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980Y1 - 박 화분 - Google Patents

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980Y1
KR200312980Y1 KR20-2003-0002975U KR20030002975U KR200312980Y1 KR 200312980 Y1 KR200312980 Y1 KR 200312980Y1 KR 20030002975 U KR20030002975 U KR 20030002975U KR 200312980 Y1 KR200312980 Y1 KR 200312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layer
present
planter
flow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근
Original Assignee
임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근 filed Critical 임상근
Priority to KR20-2003-0002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9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을 이용한 화분과 그 화분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박 속의 내용물을 보다 간편하게 제거하고 보다 견고하게 건조시키며, 완성된 상태에서 입설시키기에 용이하도록 하고, 배수 받침구조를 구비하여 화분으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더 나가서 폐기시 땅 속에서 잘 분해되는 친환경적인 화분을 제공하고, 아울러 장식용 화분으로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박(10)은 흙이 가진 수분에 대하여 내부식성을 가지도록 내면과 외주면에 도포된 방수재층(12)과, 그 외표면에 장식한 그림 채색층(13)과, 그 외표면의 채색층을 보호하기 위한 도료층(14)으로 이루어지고, 그 아래의 받침판(20)은 상기 박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멍(15)과 일치된 통공(21)을 가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박 화분{GOURD FLOWERPOT}
본 고안은 박을 이용한 화분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박 고유의 형상을 그대로 살리면서 화분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장식효과를 배가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로 이루어진 화분이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화분은 그 재질이 견고하고 잘 썩지 않기 때문에 사용 후 폐기하게 되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박은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서 그 열매는 둥근 용기 모양을 닮아 특이하기 때문에 외모가 아름다운 특성이 있고, 그 재질은 연하여 가공하기 쉬우며, 그 표피는 색감이 좋기 때문에 공예품으로도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화분을 만드는데 있어서 종래의 일반적인 박 가공 방법에 따르면 삶고 건조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뒤틀리는 등 강도가 보장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흙이 접하는 내부에서 수분에 대한 내수성이 보장되지 못하기 때문에 화분으로 제작하기가 어려웠다.
뿐만 아니라 박의 특성상 임의의 장소에 올려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받침판이 있어야 하고, 또 그 받침판을 보유하며서도배수 구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하기가 어려웠으며, 더 나가서 많은 양으로 대량생산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안의 주된 목적은 박 속의 내용물을 보다 간편하게 제거하고 보다 견고하게 건조시키며, 완성된 상태에서 입설시키기에 용이하도록 하고, 배수 받침구조를 구비하여 화분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고, 장식적인 면에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박을 삶는 과정, 건조과정, 절개가공과정, 방수처리과정, 외장가공과정, 도료덧칠과정, 받침판부착과정을 차례로 거쳐 제조하되, 상기 박은 흙이 가진 수분에 대하여 내부식성을 가지도록 내면과 외주면에 도포된 방수재층과, 그 외표면에 장식한 그림 채색층과, 그 외표면의 채색층을 보호하기 위한 도료층으로 이루어지고, 그 아래의 받침판은 상기 박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멍과 일치된 통공을 가지며, 일측으로 개방된 슬라이드 홈과, 그 슬라이드 홈을 따라 착탈할 수 있는 물받침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박 화분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조과정을 설명한 진행도
도 4는 본 고안의 받침판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사용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박 11 : 통기구멍
12 : 방수재층 13 : 채색층
14 : 도료층 15 : 배수구멍
20 : 받침판 21 : 통공
22 : 슬라이드 홈 23 : 논슬립
24 : 케이스 30 : 박 용기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박 화분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조과정을 설명한 진행도, 도 4는 받침판의 저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조 과정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박을 삶는 과정, 건조과정, 절개가공과정, 방수처리과정, 외장가공과정, 도료덧칠과정, 받침판부착과정을 차례로 거치는 것이다.
삶는 과정은 내용물을 긁어 내기에 용이하도록 하는 준비 과정으로써, 본 고안에서의 특징은 그 상단과 하단에 각각의 통기구멍(11)을 형성하여 내부까지 빠른 시간내에 익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박(일반 박 포함)은 반드시 먼저 삶은 후에 속을 파내야 한다.
삶지 않고 먼저 속을 긁어 낼 경우, 속과 겉의 경계가 불분명하여 일정한 두께로 파내기 어렵고, 속이 파내어진 상태로 삶으면 뒤틀리는 등 온전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 건조과정은 삶는 과정을 마친 상기 박을 상온 또는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키는 것이며, 상온에서 건조시킬 때는 약 15일 내지 20일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인 열풍 건조기(도시하지 않았음)를 사용할 때는 1~2시간에 걸쳐 건조시킨다.
절개가공과정은 건조된 박을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하는 과정이다.
즉, 미리 계획된 화분의 형상 모양에 맞게 절단하거나, 일부를 절취해 내거나, 구멍을 뚫거나 하는 것이며, 대략 중단 개방, 상, 하단부 절단, 옆으로의 숨구멍, 하부 배수구멍, 걸이용 구멍 등이 해당된다.
내용물 제거과정은 상기 절개가공공정을 거친 박의 속 내용물을 긁어 내는 작업과정으로서, 속을 긁어 낼 때는 그 외측표면으로부터 가능한 두께가 균일하도록 파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처리과정은 속을 파낸 박의 내, 외측면에 목재용 방수액을 도포하는 과정이다. 화분의 경우 습기를 머금은 흙을 담아 두는 것이기 때문에 방수처리가 잘 되어야 하며, 구멍을 뚫었을 경우 외표면과 내표면으로 이어지는 그 구멍의 단면까지도 충분한 방수가 되도록 한다.
상기 외장가공과정은 상기 방수처리과정을 거친 박의 외주면에 임의의 무늬 모양 또는 그림을 그려 넣는 것이다.
무늬 모양 또는 그림을 그리는 방법으로는 조각, 낙인(또는 가열전극봉으로 그리는 그을림 그림), 채색, 전사, 소조(별도의 조각 붙이기), 유화물감 등 여러 가지가 있는 바, 어떠 한 방법으로 그려 넣어도 무방하다.
다음의 도료덧칠과정은 상기 외장 가공과정을 거친 박의 외주면에 표현된 임의의 무늬 모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의 도료를 도색하는 과정이다.
별도의 도료로는 니스, 옷칠, 나전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먼저 도색한 그림을 부각시키기 위한 유색 도료를 칠할 수도 있다.
받침판 부착과정은 상기 도료덧칠과정을 거친 박의 하단부에 받침판(20)을 부착하는 것으로, 박(10)과 받침판(20)의 틈새를 목재용 접착제 또는 실리콘으로 충진시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과정을 거쳐 완성된 박 화분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박(10)은 흙이 가진 수분에 대하여 내부식성을 가지도록 내면과 외주면에 도포된 방수재층(12)과, 그 외표면에 장식한 그림 채색층(13)과, 그 외표면의 채색층을 보호하기 위한 도료층(14)으로 이루어지고, 그 아래의 받침판(20)은 목재 혹은 합성수지재가 적당하며, 중앙에 통공(21)을 형성하여 박(10)의 배수구멍(15)과 일치되도록 하고, 일측 옆으로 개방된 슬라이드 홈(22)과, 그 슬라이드 홈(22)을 따라 착탈할 수 있는 물받침 케이스(24)를 포함한다.
그리고 또, 상기한 받침판(20)의 저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논슬립(23) 또는 지지다리(24)를 부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박의 중단을 절단한 상태로 만든 화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박의 상단 일부와 하단 일부를 절단한 후, 상단을 아래로 하여 제작한 것이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상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되, 화분이 아니라 필통 등의 용기로 사용한 실시예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박을 삶는 과정, 건조과정, 절개가공과정, 방수처리과정을 차례로 거쳐 제작하기 때문에 박 속의 내용물을 보다 간편하게 제거하면서도 내/외 방수처리를 한 것이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화분이며, 더 나가서 외장가공과정, 도료덧칠과정을 거쳐 제작하되, 그 표면에 장식 그림을 넣고 덧칠을 하였기 때문에 더욱 미려한 박 화분이다.
또한, 배수 받침구조를 포함한 받침판을 부착한 것이기 때문에 완성된 상태에서 입설시키기에 용이하고, 또 다른 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폐기 처분된 후에는 땅속에서 잘 썩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2)

