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270Y1 -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270Y1
KR200312270Y1 KR20-2003-0002355U KR20030002355U KR200312270Y1 KR 200312270 Y1 KR200312270 Y1 KR 200312270Y1 KR 20030002355 U KR20030002355 U KR 20030002355U KR 200312270 Y1 KR200312270 Y1 KR 2003122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ngraver
cylinder
workpie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봉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비
Priority to KR20-2003-0002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2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2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2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8Protective coverings for parts of machine tools; Splash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측 단부는 공작물의 가공상태 및 조작기몸체(10)의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21)이 부착된 도어(20)에 고정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조작기몸체(10)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2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브라케트(30)와, 상기 도어(20)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실린더(40)와, 상기 실린더(40)를 조작기몸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케트(50)와, 상기 실린더(40)에 구비된 피스톤(41)을 도어(20)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힌지브라케트(60)로 구성된다.
따라서, 공작물의 가공상태 및 조작기몸체(10)의 내부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도어(20)를 상부로 간편하게 개, 폐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써, 도어(20)의 개방에 따른 주변기기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조작기(1)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20)의 개방상태는 실린더(40)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써, 작업자가 안심하고, 공작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Switching Structure of Operating Machine Door}
본 고안은 조각기 도어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각기에 고정된 공작물의 가공상태를 확인하거나, 취급할 수 있도록 조각기에 설치된 도어가 주변기기의 간섭없이 간편하게 개, 폐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각기는 가공물 또는 공구를 고속 회전시켜 공작물을 가공하는 공작기계의 일종으로, 이러한 조각기에는 작업 중 각종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거나, 가공중인 공작물의 가공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에는 공작물의 절삭과정 및 조작기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전면에 투시창이 구비되어 있으며, 자유로운 공작물의 이동을 위하여 조각기에 개, 폐 가능하게 설치되게 된다.
즉, 도어가 설치될 조각기의 일측면을 개구시킨 후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도어가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도어에는 롤러를 설치하여 개, 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자유로운 도어의 개, 폐를 통하여 공작물의 가공상태 및 조작기의 내부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어 각종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는 조각기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의 자유로운 개, 폐를 가능하게 하고는 있으나, 공작물의 절삭과정 중에 발생하는 칩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통한 롤러의 슬라이드가 불가능해질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공작물의 절삭과정 중에 발생되는 칩은 절삭가공의 방향에 따라 도어를 향하여 배출되게 되는 데, 배출된 칩이 가이드레일 또는 롤러에 침투할 경우 슬라이드성이 악화되거나, 심한 경우 도어의 슬라이드가 불가능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레일과 롤러를 통한 도어의 개, 폐구조는 도어의 개방에 따른 주변환경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은 있으나, 도어의 개방이 조각기 내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조작기가 불필요하게 대형화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이 외에도 단순히 힌지를 이용하여 도어를 좌, 우로 개방시키는 도어의 개, 폐구조도 제안되고 있으나,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질 경우 주변기기와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설치공간에 제한이 따르게 되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공작물의 이동을 위한 도어의 개방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공작물의 가공상태 및 조작기의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도어를 간편하게 개, 폐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작기 도어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에 따른 주변기기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작기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를 통한 도어의 작동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조각기 도어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조각기본체에 설치된 회동브라케트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확대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각기본체 20 - 도어
21 - 투시창 22 - 도어손잡이
23 - 연결부재 30 - 회동브라케트
40 - 실린더 41 - 하우징
42 - 피스톤 50 - 고정브라케트
60 - 힌지브라케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 단부는 공작물의 가공상태 및 조작기몸체의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부착된 도어에 고정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조작기몸체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브라케트와;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조작기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케트와;
상기 실린더에 구비된 피스톤을 도어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힌지브라케트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조각기몸체에 설치된 도어는 회동브라케트를 통하여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개방되게 되고, 이 개방된 도어는 고정브라케트와 힌지브라케트를 통하여 조각기몸체에 고정된 실린더를 통하여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공작물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개방된 도어를 회동브라케트를 이용하여 하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개방되었던 도어는 실린더에 구비된 피스톤을 압축하면서 조작기몸체를 밀폐시키게 되어 안전한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전면에 투시창이 부착된 도어가 조작기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양측에는 개방된 도어를 유지시키기 위한 실린더가 각각 설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인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를 통한 도어의 작동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측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회동브라케트를 통하여 상부로 개방된 도어가 실린더를 통하여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인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를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조작기몸체에 설치된 도어는 회동브라케트를 통하여 상부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방된 도어를 유지시키기 위한 실린더는 고정브라케트와 힌지브라케트를 통하여 조작기몸체와 도어의 내측에 각각 고정되며, 이러한 도어의 용이한 개방을 위하여 도어의 전면에는 도어손잡이가 구비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4는 조각기 도어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조각기본체에 설치된 회동브라케트의 구성을 일부 확대도로 나타낸 것으로, 도어를 상부로 