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630Y1 - 스프링클러 헤드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 헤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2630Y1 KR200312630Y1 KR20-2003-0001882U KR20030001882U KR200312630Y1 KR 200312630 Y1 KR200312630 Y1 KR 200312630Y1 KR 20030001882 U KR20030001882 U KR 20030001882U KR 200312630 Y1 KR200312630 Y1 KR 20031263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let
- sprinkler
- sealing member
- thermosensitive
- outlet seal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의 구조에 관련 된 것으로써, 스프링클러의 소화액 누설을 외부에서 간단히 조절하여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소화액의 분사각도를 크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109)는 소화액 유출구(104)를 갖는 스프링클러 헤드본체(101)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본체에 고정되는 프레임(102)과, 가용체(112) 및 나사체(116)에 의하여 고정된 상판(107)과 하판(108) 사이에 탄성링(106)이 끼워지고, 상기 탄성링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열감응체(105)와, 상기 열감응체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유출구 밀봉부재(103)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스프링클러는 화재감지 시에 상기 가용체(112)의 열용융에 의해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탄성링(106)이 복원하므로써, 상기 프레임(102)으로부터 상기 열감응체(105)가 이탈되고, 상기 열감응체의 이탈에 따라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103)가 상기 유출구(104)를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의 상면에 유출구와 접촉되는 접시모양의 탄성체(113)와 소화액의 분사 각도를 넓게 하는 환형의 돌출돌기(122)가 설치되고,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의 압착강도를 상기 열감응체의 하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유출구 밀봉 조정수단(116)이 상기 열감응체(105)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구조에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클러의 구조를 개량하여 화재 발생 시에는 소화액의 분사방향이 넓어지고 대기 시에는 스프링클러의 소화액 유출구의 밀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관련 된 것이다.
종래 소화용에 사용되는 스프링클러의 한 예로는 미국특허 제4,618,002호가 알려져 있고, 상기 종래 구조의 스프링클러는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소화기에 사용되는 스프링클러(9)는 소화액 유출구(4)를 갖는 스프링클러 헤드본체(1)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본체가 고정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 내에서 소화액 유출구(4)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유출구 밀봉부재(3)와, 화재 발생 시에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3)가 소화액 유출구(4)를 개방할 수 있도록 프레임(2)으로부터 이탈되는 열감응체(5)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열감응체(5)는 상판(7)과 하판(8) 사이에는 끼워져 그 상,하판의 외경 지름보다 더 큰 외경지름을 갖도록 벌어져 탄지되는 한쪽이 절결된 탄성링(6)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링은 프레임의 내측면의 걸림턱(10)에 밀착되어 상기 프레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링을 탄지하는 상,하판의 고정은 나사체(11)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체(11)와 하판(8) 사이에는 납 등으로 된 가용체(12)가 구성된다.
한편, 열감응체(5)와, 유출구 밀봉부재(3) 사이에는 유출구(4)의 밀봉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판스프링(13)이 설치된다.
상기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열감응체(5)가 가열되므로 나사체(11)와, 하판(8) 사이에 끼워진 가용체(12)가 녹기 시작하고, 결국, 상판(7)과 하판(8)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그 사이에 탄지된 탄성링(6)이 원위치로 복원되므로 , 그 탄성링에 의하여 프레임의 내측면 걸림턱(10)에 고정되어 있던 열감응체(5)가 프레임(2)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다.
상기 열감응체가 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면 유출구 밀봉부재(3)가 유출구(4)를 개방하게 되고, 그 유출구를 통하여 소화액재가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소화용 스프링클러(9)는 유출구로부터 소화액이 분사될 때 소화액의 분사각도를 크게 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특히, 유출구의 밀봉부재(3)와 유출구(4)의 기밀상태를 쉽게 조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 종래의 소화용 스프링클러는 판스프링(13)과 유출구 밀봉부재(3)의 간격을 외부에서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스프링클러를 조립한 후, 유출구 밀봉부재와 판스프링의 탄성력 부족으로 유출구 밀봉부재(3)를 유출구(4) 쪽으로 강하게 밀어붙이지 못할 경우 유출구(4)로부터 소화액이 누수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써, 스프링클러의 조립 후에도 외부에서 간단히 유출구의 밀봉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유출구 밀봉 조정수단을 설치하고, 아울러 소화액 분사각도를 크게 할 수 있도록 스프링클러 구조를 개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유출구 밀봉 조정수단은 판스프링의 압착강도를 스프링클러의 외부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열감응체 하부에 구성되는 별도의 나사홀에 볼트를 삽입하여 판스프링의 압착강도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열감응체 하부에 구성된 유출구 밀봉 조정수단을 조정하여 유출구 밀봉부재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면 유출구와 판스프링이 더 밀착하여 기밀성이 더 강화되도록 한다.