  1. 박(10)은 흙이 가진 수분에 대하여 내부식성을 가지도록 내면과 외주면에 도포된 방수재층(12)과, 그 외표면에 장식한 그림 채색층(13)과, 그 외표면의 채색층을 보호하기 위한 도료층(14)으로 이루어지고, 그 아래의 받침판(20)은 상기 박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멍(15)과 일치된 통공(2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박 화분의 받침판(20)은 일측으로 개방된 슬라이드 홈(22)과, 그 슬라이드 홈(22)을 따라 착탈할 수 있는 물받침 케이스(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 화분.
KR20-2003-0002975U 2003-01-30 2003-01-30 박 화분 KR200312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975U KR200312980Y1 (ko) 2003-01-30 2003-01-30 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975U KR200312980Y1 (ko) 2003-01-30 2003-01-30 박 화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6080A Division KR20040069610A (ko) 2003-01-30 2003-01-30 박 화분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980Y1 true KR200312980Y1 (ko) 2003-05-16

Family

ID=4933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975U KR200312980Y1 (ko) 2003-01-30 2003-01-30 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9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73790B (zh) 大漆葫芦胎制品制作方法
KR101518732B1 (ko) 섬유를 활용한 도자공예 장식기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 공예품
US6238756B1 (en) Cloisonne 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0312980Y1 (ko) 박 화분
KR200408452Y1 (ko) 조개를 이용한 화분조립구조
KR20040069610A (ko) 박 화분과 그 제조방법
KR20110040551A (ko) 옻칠을 이용한 장신물의 제조방법
KR100582270B1 (ko) 벽걸이형 화분의 제작방법
KR101140073B1 (ko) 일회용 컵을 활용한 화분
CN206728690U (zh) 一种盆栽植物专用花盆
KR101500989B1 (ko) 자개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WO2005039851A3 (en) Method of making a decorative arrangement
KR200353462Y1 (ko) 대나무로 만든 화분
KR20080048109A (ko) 일체형 아트화분
KR102396610B1 (ko) 돋은선 문양을 이용한 바탕면 장식 방법
KR20040018039A (ko) 황토 유골함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른 황토 유골함
CN2474360Y (zh) 一种石头形仿真陶瓷花盆
JP7190242B1 (ja) 植木鉢内蔵保水鉢カバー
CN200997796Y (zh) 贴墙花盆
FR2664467A1 (fr) Dispositif pour recueillir l&#39;excedent d&#39;eau d&#39;arrosage et pour hydrater un pot de fleurs en matiere poreuse.
KR100358900B1 (ko) 원적외선 장식물의 제조방법 및 조명등갓 장식물
CN205082395U (zh) 一种自动洒水花盆
CN101041315B (zh) 树木年轮画制作方法
CN2349917Y (zh) 全木套盆
KR200174616Y1 (ko)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