내측면에 다수의 매직 테이프를 부착하고, 보호커버를 상기 매직테이프에 탈착가능케 결합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모자들은, 차양 천을 지퍼나 매직테이프 등으로 모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거나, 차양 천을 몸체에 고정한 구조이다.
그런데, 종래 차양 천이 고정된 모자는, 차양천이 일시적으로 불필요할 경우에는 모자를 벗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차양천이 착탈가능케 결합된 모자는, 모자를 쓴 상태에서 시야만을 완전히 트이게 할 경우에는 모자를 벗고 차양 천을 떼어 내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양 천으로 가린 시야를 모자를 벗지 않고도 완전히 트이게 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도1의 모자챙의 저면도,
도3은 도2에서 화살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2에서 화살표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도1의 차양천을 나타내는 전개도,
도6은 도5에서 화살표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7a 내지 도7c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자에서 차양 천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모자챙의 저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모자에서 차양천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차양 천의 전개도,
도11은 도10에서 화살표 D-D선에 따른 단면도,
도12는 도10에서 화살표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1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모자에서 차양천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개략도,
도1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차양 천의 전개도,
도15는 도14에서 화살표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1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모자에서 차양천의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17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차양천의 이동상태도,
도18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모자챙의 일부 저면도,
도19는 도18에서 화살표 G-G선에 따른 단면도,
도20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의한 모자를 나타내는 입면도,
도21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의한 모자를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모자챙
14, 114, 214 : 차양천 16, 116, 216 : 안내부재
18, 118, 119 : 슬라이드부재 20, 220 : 안내통로부
22, 222 : 슬릿홈부 32, 132, 133 : 머리부
34, 134, 135 : 이음부 136 : 천조각
138 : 이음부 242 : 돌기
본 고안에 의한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는, 사용자의 머리를 덮거나 둘러싸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모자챙과, 햇빛의 자외선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도록 상기 모자챙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된 차양 천을 가진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의 하측 외주연을 따라 모자챙에 결합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드하도록 상기 차양 천의 상단변을 따라 상기 차양 천에 결합된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를 상기 차양 천의 상단에 이어주는 이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머리부가 슬라이딩하는 안내통로부와, 상기 이음부가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안내통로부에서 외측으로 트인 슬릿홈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 통로부와 상기 슬릿홈부의 경계에는 안내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양 천은, 다수의 천 조각이 이음부에 의해 이어져 접히게 되어 있고, 상기 각 천조각의 상단에 슬라이드부재가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차양천의 상단변을 따라 띠형상으로 연속된 하나의 부재로 되어 있거나, 상기 차양천의 상단변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된 다수의 부재로 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모자챙에서 상기 몸체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어져 닫힌 고리형을 이루고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모자챙(12)이 돌출하여 재봉으로 결합되고, 햇볕의 자외선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도록 상기 모자챙(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차양 천이 결합된다.
상기 몸체(10)는 머리를 둘러싸는 밴드형태로 되어, 상측이 트여 있다. 상기 모자챙(12)에는 그 하측 외주연을 따라 안내부재(16)가 결합되고, 상기 안내부재(16)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드하도록 상기 차양 천(14)의 상단변을 따라 슬라이드부재(18)가 결합된다.
상기 차양 천(14)은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한 직물이나 폴리에스터 섬유로 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 제94-9441호, 한국 공개특허 제98-54880호 등에 자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기 차양 천(14)은 자외선 차단 비닐재가 코팅된 천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차양 천을 통해 앞을 용이하게 볼 수 있는 투명재질또는 반투명 재질로 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재(16)는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부재(18)의 후술하는 머리부가 슬라이딩하는 안내통로부(2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후술하는 이음부가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안내통로부(20)에서 외측으로 트인 슬릿홈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내통로부(20)는 파이프 형태인데 그 외주면의 일부가 베이스부(24)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24)는 상기 모자챙(12)에 재봉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24)는 재봉 외에 여러가지 수단으로 상기 모자챙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안내부재(16)의 단부(모자챙의 후측부)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18)를 안내부재의 측면 트임구(16a)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구속하는 구속부재(26)가 핀(28)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속부재(26)는, 상기 모자챙(12)에 접착제나 재봉 등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부재(30)와 서로 톱니형태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요철부(26a)(30a)에 의해 맞물려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부재(26)에 소정크기의 힘을 가하지 않으면 구속부재(26)가 회동하지 않는다. 상기 핀(28)은, 머리달린 핀을 끼운 다음 타측단을 머리부로 성형함에 의해 조립함에 의해 양측에 머리가 달린 핀으로 된다.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차양 천(14)을 펼친 전개도이다. 상기 차양 천(14)은 양측으로 갈수록 원호를 그리며 슬라이드부재(18) 측으로 치우치는 윤곽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머리 뒷쪽으로 갈수록 햇볕을 가리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8)는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양천(14)의 상단변을 따라 띠형상으로 연속된 하나의 부재로 되어 있는데, 원통로드 형상의 머리부(32)와, 상기 머리부(32)를 상기 차양 천(14)의 상단에 이어주는 띠판 형태의 이음부(3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음부(34)는 상기 차양 천에 재봉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에서, 차양 천(14)은 그 상단에 부착된 슬라이드부재(18)의 머리부(32)를도2에 도시한 안내부재(16)의 측면 트임구(16a)를 통해 끼우게 되는데, 이때 구속부재(26)를 회동시켜 측면 트임구(16a)를 막지 않게 한 후, 슬라이드부재(18)의 머리부(32)를 안내부재(16)의 안내통로부(20) 속으로 밀어 넣는다.
