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406Y1 - 뼈항아리 - Google Patents

뼈항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406Y1
KR200312406Y1 KR20-2003-0001698U KR20030001698U KR200312406Y1 KR 200312406 Y1 KR200312406 Y1 KR 200312406Y1 KR 20030001698 U KR20030001698 U KR 20030001698U KR 200312406 Y1 KR200312406 Y1 KR 200312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jar
lid
dish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헤이 후지타
Original Assignee
고헤이 후지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헤이 후지타 filed Critical 고헤이 후지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4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뼈항아리에 관한 것이고, 유골이나 부장품을 반영구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고, 더구나 뼈항아리본체의 용적을 희생하는 일없이, 부장품을 수납보존가능하다. 부장품을 수납하는 항아리받이접시(6)와, 이 항아리받이접시(6)의 위에 얹는 뼈항아리본체(4)와, 이 뼈항아리본체(4)를 폐쇄하는 뚜껑(5)을 갖는다. 상기의 항아리받이접시(6)와 뼈항아리본체(4)와 뚜껑(5)이, 환기구멍 등이 뚫려 있지 않아 밀폐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뚜껑(5)의 하단과 뼈항아리본체(4)의 상단과의 사이, 뼈항아리본체(4)의 하단과 항아리받이접시(6)의 상단과의 사이가, 단이음구조로 되어있다. 더욱이, 뼈항아리본체(4)의 상단을 뚜껑(5)의 하단에서 외측에서 포위하는 구조로 되고 있고, 항아리받이접시(6)의 상단을 뼈항아리본체(4)의 하단에서 외측에서 포위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Description

뼈항아리{Jar for ashes}
본 고안은, 항아리받이접시를 갖는 뼈항아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뼈항아리는, 고인의 유골만을 수납하여, 무덤에 보관한다. 생전에 소중하게 여기던 물품 등의 유품은 관에 넣기 때문에 화장시에 소실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일본특개평 10-80451호 공보에서는, 도 1과 같은 속접시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즉, 부장품을 수납해 두는 속접시(1)를, 뼈항아리본체(2)와 뚜껑(3)과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는, 속접시(1)에 부장품을 넣어 놓으면, 유골과 함께 부장품도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고인이나 유족의 정신적인 슬픔이 완화되어, 정신적으로 위로받는다 .
그런데, 속접시(1) 때문에 뼈항아리본체의 용적이 감소하여, 유골의 수납에 지장을 초래할 염려가 있다. 즉, 통상 유골은 뼈항아리본체의 상단의 개구부까지 채워지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뼈항아리본체(2)의 개구에 속접시(1)를 넣으면, 속접시(1)가 거추장스러워, 유골을 전부 수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버린다.
특히, 뼈가 튼튼한 사람의 경우는, 두개골이 재가되지 않고 원형대로 남아있는 것도 많다. 이러한 경우는, 두개골을 해머로 깨뜨릴 수도 없기 때문에, 가능한 한 그대로 뼈항아리에 수납한다.
그런데, 속접시(1)가 있으면, 두개골을 수납하는 것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속접시(1)와 뚜껑(3)의 용적만큼, 뼈항아리본체(2)를 높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결과, 뼈항아리본체(2)가 통상의 크기보다 매우 높게 되어, 무덤 안에 수납하는 데 지장을 초래할 염려도 있다.
또한, 건조를 위해서, 뼈항아리본체에 통풍용의 구멍을 열어 두지만, 관리가 나쁜 오래된 무덤이나 저지의 무덤의 경우는, 비가 새거나, 극단적인 경우는, 장마 때나 호우의 때에 침수되어 버리는 일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건조목적의 구멍이 역효과가 되어 버린다. 요컨대, 뼈항아리본체나 속접시에 물이 침입하여, 유골이나 부장품이 젖어 버리고, 열화손상된다. 이러한 것으로는, 고인의 혼을 조상하는 일은 할 수 없고, 성불할 수 없다. 부장품을 유골과 함께 보존한다고 하는 소기의 목적도 달성할 수 없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에 착안하여, 유골이나 부장품을 반영구적으로 양호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고, 더구나 뼈항아리 본체의 용적을 희생하는 일없이, 부장품을 수납보존 가능하게 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서 해결된다. 청구항1은, 부장품을 수납하는 항아리받이접시와, 이 항아리받이접시의 위에 얹는 뼈항아리본체와, 이 뼈항아리본체를 폐쇄하는 뚜껑을 갖는 뼈항아리이다.