또, 본 고안은 판스프링이 설치되는 유출구 밀봉부재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소화액의 분사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는 환설형 돌출돌기를 구성한다.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돌출돌기는 화재 발생 시 유출구 밀봉부재가 유출구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유출구로부터 분사되는 소화액을 더 넓은 각도로 퍼지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돌출돌기는 소화액 유출구의 내경보다 외측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소화용 스프링클러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소화용 스프링클러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소화용 스프링클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소화용 스프링클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1 - 스프링클러 헤드본체 2,102 - 프레임
3,103 - 유출구 밀봉부재 4,104 - 유출구
5,105 - 열감응체 6,106 - 탄성링
7,107 - 상판 8,108 - 하판
9,109 - 스프링클러 10,110 - 걸림턱
11,111 - 나사체 12,112 - 가용체
13,113 - 판스프링 115 - 열판
116 - 유출구 밀봉 조정수단 120 - 가이드부
121 - 스프링 122 - 돌출돌기
123 - 톱니형 돌기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소화액 유출구를 갖는 스프링클러 헤드본체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본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가용체에 의하여 고정된 상판과 하판 사이에 탄성링이 끼워지고, 상기 탄성링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열감응체와,
상기 열감응체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유출구 밀봉부재와,
화재감지시에 상기 가용체의 열용융에 의해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탄성링이 복원하므로써,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열감응체가 이탈되고, 상기 열감응체의 이탈에 따라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가 상기 유출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에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는 탄성체가 고정되고,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의 압착강도를 상기 열감응체의 하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유출구 밀봉 조정수단이 상기 열감응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유출구 밀봉조정 수단은 상판 및 하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나사체의 중심축을 따라 통공을 형성하고, 그 통공에 높이조절용 볼트를 삽설하여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의 하면과 높이조절용 볼트의 끝 단부가 당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소화용 스프링클러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소화용 스프링클러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소화용 스프링클러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소화용 스프링클러(109)는 소화액 유출구(104)를 갖는 스프링클러 헤드본체(101)와,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본체가 고정되는 프레임(102)과, 상기 프레임 내에서 소화액 유출구(104)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유출구 밀봉부재(103)와, 화재 발생 시에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103)가 소화액 유출구(104)를 개방할 수 있도록 프레임(102)으로부터 이탈되는 열감응체(105)로 구성된다.
상기 열감응체(105)는 상판(107)과 하판(108) 사이에 끼워지는 한쪽이 절결된 탄성링(106)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링(106)은 상,하판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도 1의 구조와 같이 상, 하판의 외측 단부 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도록 벌어져 고정되고, 상기 탄성링은 프레임(102)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10)에 걸려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한편, 상,하판은 나사체(111)에 의하여 결합되고, 나사체와 하판 사이의 고정부에는 납등으로 된 가용체(112)가 끼워지고, 상기 가용체에는 다수의 열판(115)을 추가로 적층하여 그 가용체가 쉽게 열에 반응하고 녹도록 한다.
또, 상기 나사체(111)의 중심축 방향에는 그 나사체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판(107)의 상면 쪽으로 돌출되는 유출구 밀봉 조정수단(116)을 설치한다.
상기 유출구 밀봉 조정수단은 열감응체(5)의 외부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나사체(111)의 내부에 별도의 볼트(117)를 끼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02)에 고정되는 열감응체(105)는 유출구 밀봉부재(103)를 유출구(104) 쪽으로 밀착시키켜 유출구의 입구를 밀폐하도록 한다.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103)의 상면 즉, 유출구와 대향하는 면에는 유출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가공된 탄성체 즉, 접시 모양의 판스프링(113)이 설치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유출구의 입구를 커버하여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판스프링의 유출구 밀폐 강도는 유출구 밀봉 조정수단(116)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게 하는 것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103)에는 스프링클러 헤드본체의 중심 축 방향을 따라 곧바로 낙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주는 가이드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 상부와 스프링클러 헤드본체 사이에는 유출구 밀봉부재가 원활히 낙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스프링(121)이 추가로 끼워진다.
그리고, 유출구 밀봉부재의 상면 가장자리부에는 유출구(104)의 내경 보다 더 외측 위치에 소화액의 분사각도를 넓게 할 수 있는 돌출돌기(122)가 환설되고, 상기 돌출돌기 외측에는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도록 톱니형 돌기(123)가 설치된다.
상기 도 1과 같이 구성된 스프링클러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열감응체(105)가 가열되고, 상기 열감응체의 가열에 따라 열판(115) 사이에 끼워진 가용체(112)가 녹기 시작한다.
상기 가용체가 녹으면 나사체(111)에 의하여 고정된 상판(107)과 하판(108) 사이가 벌어지므로 상기 상,하판의 단부에 끼워진 탄성링(106)이 원위치로 복원하고, 결국 탄성링이 프레임의 내측 벽에 형성되는 걸림턱(110)으로부터 이탈되어 도2와 같이 열감응체(105)가 프레임(102)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프레임(102)으로부터 열감응체 분리되면 상기 열감응체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던 유출구 밀봉부재(103)가 자유 낙하하여 가이드부(120)의 단부가 프레임의 내측 벽면에 형성된 걸림턱(110)에 걸린다.