차양 천(14)이 정상으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정면 얼굴을 막고 있는 상태가 도7a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면의 시야를 완전히 트야 할 경우에는, 슬라이드부재(18)를 슬라이딩시켜 도7b 또는 도7c와 같이 모자의 측부로 차양 천(14)을 위치시킨다.
도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모자챙의 저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내부재(116)는 모자챙에서 몸체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어져 닫힌 폐고링형을 이루고 있다. 안내부재(116)의 단면(A-A)은 도3에 도시한 바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부재(116)의 한 곳(C)을 절단하고, 슬라이드부재를 안내부재의 안내통로부에 삽입한 후, 안내부재(116)의 절단된 부위를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구성에서, 사용자가 정면의 시야를 트야 할 경우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를 모자 뒤로 완전히 슬라이딩시킬 수가 있으므로 차양 천(14)이 사용자의 귀 등을 막지 않게 되어 활동하기가 자유롭다.
도10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차양천의 전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양천(114)의 상단변의 좌, 우측단에는 제1실시예의 슬라이드부재에서 일부분을 떼어낸 것과 유사한 형태의 슬라이드부재(118)(118')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부재(118)(118')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슬라이드부재(119)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18)(118')는,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로드 형상의 머리부(132)와, 상기 머리부(132)를 상기 차양 천(114)의 상단에 이어주는 띠판 형태의 이음부(134)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이음부(134)에는 그 판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부(13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34a)를 차양천의 상단 구멍에 끼운 후, 상기 돌출부(134a)의 단부를 압착하여 돌출머리(134b)를 형성하여 조립함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18)(118')가 차양 천(114)에서 빠지지 않게 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19)는 도10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형태로 된 머리부(133)와, 상기 머리부(133)를 상기 차양천(114)의 상단에 이어주는 이음부(135)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이음부(135)는 상기 머리부(133)에 이어지는 목(135a)의 하단에 원판부(135b)가 형성되고, 상기 원판부(135b)의 평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부(135c)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 돌출부(135c)를 차양천의 상단구멍에 끼운 후, 상기 돌출부(135c)의 단부를 압착하여 돌출머리(135d)를 형성하여 조립함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19)가 차양천(114)에서 빠지지 않게 한다.
본 제3실시예의 구성에서, 사용자가 차양천을 걷어야 할 경우에는 슬라이드부재(118)(119)를 안내부재를 따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차양천(114)이 접혀지면서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으로 모이게 되므로, 사용자의 시야가 완전히 트이게 된다.
도1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차양천의 전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양천(214)은 다수의 천 조각(136)이 이음부(138)에 의해 이어져 접히게 되어 있다. 상기 차양천의 천 조각의 상단에 결합된 슬라이드부재는 제3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천 조각(136)에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있다.
도14 및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조각(136)의 하단 중간에는 천 조각(136)이 상하방향으로 용이하게 펴지도록 웨이트(14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140)는 플라스틱재나, 그 내부에 금속이 내장된 플라스틱재로 되어 있으며, 상기 천 조각(136)에 홈이 형성되어 이 홈에 웨이트가 접착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는 다양한 구조로 상기 천 조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138)는 그 양측의 천조각이 실에 의해 꿰메어져 이루어 지는데, 다양한 형상으로 궤메어 질 수 있다.
본 제4실시예의 구성에서, 사용자가 차양천을 걷어야 할 경우에는 슬라이드부재(118)(119)를 안내부재를 따라 일측으로 이동시키면 차양천(214)이 그 이음부(138)을 따라 용이하게 접혀지면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으로 모이게 되므로, 사용자의 시야가 완전히 트이게 된다.
상기 제4실시예의 차양천(214)는 두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져 안내부재(16)에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5실시예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자의 중간에서 양측으로 각각의 차양천(214a)(214b)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시야를 트게 하기가 더욱 용이하다.