이와 같이, 부장품을 수납하는 항아리받이접시를 가지고 있지만, 이 항아리받이접시의 위에 뼈항아리를 얹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뼈항아리본체의 개구에 속접시를 수납하는 구조와 달라, 뼈항아리본체의 용적이 감소하는 일은 없고, 골격이 튼튼한 유체의 유골이더라도, 확실하게 뼈항아리본체 안에 수골할 수 있다.
청구항 2는, 청구항 1에 기재된 항아리받이접시와 뼈항아리본체와 뚜껑과가,환기구멍 등이 뚫려 있지 않고 밀폐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의 뚜껑의 하단과 뼈항아리본체의 상단과의 사이, 뼈항아리본체의 하단과 항아리받이접시의 상단과의 사이가, 각각 단이음구조로 되어있다. 더구나 뼈항아리본체의 상단을 뚜껑의 하단에서 외측에서 포위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항아리받이접시의 상단을 뼈항아리본체의 하단에서 외측에서 포위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항아리받이접시와 뼈항아리본체와 뚜껑이, 환기구멍 등이 뚫려 있지 않고 밀폐구조로 되어 있고, 종래와 같은 통기구멍이 열려 있지 않기 때문에, 무덤에 비가 새는 때에, 뼈항아리본체나 항아리받이접시에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뚜껑의 하단과 뼈항아리본체의 상단과의 사이, 뼈항아리본체의 하단과 항아리받이접시의 상단과의 사이가, 각각 단이음구조로 되어 있고, 더구나, 뼈항아리의 상단을 뚜껑의 하단에서 외측에서 포위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항아리받이접시의 상단을 뼈항아리본체의 하단에서 외측에서 포위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샌 빗물이 뼈항아리본체나 항아리받침 접시에 침입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항아리받이접시와 뼈항아리본체와 뚜껑이, 환기구멍 등이 뚫려 있지 않고 밀폐구조로 되어 있고, 더욱이 각각의 사이에 코킹제를 도포하여 기밀폐지 하는 구조로 되어있는 뼈항아리이다.
이와 같이, 항아리받이접시와 뼈항아리본체와 뚜껑이 밀폐구조로 되어있는 것에 덧붙여, 각각의 사이에 코킹제를 도포하여 기밀폐지 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때문에, 장마 시나 호우 때에 침수하거나 해도, 항아리받이접시나 뼈항아리본체 안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내부의 부장품이나 유골이 젖어 열화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골이나 부장품을 양호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고, 고인을 조상하여 성불시킬 수 있다.
청구항 4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뼈항아리본체 또는 항아리받이접시에 내장하는 건조제 또는 탈산소제를 가지는 뼈항아리이다.
청구항 5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뼈항아리본체 또는 항아리받이접시에 내장하는 건조제 또는 탈산소제를 가지는 뼈항아리이다.
이와 같이, 뼈항아리본체나 항아리받이접시를 밀폐구조로 하고, 사이를 코킹제로 기밀폐지 하는 것에 덧붙여, 뼈항아리본체나 항아리받이접시에 건조제나 탈산소제를 넣어 놓으면, 내부를 건조상태로 또는 탈산소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유골이나 부장품을 반영구적으로, 보다 양호한 보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속접시식의 뼈항아리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뼈항아리의 전체모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항아리받이접시, 뼈항아리본체 및 뚜껑을 분리한 상태의 종단면도, 및
도 4는 항아리받이접시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속접시 2:뼈항아리본체
3:뚜껑 4:뼈항아리본체
4a:밑부분 4b:돌기
41:돌기 42:단부분
5:뚜껑 5b:단이음부
51:돌기 52:안으로 들어간 부
6:항아리받이접시 6b:단이음부
61:돌기 62:단하부
다음으로 본 고안에 의한 뼈항아리가 실제상 어떻게 구체화되는지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뼈항아리의 전체모양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뼈항아리본체이고, 뚜껑(5)으로 폐쇄되어 있다. 도 6은 항아리받이접시이고, 그 위에 상기의 뼈항아리본체(4)가 재치되어 있다.
