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861Y1 - 옹벽 구조물 - Google Patents

옹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861Y1
KR200314861Y1 KR20-2003-0005682U KR20030005682U KR200314861Y1 KR 200314861 Y1 KR200314861 Y1 KR 200314861Y1 KR 20030005682 U KR20030005682 U KR 20030005682U KR 200314861 Y1 KR200314861 Y1 KR 200314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plate
wall structure
bottom plat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호
Original Assignee
이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호 filed Critical 이덕호
Priority to KR20-2003-0005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옹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옹벽 시공시 공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거푸집 만들기, 콘크리트 타설, 철근의 배근 등의 여러 시공 공정에서 발생되는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하기 위해 공장에서 바닥부분과 벽체부분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비숙련자도 현장에서 간단하게 볼트, 너트 등의 옹벽 구조물을 결속부재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서 옹벽 시공시 시공성을 향상 시켜 공기의 단축과 경비 절감을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옹벽 구조물은, 옹벽 구조물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바닥판과 옹벽구조물의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벽체판이 일체형으로 사전제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의 윗면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바닥면상의 앵커와,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 이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 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벽체판상의 앵커와,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에 형성된 각각의 앵커에 형성된 체결구멍과 센터링되어 상기 각각의 앵커를 조합시켜 전체 옹벽 구조물을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하는 앵커플레이트와,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벽체판에 형성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과 벽체판을 일체형으로 하여 콘크리트 타설 위주의 옹벽 구조물의 현장 시공에 따른 다양한 시공상의 문제를 개선하고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고, 비숙련자에 의한 계획시공이 가능하며, 균일한 시공 품질, 광범위한 용도로서의 시공 활용성, 안정성, 토지 활용성, 경제성 등이 항상된다.

Description

옹벽 구조물{Structure of Construction Wall}
본 고안은 조립식 옹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옹벽 시공시 공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거푸집 만들기, 콘크리트 타설, 철근의 배근 등의 여러 시공 공정에서 발생되는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하기 위해 공장에서 바닥부분과 벽체부분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비숙련자도 현장에서 간단하게 볼트, 너트 등의 옹벽 구조물을 결속부재로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함으로서 옹벽 시공시 시공성을 향상 시켜 공기의 단축과 경비 절감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면의 각도를 고려하여 가용 택지로 조성하거나 토사의 밀림이나 유출등을 방지할 목적으로 옹벽 구조물을 형성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현장에서 제작하는 옹벽 구조물중 L형 구조물은, 바닥판과 벽체가 분리 시공 되는 것이고, 또한 선택적으로는 옹벽면이 되는 벽체면 뒤쪽에 특별한 보강재(섬유벨트, 아연강판)를 사용하여 시공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의 (a), (b)는 종래의 L형 옹벽 구조물의 예를 보인 것으로, 지면 바닥면에 닿아 옹벽 구조물의 하부구조를 형성하고 토사의 하부 유출을 방지하는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과 분리되어 형성되고 그 바닥판(10)으로부터 상부쪽 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옹벽 구조물의 상부구조물을 형성하여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벽체판(20)과, 상기 벽체판(20)을 보강재를 통해 견인하여 당김력으로 지탱시키기 위한 벽체판(20)에 형성하는 견인고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L형 옹벽 구조물은 현장에서 거푸집을 먼저 만들고, 만들어진 거푸집(30)에 철근을 배근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함으로서, 이러한 바닥판(10)과 벽체판(20) 그리고 견인고리 등은 거푸집 만들기를 통해 현장에서 직접 형성된다.
L형 옹벽 구조물의 시공 순서는, 먼저 옹벽시공을 필요로 하는 대상 택지나 토사 유출 대상 토지에 옹벽을 형성할 바닥면을 선정하여 바닥 다지기와 주변정지 작업을 실시한다.
바닥 다지기와 주변정지 작업이 끝나면, 바닥면을 따라 옹벽을 시공할 위치를 선정하여 선정된 위치에 콘크리드를 타설바닥다지기와 주변정지 작업이 끝나면, 바닥면을 따라 옹벽을 시공을 위치를 선정하여 선정된 위치에 콘크리트를 타설할거푸집을 설치한다. 거푸집 설치가 끝나면 거푸집 사이에 철근을 배근하고, 철근 배근이 끝나면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다. 따라서, L형 옹벽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바닥다지기 및 주변정지 작업과 함께,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작하고 설치할 사전 작업을 필요로 하며, 내외부 거푸집이 완성되면 거푸집에 철근을 배근하고, 철근 배근이 끝나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과 함께, 콘크리트의 양생시간을 필요로 했다.