개방시키기 위한 회동브라케트의 일측 단부는 조각기몸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연결부재를 통하여 도어에 고정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은 공작물의 가공상태 및 조각기몸체(10)의 내부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전면에는 투시창(21)이 부착되고, 하부 일측에는 도어손잡이(22)가 구비된 도어(20)를 상부방향으로 개방시켜 주변환경과의 간섭 및 조각기(1)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도어(2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브라케트(30)의 일측 단부는 도어(20)의 상부 내측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이와 인접한 조각기몸체(10)의 내측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회동브라케트(30)는 안정된 도어(20)의 개방을 유도하기 위하여 다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 도어(20)의 상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에 회동브라케트(30)의 일측 단부를 직접적으로 고정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부재(23)를 통하여 상기 회동브라케트(30)를 간접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도어(20)의 변형이 발생되는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재(23)를 통하여 도어(20)가 고정될 경우 변형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브라케트(30)를 볼트 및 나사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체결부재를 통하여 조각기몸체(10) 및 도어(20)에 고정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용접을 통하여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한편, 조각기몸체(10)에는 회동브라케트(30)를 통하여 상부로 회동된 도어(20)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하우징(41)과 피스톤(42)으로 구성되어 가스 또는 유체에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40)가 설치되며, 이러한실린더(30)는 도어(20)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이러한 실린더(4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조각기몸체(10)에는 고정브라케트(50)가 설치되고, 도어(20)의 내측에는 힌지브라케트(60)가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실린더(40)를 구성하는 하우징(41)은 조각기몸체(10)에 고정된 고정브라케트(50)에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41)에 구비된 피스톤(42)은 도어(20)의 내측에 고정된 힌지브라케트(60)에 체결되는 것으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도 2 내지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가공을 위하여 공작물을 조각기몸체(10)에 고정시키거나,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조각기몸체(1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도어손잡이(22)를 파지한 후 전면으로 당기게 되면, 도어(20)는 회동브라케트(30)를 통하여 상부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그리고, 이 회동되는 도어(20)와 함께 실린더(40)도 고정브라케트(50)를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이때, 힌지브라케트(60)를 통하여 도어(20)에 체결되어 있던 피스톤(42)은 고정브라케트(50)에 체결된 하우징(41)으로부터 인출되게 되고, 이 인출된 피스톤(42)을 통하여 도어(20)는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어(20)의 개방상태가 인출된 피스톤(42)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작업자가 안심하고 공작물을 조각기몸체(10)에 고정하거나,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이 완료되어 도어손잡이(22)를 파지한 후 하부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개방되었던 도어(20)는 개방상태를 유지시키고 있던 피스톤(42)을 압축하면서회동브라케트(30)를 통하여 하부방향으로 회동되어 조각기몸체(10)를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조각기몸체(10)에 고정된 공작물의 안전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전면에 부착된 투시창(21)을 통하여 공작물의 가공상태 및 조각기몸체(10)의 내부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통하여 공작물의 안전한 가공 및 설치공간이 최소화된 조각기(1)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공작물의 가공상태 및 조작기몸체의 내부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도어를 상부로 간편하게 개, 폐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써, 도어의 개방에 따른 주변기기와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조각기의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의 개방상태는 실린더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써, 작업자가 안심하고, 공작물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도 향상을 통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일측 단부는 공작물의 가공상태 및 조작기몸체(10)의 내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21)이 부착된 도어(20)에 고정되며, 타측 단부는 상기 조작기몸체(10)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2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브라케트(30)와;
    상기 도어(20)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는 실린더(40)와;
    상기 실린더(40)를 조작기몸체(10)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케트(50)와;
    상기 실린더(40)에 구비된 피스톤(41)을 도어(20)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힌지브라케트(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40)는 도어(2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20)는 회동브라케트(30)의 일측 단부에 연결부재(23)를 통하여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
KR20-2003-0002355U 2003-01-24 2003-01-24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 KR2003122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55U KR200312270Y1 (ko) 2003-01-24 2003-01-24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55U KR200312270Y1 (ko) 2003-01-24 2003-01-24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270Y1 true KR200312270Y1 (ko) 2003-05-09

Family

ID=4940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355U KR200312270Y1 (ko) 2003-01-24 2003-01-24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2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82Y1 (ko) * 2017-11-21 2018-04-27 주식회사 듀크린 집진기기용 핸들링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82Y1 (ko) * 2017-11-21 2018-04-27 주식회사 듀크린 집진기기용 핸들링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582B1 (en) Machine tool with a working area cover
JP6480821B2 (ja) ロボットのカバー構造
KR100659171B1 (ko) 헬멧용 턱 보호대의 개폐장치
EP3002080B1 (en) Machine tool
US7229395B2 (en) Cover structure of a machine tool
EP2036663A1 (en) Composite working lathe
ES2175206T3 (es) Maquina herramienta con una puerta corredera.
KR200312270Y1 (ko) 조각기 도어의 개폐구조
CN108714817A (zh) 一种数控机床折叠式安全门装置
KR200451295Y1 (ko) 자동선반의 도어
KR200448015Y1 (ko) 공작 기계용 도어 개폐장치
KR20200099359A (ko) 공작기계의 와이퍼 장치
CN210938279U (zh) 刀库
IL151447A0 (en) Fitting for a window or door
KR101838999B1 (ko) 인덱스머신의 도어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인덱스머신
JPH1177482A (ja) スプラッシュガードの開閉ドア装置
CN204997450U (zh) 半防护机床
JPH05138491A (ja) 工作機械のスライド扉装置
CN214445582U (zh) 集成有自动顶门的数控机床拉门结构
JP2526397Y2 (ja) 工作機械のスプラッシュガード
CN215469920U (zh) 一种立式数控加工中心
KR20110070943A (ko) 공작기계의 세미 스플래쉬 가드용 오토 도어 장치
CN216503819U (zh) 一种便于机器人上下活的立式车床防护罩
CN109048476B (zh) 一种机床助力连杆式升降防护平移上翻门
KR20220082972A (ko) 공작기계용 도어 자동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