도 3은 항아리받이접시(6), 뼈항아리본체(4) 및 뚜껑(5)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원형의 항아리받이접시(6)는 필요최소한의 부장품을 받아들이는 정도의 얕은 접시형태로 되어 있다. 하단외주에 아랫방향으로 돌출한 다리(6a)를 가지고있다.
또한, 상단(6b)은 단이음구조로 되도록 단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단형상의 돌기(61)가 안쪽이 되고, 그 외측(62)이 한단 내려간 형상으로 되어 있다. (6c)는 밑바닥부이다. 또, 이 단형상을 위쪽에서 보면 도 4와 동일하다.
뼈항아리본체(4)의 형상은 원통형상이나 통형상 등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이 뼈항아리본체(4)의 밑바닥부(4a)의 외주하부에는, 상기의 단이음구조를 위한 돌기(4b)가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항아리받이접시(6)의 위에 뼈항아리본체(4)를 얹을 때, 돌기(4b)가 상기의 항아리받이접시(6)의 상단의 단이음부의 외측의 한단 내려 간 부분(62)에 끼어들어 항아리받이접시(6)의 상향돌기부(61)를 외측에서 포위한다.
뼈항아리본체(4)의 위단의 개구의 주테두리(4c)는 상기의 항아리받이접시(6)의 상단(6b)과 마찬가지인 단이음구조로 되어 있다. 즉, 단형상으로 되어 있어, 단형상의 돌기(41)가 안쪽이 되고, 그 외측(42)이 한단 내려 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단형상도 위쪽에서 보면 도 4와 동일하게 된다.
뚜껑(5)은, 그 외주가 통형상으로 되어있고, 아래쪽으로 처져있다. 이 주벽(5a)의 하단(5b)도 단이음구조로 되어 있다. 즉, 뼈항아리본체(4)의 상단의 단이음부(4c)와는 거꾸로의 단형상으로 되어 있어, 단형상의 하향 돌기(51)가 외측이 되고, 그 안쪽(52)이 한단 안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뚜껑(5)을 뼈항아리본체(4)에 덮었을 때, 뚜껑(5)의돌기(51)가, 상기의 뼈항아리본체(4)의 상단(4c)의 단이음구조의 외측의 한단 내려 간 부분(42)으로 끼어들어, 상향 돌기부(41)를 외측에서 포위한다.
이 때, 뼈항아리본체(4)의 상향 돌기부(41)는, 뚜껑(5)의 주벽 하단(5b)의 안쪽이 한단 안으로 들어간 부분(52)에 끼어든다.
이와 같이, 항아리받이접시(6)의 상단과 뼈항아리본체(4)의 하단과의 사이, 뼈항아리본체(4)의 상단과 뚜껑(5)의 하단과의 사이가 단이음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도 2와 같이, 항아리받이접시(6)의 위에 뼈항아리본체(4)를 얹고, 뼈항아리본체(4)의 위에 뚜껑(5)을 얹은 상태로는, 서로 어긋나 떨어질 염려도 없고 확실하게 감합한 상태로 된다.
더욱이, 항아리받이접시(6)의 상단을 뼈항아리본체의 하단돌기(4b)로 외측에서 포위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뼈항아리본체(4)의 상단을 뚜껑의 하단돌기(51)로 외측에서 포위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그 결과, 뼈항아리를 수납한 무덤이 비가 새거나 해도, 물은 단이음구조의 부분으로 차단되어 내부에 침입할 수 없다.