이러한 현장 시공 위주의 L형 옹벽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는, 벽체판(10) 양생과정에서 토압이나 윤압이 작용할 경우 수직처리가 불가능하여 재시공의 가능성 등이 있으며, 이러한 변형하중 작용요인 등을 거푸집 설치 단계에서 사전에 고려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지 경계선까지의 유효토지면 활용이 불가능했다. 이는 비합리적인 설계와 비경제적인 설계 요인이 되었으며, 벽체판(20)의 사행으로 시공 외관 품질 저하의 요인과 함께 복합적인 시공성 저하 요인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닥판(10)을 먼저 시공하고 그 상부에 벽체판(20)을 시공함으로서, 기계시공이 불가능하고 전체적으로 현장 콘크리트 타설 작업 시공 위주로 시공이 진행됨으로서, 콘크리트 양생과 병행되는 토사 매립 작업이 불가능하며, 시공 과정에서 기후 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아 공기의 지연과 경비증가의 요인이 큰 단점이 있었다. 또한, 옹벽 구조물의 벽체면의 표면 형상이 거푸집에 의해 결정됨으로서, 다양한 벽체 형상의 시공이 어렵고 형상 변경에 제약이 따르는 단점 있었다. 실제로 옹벽 구조물은 경사진 비탈 등의 부지 조성용도로서 사용되거나 산비탈 등에 낙석방지용 구조물 및 하천정비구간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때, 획일적인 표면 형상으로는 만족할만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외관 품질을 얻기 어려웠다.
또한, 별도의 부속 구조물로 분류되는 펜스의 부착이나 낙석방지 그물망 등의 설치에 있어서도 거푸집을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 콘크리트 양생과정에서 구조물 설치 위치가 변형되어 정확한 위치에 부속 구조물을 설치하기 어려웠다.
도 2는 현장 시공이 아닌 구조물 형성 공장에서 기성 제품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조립식 옹벽 구조물의 예이다. 이 구조는 열십자형인 '+'자형 모양이 흔히 알려져 있다. 이 구조는 먼저 바닥면에 기초콘크리트(11)를 타설하고 그 기초 콘크리트(11)를 기준으로 열십자형 옹벽 구조물(21)을 토사의 높이 만큼 차례로 나란히 종횡방향으로 쌓아올리고, 쌓아올리는 과정에서 바닥부터 토사를 다지고 각 층상 다짐작업 마다 옹벽 구조물의 넘어짐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견인고리(22)를 당기는 견인줄(23)를 층상마다 견인하여 시공한다. 이 구조의 경우, 옹벽 구조물을 현장이 아닌 공장에서 사전 제작으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설치하는 시공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L형 옹벽 구조물에 비해 상당한 공기 단축 등이 기후조건에 비교적 영향을 덜받으면서 보다 항상된 시공품질을 기대할수 있는 구조로 볼수 있지만 마찬가지로 기초콘크리트의 타설이 따르고 반드시 보강재를 부설해야만 하며, 또한 여러개의 옹벽 구조물을 쌓아올려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만족할만한 시공성을 보장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옹벽면이 되는 벽체판과 바닥판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비숙련자도 쉽게 수직 시공이 가능한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토지 매립 과정이나 사면 처리에서 토압이나 윤압하중에 따른 변형요인을 영향을 적게 받고 유효토지면 활용을 최대로 확장시켜 시공할 수 있는 옹벽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 구조물의 적용 시공에 있어서 합리적인 설계와 경제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 사행으로 인한 시공 외관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복합적인 시공성 저하 요인을 개선할 수 있는 옹벽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후 조건에 영향을 적게 받아 공기를 단축 시키고 옹벽 시공 경비를 절감하며, 다양한 옹벽면 형상의 선택의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 구조물의 시공에서 별도의 부속 구조물로 분류되는 펜스의 부착이나 낙석방지 그물망 등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수 있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옹벽 구조물은, 지면 바닥면에 닿아 옹벽 구조물의 하부구조를 형성하고 토사의 하부 유출을 방지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분리되어 형성되고 그 바닥판으로부터 상부쪽 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옹벽 구조물의 상부구조물을 형성하여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벽체판으로 이루어지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옹벽 구조물은,
(1) 상기 옹벽 구조물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바닥판과 옹벽구조물의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벽체판이 일체형으로 사전제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2) 상기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의 윗면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바닥면상의 앵커와,
(3)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 이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 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벽체판상의 앵커와,
(4)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에 형성된 각각의 앵커에 형성된 체결구멍과 센터링되어 상기 각각의 앵커를 조합시켜 전체 옹벽 구조물을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하는 앵커플레이트와,