상기와 같이 유출구 밀봉부재(103)가 프레임의 단부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소화액 유출구(104)로부터 배출되는 소화액은 유출구 밀봉부재의 상면에 부딪혀 분사되고, 상기 소화액의 분사 과정에서 환설형 돌출돌기(122)와 톱니형돌기(123)가 작용하여 소화액을 더 넓은 각도로 폭 넓게 분사시키도록 작용한다.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의 열감응체(105)의 하부 즉, 스프링클러의 외측에서 스프링클러의 유출구(104)와 유출구 밀봉부재(103)의 밀폐 강도를 조정할 수 있는 유출구 밀봉 조정수단(116)을 설치함으로써 조립 불량으로 인한 소화액의 누설을 손쉽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유출구 밀봉부재 상부에 환설형 돌출돌기(122)를 설치함으로써 소화액의 분사각도를 크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스프링클러를 설치한 후에 소화액의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 스프링클러를 분해하여 재 설치할 필요 없이 외부에서 유출구 밀봉 조정수단을 간단히 조작하여 판스프링(113)이 유출구(104)에 더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스프링클러 설치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 소화액 유출구를 갖는 스프링클러 헤드본체와,상기 스프링클러 헤드본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가용체에 의하여 고정된 상판과 하판 사이에 탄성링이 끼워지고, 상기 탄성링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열감응체와,상기 열감응체와 상기 유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유출구 밀봉부재와,화재감지시에 상기 가용체의 열용융에 의해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탄성링이 복원하므로써,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열감응체가 이탈되고, 상기 열감응체의 이탈에 따라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가 상기 유출구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에 있어서,상기 유출구 밀봉부재에 상기 유출구를 밀폐하는 탄성체가 고정되고, 상기 유출구 밀봉부재의 압착강도를 상기 열감응체의 하부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유출구 밀봉 조정수단이 상기 열감응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출구 밀봉조정 수단은 상판 및 하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나사체의 중심 축을 따라 통공을 형성하고, 그 통공에 높이조절용 볼트를 삽설하여상기 유출구 밀봉부재의 하면과 높이조절용 볼트의 끝 단부가 당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출구 밀봉부재 상부 면에 환설형 돌출 돌기와 톱니형 돌기를 설치하여 소화액의 분사각도를 크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체는 접시모양의 판스프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출구 밀봉부재와 스프링클러 헤드본체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1882U KR200312630Y1 (ko) | 2003-01-21 | 2003-01-21 | 스프링클러 헤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1882U KR200312630Y1 (ko) | 2003-01-21 | 2003-01-21 | 스프링클러 헤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2630Y1 true KR200312630Y1 (ko) | 2003-05-13 |
Family
ID=4940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1882U KR200312630Y1 (ko) | 2003-01-21 | 2003-01-21 | 스프링클러 헤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263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7990Y1 (ko) * | 2007-11-20 | 2010-03-09 | 정수환 | 자동확산 소화기 |
-
2003
- 2003-01-21 KR KR20-2003-0001882U patent/KR20031263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7990Y1 (ko) * | 2007-11-20 | 2010-03-09 | 정수환 | 자동확산 소화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76903B2 (en) | Lodgment prevention arrangements for fire sprinklers | |
CA2279751C (en) | Combined trigger and concealing device for a sprinkler head | |
KR101184678B1 (ko) | 퓨즈형 스프링클러 헤드 | |
CA2348265C (en) | Cover plate for concealed sprinkler | |
US10039946B2 (en) | Concealed residential sprinkler | |
US20100294521A1 (en) | Fire Protection Sprinkler with Highly Sensitive Trigger | |
CN111432895B (zh) | 喷洒头 | |
US20120024547A1 (en) | Flat Plate Concealed Horizontal Sidewall Sprinkler | |
KR200312630Y1 (ko) | 스프링클러 헤드 | |
KR20180065987A (ko) | 스프링클러 헤드 | |
KR20090096027A (ko) | 스프링클러 헤드 | |
KR20140106521A (ko) | 스프링클러 헤드 | |
JP4732780B2 (ja) | スプリンクラヘッド | |
TWI694865B (zh) | 灑水頭連接接頭 | |
TWI451890B (zh) | Sealing annular spring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structure | |
KR101804301B1 (ko) |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장치 | |
KR20090096022A (ko) | 스프링클러 헤드 | |
JP2007109647A (ja) | 消火システム用フロースイッチ | |
JP3972319B2 (ja) | スプリンクラヘッドカバー | |
KR200248835Y1 (ko) | 스프링클러 헤드의 조립 구조 | |
KR200318387Y1 (ko) | 스프링쿨러 | |
CN114555193B (zh) | 喷洒头 | |
KR20170124788A (ko) | 스프링클러 헤드 | |
JP4654025B2 (ja) |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 |
JP2005095522A (ja) |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及びヘッドカバ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25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