덧붙여, 본 고안의 경우는, 이 단이음부에 코킹제를 도포하여, 상하의 단이음부를 서로 접착하기 때문에,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습기를 띤 외기가 내부로 침입할 수 없다.
더욱이, 건조제나 탈산소제도 준비해 두고, 코킹제로 접착하기 전에, 항아리받이접시(6) 및 뼈항아리본체(4) 안에, 건조제나 탈산소제를 넣어 놓는다. 그 결과, 뼈항아리의 내부나 항아리받침 접시(6)의 내부가 습기로 유골이나 부장품이 열화하거나 부식하는 것을 방지하고, 양호한 상태에 보존할 수 있다.
이 뼈항아리의 사용에 있어서는, 항아리받침 접시(6)에 부장품을 수납한 상태로, 단이음부(6b)에 코킹제를 도포하고 나서, 뼈항아리본체(10)를 얹는다. 이어서, 뼈항아리본체(4)의 내부에 유골을 수납한 상태에서, 상단의 단이음부(4c)에 코킹제를 도포하고 나서 뚜껑(5)을 씌운다.
또, 뼈항아리본체(4)에 유골을 수납하고, 코킹제를 도포하여, 뚜껑(5)을 씌우고 나서, 부장품을 수납한 항아리받이접시(6)의 상단에 코킹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뼈항아리본체(4)를 얹어도 좋다.
부장품으로는 사진이나 고인이 생전애용하던 여러 물품, 가계도 등을 넣는다. 일단 코킹제를 도포하여 폐쇄한 후에, 내부를 열 필요가 있는 경우는, 커터로 코킹제의 부분을 자르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뼈항아리본체(4)의 위에는, 뚜껑(5)을 씌우기만 하므로, 종래와 같이 속접시를 수납하는 구조와 달리, 뼈항아리본체(4)와 뚜껑(5)으로 형성되는 공간이 좁아 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두개골이 남아 있는 경우라도, 깨뜨리거나 상처를 입히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수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뼈항아리본체(4)나 항아리받이접시(6)에, 통기구멍이나 배수구멍은 뚫려 있지 않다. 또한, 뚜껑(5)에도 환기구멍을 뚫지 않는다. 밀폐구조로 하고, 게다가 내부에 건조제나 탈산소제 등을 넣어 외부와 완전하게 차단하기 위해서이다.
청구항 1과 같이, 부장품을 수납하는 항아리받이접시를 가지고 있으며, 이 항아리받이접시의 위에 뼈항아리본체를 얹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뼈항아리본체의 개구에 속접시를 수납하는 구조와 다르고, 뼈항아리본체의 용적이 감소되는 일이 없고 골격이 튼튼한 유체의 유골이라도, 확실하게 뼈항아리본체 안에 수골할 수 있다.
청구항 2와 같이, 항아리받이접시와 뼈항아리본체와 뚜껑이, 환기구멍 등이 뚫려 있지 않고 밀폐구조로 되어 있고, 종래와 같은 공기통이 열려 있지 않기 때문에, 무덤에 비가 새는 때에, 뼈항아리본체나 항아리받이접시에 빗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하단과 뼈항아리본체의 상단과의 사이, 뼈항아리본체의 하단과 항아리받이접시의 상단과의 사이가, 각각 단이음구조로 되고 있고, 더구나, 뼈항아리본체의 상단을 뚜껑의 하단에서 외측으로부터 포위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항아리받이접시의 상단을 뼈항아리본체의 하단에서 외측에서 포위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샌 빗물이 뼈항아리본체나 항아리받이접시에 침입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과 같이, 항아리받이접시와 뼈항아리본체와 뚜껑이 밀폐구조로 되어있는 것에 덧붙여, 각각의 사이를 코킹제로 기밀폐지 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마 때나 호우의 때에 침수하거나 해도, 항아리받이접시나 뼈항아리본체 안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내부의 부장품이나 유골이 젖어 열화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골이나 부장품을 양호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고, 고인을 조상하고, 성불시킬 수 있다.