(5)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벽체판에 형성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지면 바닥면에 닿아 옹벽 구조물의 하부구조를 형성하고 토사의 하부 유출을 방지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분리되어 형성되고 그 바닥판으로부터 상부쪽 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옹벽 구조물의 상부구조물을 형성하여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벽체판으로 이루어지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옹벽 구조물은,
(1) 상기 옹벽 구조물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바닥판과 옹벽구조물의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벽체판이 일체형으로 사전제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2) 상기 벽체판의 이면부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벽체판의 재료비중을 낮추고 무게를 감량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과,
(3) 상기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의 윗면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바닥면상의 앵커와,
(4)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 이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 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벽체판상의 앵커와,
(5)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에 형성된 각각의 앵커에 형성된 체결구멍과 센터링되어 상기 앵커를 조합시켜 전체 옹벽 구조물을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하는 앵커플레이트와,
(6)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벽체판에 형성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과 벽체판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각각의 옹벽 구조물을 연결할 수 있는 앵커플레이트를 옹벽 구조물의 적소에 배치하여 사전 제작으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옹벽 구조물로 쓰일수 있게 함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위주의 옹벽 구조물의 현장 시공에 따른 다양한 시공상의 문제를 개선하고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고, 비숙련자에 의한 계획시공이 가능하며, 균일한 시공 품질, 광범위한 용도로서의 시공 활용성, 안정성, 토지 활용성, 경제성 등을 만족 시킬 수 있게된다.
도 1의 (a), (b)는 종래의 옹벽 구조물 시공예를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옹벽 구조물의 시공예로서,
(a)는 옹벽 전개도 (b)는 층상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구조물의 대표적인 구성예로서, 옹벽 구조물 결합 시공의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보강형 옹벽 구조물의 구성예를 보인 도면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옹벽 구조물로서, 홈형 벽체판으로 이루어진 옹벽 구조물의 구성예
도 6은 도 5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에 적용되는 견인고리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견인줄일 사용한 평면 견인상태 (b)는 그 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전면 벽체 형상의 다양한 예를 보인 것으로, (a)는 벽체 표면 처리예의 측면도 (b)는 석재 무늬 형상 (c)는 또 다른 석재 무늬 형상이며, (d)는 타일 표면 처리평상의 예를 보인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적용예의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옹벽구조물 41:바닥판
42:벽체판 43.44:앵커
45:체결구멍 46체결부재
47;앵커플레이트 48:배수공
49:설치용고리 50:보강바닥면
51:부착판 53:홈
54:견인줄 55:견인고리
56;마감처리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구조물의 대표적인 구성예로서, 옹벽 구조물 결합 시공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다른 예로서 바닥판 보강형의 예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옹벽 구조물로서, 홈형 벽체판으로 이루어진 옹벽 구조물의 구성예이다. 도 6은 도 5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에 적용되는 견인고리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견인줄일 사용한 평면 견인상태 (b)는 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전면벽체 형상의 다양한 예를 보인 것으로(a)는 벽체 표면 처리예의 측면도 (b)는 석재 무늬 형상 (c)는 또 다른 석재 무늬 형상이며, (d)는 타일 표면 처리평상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적용예의 참고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옹벽 구조물(40)은 도 3 내지 도 9와 같이 지면 바닥면에 닿아 옹벽 구조물의 하부구조를 형성하고 토사의 하부 유출을 방지하는 바닥판(41)과, 상기 바닥판(41)과 분리되어 형성되고 그 바닥판(41)으로부터 상부쪽 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옹벽 구조물(40)의 상부구조물을 형성하여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벽체판(42)으로 이루어지진다.