도18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의한 모자의 모자챙의 일부 저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의 슬라이드부재(119)가 결합된 차양천(114)(214)에 적용되는 구성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자챙(12)에는 그 하측 외주연을 따라 안내부재(216)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안내부재(216)는 도18 및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내지 제4실시예의 안내부재와 유사한 안내통로부(220)와 슬릿홈부(222) 및 베이스부(224)를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안내통로부(220)와 상기 슬릿홈부(222)의 경계에는 안내부재(216)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L)으로 다수의 돌기(2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242)는 상기 슬릿홈(222)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돌기(242)에는 슬라이드부재(118)(119)의 머리부(132)(133)가 걸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는데도 슬라이드부재가 이동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20은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의한 모자를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머리의 일부는 덮고 머리의 일부는 트이게 하는 형태의 몸체(110)를 가진 것으로서 그 모자챙(112)에 차양천(14)이 결합된 구조이다.
도21은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의한 모자를 나타내는 입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머리를 완전히 덮는 형태의 몸체(210)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전둘레에 걸쳐 돌출된 모자챙(212)에 차양천(14)이 결합된 구조이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모자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차양천은 상측으로 걷어 올리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자외선 차단용 차양천을 가진 모자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차양 천을 모자챙의 좌 우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모자를 벗지 않고도 쉽게 시야를 완전치 트게 할 수 있다.

Claims (6)

  1. 사용자의 머리를 덮거나 둘러싸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모자챙과, 햇빛의 자외선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도록 상기 모자챙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된 차양 천을 가진 모자에 있어서,
    상기 모자챙의 하측 외주연을 따라 모자챙에 결합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드하도록 상기 차양 천의 상단변을 따라 상기 차양 천에 결합된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를 상기 차양 천의 상단에 이어주는 이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머리부가 슬라이딩하는 안내통로부와, 상기 이음부가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안내통로부에서 외측으로 트인 슬릿홈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차양천을 가진 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차양천의 상단변을 따라 띠형상으로 연속된 하나의 부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차양천을 가진 모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차양천의 상단변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결합된 다수의 부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차양천을 가진 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 천은, 다수의 천 조각이 이음부에 의해 이어져 접히게 되어 있고, 상기 각 천조각의 상단에 슬라이드부재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차양천을 가진 모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통로부와 상기 슬릿홈부의 경계에는 안내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모자챙에서 상기 몸체방향으로 연장되어 이어져 닫힌 고리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차양천을 가진 모자.
KR2020010016964U 2001-06-07 2001-06-07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 KR200246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964U KR200246393Y1 (ko) 2001-06-07 2001-06-07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964U KR200246393Y1 (ko) 2001-06-07 2001-06-07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393Y1 true KR200246393Y1 (ko) 2001-10-22

Family

ID=7306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964U KR200246393Y1 (ko) 2001-06-07 2001-06-07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3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0196A1 (en) * 2003-06-13 2004-12-23 Young Chan No Multi-functional cap
KR20150131848A (ko) * 2014-05-16 2015-11-25 이진국 모자 결합형 타월
KR102350346B1 (ko) 2021-09-06 2022-01-12 주식회사 에스엔에스 슬라이딩 지퍼 및 이를 이용한 의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0196A1 (en) * 2003-06-13 2004-12-23 Young Chan No Multi-functional cap
KR20150131848A (ko) * 2014-05-16 2015-11-25 이진국 모자 결합형 타월
KR101626963B1 (ko) * 2014-05-16 2016-06-08 이진국 모자 결합형 타월
KR102350346B1 (ko) 2021-09-06 2022-01-12 주식회사 에스엔에스 슬라이딩 지퍼 및 이를 이용한 의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0004Y1 (ko) 차양기능을 가지는 가면
KR102137590B1 (ko) 모자에 탈부착이 용이한 자외선 차단 투명 안면마스크
KR100327479B1 (ko) 접히는 챙을 구비한 모자
KR100266995B1 (ko) 자외선 차단용 모자
US20050132461A1 (en) Hat with shade panel
KR200246393Y1 (ko) 자외선 차단용 차양 천을 가진 모자
JP3110940U (ja) 帽子
KR100810978B1 (ko) 모자 및 모자용 차단부재
KR200436303Y1 (ko) 자외선차단 차양모
KR200471010Y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모자
KR200399101Y1 (ko) 차양보조구
KR100382098B1 (ko) 차광모자
KR200291886Y1 (ko) 골프용 자외선 차단 모자
KR101963301B1 (ko) 차양막이 구비된 차양모자와 이의 제조방법
KR200369583Y1 (ko) 모자
KR200199240Y1 (ko) 차양모
KR200379221Y1 (ko) 보조커버가 형성된 차광모자
KR200327105Y1 (ko) 차양 두건
KR200424114Y1 (ko) 측광차단용 기능성 모자
KR200363377Y1 (ko) 차양모자
KR200289886Y1 (ko) 썬캡 겸용 모자
KR102254625B1 (ko) 크기와 디자인의 선택이 가능한 맞춤형 썬캡
KR100382099B1 (ko) 차양모자
KR20130010605A (ko) 가변 차양을 갖는 차양모
KR20050045975A (ko) 자외선 차단용 차양이 구비된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