청구항 4 및 청구항 5와 같이, 뼈항아리본체나 항아리받이접시를 밀폐구조로 하고, 사이를 코킹제로 기밀폐지 하는 구조에 덧붙여, 뼈항아리본체나 항아리받이접시에 건조제나 탈산소제를 넣어 놓으면, 내부를 건조상태로 또는 탈산소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유골이나 부장품을 반영구적으로, 보다 양호한 보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부장품을 수납하는 항아리받이접시와, 이 항아리받이접시의 위에 얹는 뼈항아리본체와, 뼈항아리본체를 폐쇄하는 뚜껑을 가지고,
    상기의 뚜껑의 하단과 상기 뼈항아리본체의 상단과의 사이 및 상기 뼈항아리본체의 하단과 상기 항아리받이접시의 상단과의 사이가 각각 단이음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항아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아리받이접시와 뼈항아리본체와 뚜껑이 환기구멍 등이 뚫려있지 않고 밀폐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뼈항아리본체의 상단을 뚜껑의 하단에서 외측에서 포위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항아리받이접시의 상단을 상기 뼈항아리본체의 하단에서 외측에서 포위하는 구조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항아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항아리받이접시와 뼈항아리본체와 뚜껑이, 환기구멍 등이 뚫려 있지 않고 밀폐구조로 되어 있고,
    더욱이 각각의 사이에 코킹제를 도포해서 기밀폐지하는 구조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항아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뼈항아리본체 또는 항아리받이접시에 내장하는 건조제 또는 탈산소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항아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뼈항아리본체 또는 항아리받이접시에 내장하는 건조제 또는 탈산소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항아리.
KR20-2003-0001698U 2001-02-23 2003-01-20 뼈항아리 KR20031240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48142A JP2002248141A (ja) 2001-02-23 2001-02-23 骨 壺
JPJP-P-2001-00048142 2001-02-2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242A Division KR20020069080A (ko) 2001-02-23 2001-04-16 뼈항아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406Y1 true KR200312406Y1 (ko) 2003-05-13

Family

ID=189094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242A KR20020069080A (ko) 2001-02-23 2001-04-16 뼈항아리
KR20-2003-0001698U KR200312406Y1 (ko) 2001-02-23 2003-01-20 뼈항아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242A KR20020069080A (ko) 2001-02-23 2001-04-16 뼈항아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2248141A (ko)
KR (2) KR200200690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1162B2 (ja) * 2016-06-13 2022-10-26 株式会社いずみ浄苑 樹木葬用納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48141A (ja) 2002-09-03
KR20020069080A (ko)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6814A (en) Vented vial stopper for processing freeze-dried products
KR20140076772A (ko) 진공 유골함
KR200312406Y1 (ko) 뼈항아리
US4630596A (en) Emergency container for an accidentally amputated member
KR200346840Y1 (ko) 유골함
US20070056249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air into, or removing air from, containers
KR200231795Y1 (ko) 진공 납골함
CN111565697A (zh) 骨灰盒套具
KR200204316Y1 (ko) 유골 보관함
KR100624778B1 (ko) 컵 뚜껑
KR100407830B1 (ko) 진공 납골함
KR102319742B1 (ko) 진공납골함
KR200198733Y1 (ko) 유골함
JPH11168982A (ja) 植木鉢
KR200173781Y1 (ko) 유골함
KR200360020Y1 (ko) 납골단지
KR200389545Y1 (ko) 압력 확인형 납골함
KR20080001728U (ko) 유골함
KR20020090968A (ko) 진공 납골함
KR102274526B1 (ko) 진공펌핑방식의 밀폐용기
KR200191041Y1 (ko) 납골함의 밀폐장치
KR200207042Y1 (ko) 뚫음 및 밀폐겸용 분실방지 기능의 공기개폐마개를 가진밀폐형 음식물 보관용기
KR200221677Y1 (ko) 납골단지
KR200185000Y1 (ko) 신선도유지장치가 부설된 식품용기
KR200166090Y1 (ko) 반찬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