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도 3과 같이, 옹벽 구조물(40)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바닥판(41)과 옹벽구조물(40)의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벽체판(42)이 일체형으로 사전제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옹벽 구조물(40)의 바닥판(41)의 윗면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41)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바닥면상의 앵커(43)와,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42) 이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 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42)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벽체판(42)상의 앵커(44)와, 상기 바닥판(41)과 상기 벽체판(42)에 형성된 각각의 앵커(43)(44)에 형성된 체결구멍(45)과 센터링되어 전체 옹벽 구조물을 체결부재(46)를 통해 조립하는 앵커플레이트(47)와,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42)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벽체판(42)에 형성된 배수공(48)을 포함하는 하는 구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옹벽 구조물(40)은, 도 4와 같이, 상기 바닥판(41)의 전면부 앞쪽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된 돌출된 보강바닥면(50)을 구비하여 바닥판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보강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바닥판(41)의 이면부와 상기 벽체판(42)의 상면부에는 설치용 고리(49)를 구비하여 시공할 때 견인을 쉽게 할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벽체판(42)의 윗면부에는 펜스와 그물망 기둥의 보조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보조 구조물 부착판(51)을 구비하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2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40)은 도 5와 같이, 옹벽 구조물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바닥판(41)과 옹벽구조물(40)의 상부구조를 형성하는벽체판(42)이 일체형으로 사전제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벽체판(42)의 이면부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벽체판(42)의 재료비중을 낮추고 무게를 감량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53)과, 상기 옹벽 구조물(40)의 바닥판(41)의 윗면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41)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바닥면상의 앵커(43)와,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42) 이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 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42)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벽체판(42)상의 앵커(44)와, 상기 바닥판(41)과 상기 벽체판(42)에 형성된 각각의 앵커(43)(44)에 형성된 체결구멍(45)과 센터링되어 앵커를 조합시켜 전체 옹벽 구조물을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하는 앵커플레이트(47)와,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42)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벽체판(42)에 형성된 배수공(48)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선택적으로, 도 7과 같이, 바닥판(42)의 이면부 적소의 위치에는 견인줄(54)을 걸어서 당겨 벽체판(42)을 보강하기 위한 견인고리(55)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도 3 내지 도 9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 구조물(40)의 대표적인 구성이다. 벽체판(42)과 바닥판(41)에는 각각 평판사의 앵커(43)(44)를 몇 개씩 구비하고 있으므로, 개개의 옹벽 구조물을 나란히 정열시키면 이들 앵커(43)(44)가 앵커플레이트(47)에 의해 조합 가능한 배열을 갖게된다.
따라서, 옹벽 시공 현장에서 먼저, 옹벽 구조물을 설치할 위치를 선정하고,옹벽 구조물의 바닥판(41)을 해당 위치에 나란히 정열한 후 각각의 옹벽 구조물에 형성된 앵커(43)(44)의 체결구멍(45)을 센터링 시켜 외부에서 앵커플레이트(47)를 통해 조합한다. 이러한 조합은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시공 조건에 따라 시공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바닥고르기 작업만 마치면 거푸집의 설치나 콘크리트 타설을 통한 구조물 양생 공정이 전혀 없다.
본 고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제작은 공장에서 규격화 시켜 대량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즉, 현장 시공 조건을 감안하여 옹벽 구조물에 대한 기본 설계가 끝나면 이를 공장에서 대량으로 양산하여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옹벽 구조물을 대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현장 시공에 있어서는 옹벽 구조물이 중량물인 관계로 설치용 고리(49)를 사전에 벽체판(42)과 바닥판(41)에 달아 기중기와 같은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견인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설치후 토사를 통한 물의 배수를 촉진하기 위해 벽체판(42)에는 배수공(48)이 뚫려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기본적인 형상은 L형 구조물로서, 도 3과 같이 L형의 기본 구조와 도 4와 같이 바닥판(41)의 지지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강바닥면(50)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닥판(41)의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 기능이 강화된다.
또 다르게는 도 5와 같이 벽체판(42)의 이면부를 수직상의 홈(53)으로 남겨둘 경우 그 홈(53) 사이즈에 해당하는 재료소모를 줄일수 있고, 전체 구조물의 중량을 감량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설계도 가능하다. 이 경우 벽체판(42)에 전달되는 토압 하중이 비교적 약한 경우, 또는 하중의 전달 부분이 불균일한 경우등에 재료를 줄이고 무게를 감량 시키면서 적용하는데 유리한 구조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옹벽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견인고리(55)의 설치 및 견인줄(54)에 의한 당김상태이다. (a)는 견인고리(55)에 견인줄(54)을 걸어 당기는 상태를 윗부분에서 보인 것이다. (b)는 견인고리(55)에 견인줄(54)을 걸어서 당기는 상태를 측면에서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견인고리(55)를 달아주고 견인줄(54)로 당겨 벽체판(42)의 위치를 보강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옹벽 구조물(40)에 적용 가능한 벽체판(42)의 마감처리재(56)를 적용한 표면 형상의 예이다. (a)는 표면처리의 단면이고, (b)(c)(d)는 각각 마감처리재(56)를 적용하여 표면 무늬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종전에는 이같은 옹벽 구조물의 표면 처리를 얻기 어려웠다. 즉, 현장에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는 조건에서는 얻을 수 없는 표면처리의 형상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옹벽 구조물의 기본 구조를 다른 용도로서 응용한 적용예로서 조립식 수로관으로 적용한 예이다. 이 구조는 기존 파이프를 이용한 사출 제품이나 콘크리트 폼 성형제품으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대형 수로관에 적용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같은 수로관용 L형 측구의 시공 방법은 옹벽 구조물의 벽체 내벽을 서로 마주보기식으로 나란히 배열하여 앵커를 조립하고, 바닥면은 몰탈이나 콘크리트(57)로 연결하여 고정시켜 수로관을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시공 위주의 L형 옹벽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종전에 반드시있었던벽체판 양생과정이 없기 때문에 토압이나 윤압이 작용할 경우 수직처리가 불가능한 문제나 재시공의 분제가 전혀 없게된다. 또한, 변형하중 작용요인 등이 있어도 콘크리트 타설에 의존하는 구조물 성형이 아니므로 부지 경계선까지의 유효토지면 활용이 가능하고, 전체 토압과 윤압 등에 대한 응력을 반영하는 합리적인 설계와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벽체판의 사행이 없으므로 시공 외관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복합적인 시공성 항상을 가져온다. 또한, 기계시공이 가능하고 전체적으로 옹벽 구조물의 배치 및 매립과 같은 기계작업 위주로 시공이 진행됨으로서, 시공 과정에서 기후 조건에 영향을 적게 받는아 계획적인 시공도 가능하다. 또한, 옹벽 구조물의 벽체면의 표면 형상을 시공 조건 및 특성에 맞게 다양화 시킬 수 있어 구조물의 외관 항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석방지용 구조물 및 하천정비구간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잇으며, 별도의 부속 구조물로 분류되는 펜스의 부착이나 낙석방지 그물 망 등의 설치에 있어서도 구조물 설치 위치 변형의 문제 없이 정밀한 시공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옹벽면이 되는 벽체판과 바닥판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비숙련자도 쉽게 수직 시공이 가능하고, 토지 매립 과정이나 사면 처리에서 토압이나 윤압하중에 따른 변형요인을 영향을 적게 받고 유효토지면 활용을 최대로 확장시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옹벽 구조물의 적용 시공에 있어서 합리적인 설계와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고, 벽체판 사행으로 인한 시공외관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복합적인 시공성 저하 요인을 개선할 수 있으며, 기후 조건에 영향을 적게 받아 공기를 단축 시키고 옹벽 시공 경비를 절감하며, 다양한 옹벽면 형상의 선택의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옹벽 구조물의 시공에서 별도의 부속 구조물로 분류되는 펜스의 부착이나 낙석방지 그물망 등의 설치를 정밀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지면 바닥면에 닿아 옹벽 구조물의 하부구조를 형성하고 토사의 하부 유출을 방지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분리되어 형성되고 그 바닥판으로부터 상부쪽 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옹벽 구조물의 상부구조물을 형성하여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벽체판으로 이루어지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옹벽 구조물은,
    (1) 상기 옹벽 구조물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바닥판과 옹벽구조물의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벽체판이 일체형으로 사전제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2) 상기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의 윗면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바닥면상의 앵커와,
    (3)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 이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 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벽체판상의 앵커와,
    (4)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에 형성된 각각의 앵커에 형성된 체결구멍과 센터링되어 상기 각각의 앵커를 조합시켜 전체 옹벽 구조물을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하는 앵커플레이트와,
    (5)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벽체판에 형성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은, 전면부 앞쪽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보강바닥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이면부와 상기 벽체판의 상면부에는 설치용 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판의 윗면부에는 펜스와 그물망 기둥의 보조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보조 구조물 부착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5. 지면 바닥면에 닿아 옹벽 구조물의 하부구조를 형성하고 토사의 하부 유출을 방지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분리되어 형성되고 그 바닥판으로부터 상부쪽 방향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옹벽 구조물의 상부구조물을 형성하여 토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벽체판으로 이루어지는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옹벽 구조물은,
    (1) 상기 옹벽 구조물의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바닥판과 옹벽구조물의 상부구조를 형성하는 벽체판이 일체형으로 사전제작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2) 상기 벽체판의 이면부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벽체판의 재료비중을낮추고 무게를 감량시키는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세로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과,
    (3) 상기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의 윗면부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바닥판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바닥면상의 앵커와,
    (4)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 이면부 가장자리를 따라 인서트 되어 이웃하는 다른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과 면접촉시켜 연결하는 벽체판상의 앵커와,
    (5) 상기 바닥판과 상기 벽체판에 형성된 각각의 앵커에 형성된 체결구멍과 센터링되어 상기 앵커를 조합시켜 전체 옹벽 구조물을 체결부재를 통해 조립하는 앵커플레이트와,
    (6) 상기 옹벽 구조물의 벽체판을 따라 흐르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벽체판에 형성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판의 이면부 적소의 위치에는 견인줄을 걸어 벽체판을 보강하기 위한 견인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KR20-2003-0005682U 2003-02-26 2003-02-26 옹벽 구조물 KR200314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682U KR200314861Y1 (ko) 2003-02-26 2003-02-26 옹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682U KR200314861Y1 (ko) 2003-02-26 2003-02-26 옹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861Y1 true KR200314861Y1 (ko) 2003-06-02

Family

ID=4933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682U KR200314861Y1 (ko) 2003-02-26 2003-02-26 옹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8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83B1 (ko) * 2006-08-28 2008-02-15 청호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측벽블록
KR100943222B1 (ko) 2009-08-31 2010-02-18 이병철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CN109629513A (zh) * 2018-12-28 2019-04-16 西安景兴祥环境科技有限公司 采用飞翼结构三维砌块的护坡及消能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83B1 (ko) * 2006-08-28 2008-02-15 청호산업 주식회사 조립식 측벽블록
KR100943222B1 (ko) 2009-08-31 2010-02-18 이병철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CN109629513A (zh) * 2018-12-28 2019-04-16 西安景兴祥环境科技有限公司 采用飞翼结构三维砌块的护坡及消能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04072B1 (en) Building block, system and method
JP2016515173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擁壁
KR100660379B1 (ko) 녹화가 가능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용 블록 및 이 블록으로축조된 조립식 보강토 옹벽과 이 옹벽의 축조방법
US20090188180A1 (en) Integrated wall system
KR102342234B1 (ko)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시공방법
US7828497B2 (en) Construction and design method
KR101031583B1 (ko) 발파대석과 콘크리트 저항블록을 이용한 자연석 옹벽구조물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83294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CN201891130U (zh) 预制块柔性挡土墙结构
KR200314861Y1 (ko) 옹벽 구조물
US7073304B2 (en) Corner building block, system and method
KR101963362B1 (ko) 완전배수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66731B1 (ko) 옹벽 설치 방법
CN215801560U (zh) 一种钢板桩与水泥土搅拌桩墙组合支护结构
JPH05230845A (ja) L型ブロック擁壁の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13106994A (zh) 一种用于盖挖逆作地铁车站的宽幅防水板铺设方法
KR20090035951A (ko) 배수가 용이한 합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32497B1 (ko) 옹벽 시공방법
KR100884391B1 (ko) 옹벽 상단의 배수기능을 보강한 보강토 옹벽 및 이 시공방법
KR102249603B1 (ko) 옹벽 시공방법
CN215715242U (zh) 一种变截面t型桩板墙结构
KR102064537B1 (ko) 일체형 개비온 보강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JP7344721B2 (ja) ルーフ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KR100925532B1 (ko) 수중 구조물과 수중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716598B1 (ko) 강널말뚝 및 합성말뚝을 이용한 옹벽 및 그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