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238Y1 - 헤어핀 또는 반지의 악세서리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헤어핀 또는 반지의 악세서리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238Y1
KR200312238Y1 KR20-2002-0037640U KR20020037640U KR200312238Y1 KR 200312238 Y1 KR200312238 Y1 KR 200312238Y1 KR 20020037640 U KR20020037640 U KR 20020037640U KR 200312238 Y1 KR200312238 Y1 KR 2003122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hairpin
ring
accessori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삼규
Original Assignee
박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삼규 filed Critical 박삼규
Priority to KR20-2002-0037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2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2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2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2Hair pi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방법으로 다양한 악세서리의 교환이 가능토록 하여 장식효과를 높인 헤어핀 또는 반지의 악세서리 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돌출 구조물을 일측에 부착한 헤어핀과, 상기 헤어핀의 돌출 구조물에 끼움 결합되도록 오목 구조물을 형성하여 원터치에 의해 끼움결합되는 악세서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고, 또한, 돌출 구조물을 일측에 부착한 반지와, 상기 반지의 돌출 구조물에 끼움 결합되도록 오목 구조물을 형성하여 원터치에 의해 끼움결합되는 악세서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며;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다수개의 악세서리를 구입하고 몇개의 반지나 헤어핀을 구입하면, 비록 반지나 헤어핀은 동일한 것을 이용하더라도 그 위에 부착되는 악세서리는 매우 다양하게 부착시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도 다양한 미적감각과 패션감각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헤어핀 또는 반지의 악세서리 부착구조{Accessory Adhesing Structure for Hair Pin and Finger Ring}
본 고안은 헤어핀 또는 반지의 악세서리 부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 방법으로 다양한 악세서리의 교환이 가능토록 하여 장식효과를 높인 헤어핀 또는 반지의 악세서리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핀 또는 반지는 악세서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용접하거나 또는 사출을 통하여 일체로 제작하였던바, 이러한 종래의 악세서리 부착구조는 악세서리가 헤어핀이나 반지에 고정된 상태로 망가질 때까지 사용하기 때문에 악세서리에 실증날 경우 헤어핀이나 반지를 아예 이용하지 않게 되거나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생활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다양한 유행이 빠른 속도로 지나가게 되는데, 현재까지의 헤어핀이나 반지의 경우에는 악세서리와 탈부착이 불가능한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쉽게 버리게 되어 자원낭비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새로운 미의 창조를 위해 자주 바꾸게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 또한 무시못할 정도로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여성의 머리 장식이나 손가락 장식을 보다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여성 자신의 미적 감각을 확대시키고 아울러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돌출 구조물을 일측에 부착한 헤어핀과, 상기 헤어핀의 돌출 구조물에 끼움 결합되도록 오목 구조물을 형성하여 원터치에 의해 끼움결합되는 악세서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돌출 구조물을 일측에 부착한 반지와, 상기 반지의 돌출 구조물에 끼움 결합되도록 오목 구조물을 형성하여 원터치에 의해 끼움결합되는 악세서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헤어핀 및 반지에 부착되는 돌출 구조물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악세서리에 부착되는 오목 구조물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도 1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1b는 도 1a의 일실시예도.
도 2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2b는 도 1a의 일실시예도.
도 3은 본 고안의 부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헤어핀 11, 31: 볼록구조물
20: 악세서리 21: 오목구조물
30: 반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 1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헤어핀(10)의 끝단에 돌출구조물(11)이 부착되고, 이에 대응하여 악세서리(20)에는 오목구조물(21)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돌출구조물(11)은 중간부분에 비해 끝단부가 더 볼록하도록 하고, 또한악세서리(20)의 오목구조물(21) 역시 중간부분이 끝단부 보다 더 오목하도록 하여, 헤어핀(10)의 돌출구조물(11)에 악세서리(20)의 오목구조물(21)에 부착될시 쉽게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헤어핀(10)과 악세서리(20)를 결합시 상기 볼록 구조물(11)에 악세서리(20)의 오목구조물(21)을 원터치에 의해 끼움 결합시키고, 이를 분리할 때에는 헤어핀(10)으로부터 악세서리(20)를 잡아당기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별도의 잠금동작을 할 필요가 없어 헤어핀(10)으로부터 악세서리(20)를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이 매우 쉽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헤어핀(10)으로부터 악세서리(20)를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매우 간편하기 때문에 일개의 헤어핀(10)에 다양한 문양의 악세서리(20)를 적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은 도 2a, 2b에 도시한 반지(30)의 구조물에도 상기 헤어핀(10)과 동일한 기술사상을 적용하였는바, 반지(30)의 일단에 돌출 구조물(31)을 부착하고, 상기 악세서리(20)의 일단에 오목구조물(21)을 부착하여 상기 반지(30)의 돌출구조물(31)에 악세서리(20)의 오목구조물(21)을 위치시킨 다음 원터치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지(30)에 적용된 돌출구조물(31)은 헤어핀(10)에 적용된 돌출구조물(11)과 마찬가지로 끝부분이 가운데 부분보다 옆으로 더 팽창되도록 하여 한번 결합하고 나면 쉽게 분리되지 않토록 하였다.
상기에서 헤어핀(10)과 반지(30)의 볼록구조물(11, 31) 및 악세서리(20)의오목구조물(21)은 용접이나 접착에 의해 부착할 수도 있고, 제조과정에서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지(30)에 적용되는 악세서리(20)는 헤어핀(10)에 적용할 수도 있는바, 이는 반지(30)에 적용되는 볼록구조물(31)의 크기와 헤어핀(10)에 적용되는 볼록구조물(31)의 크기를 똑같이 맞추게 되면 상기 반지(30)와 헤어핀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도록 제작된 악세서리(20) 역시 두가지 물품에 모두 결합가능하다.
본 고안의 가장 큰 장점은 원터치에 의해서 쉽게 헤어핀(10)이나 반지(30)로 부터 악세서리(20)를 분리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쉽게 결합할 수도 있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다수개의 악세서리를 구입하고 몇개의 반지나 헤어핀을 구입하면, 비록 반지나 헤어핀은 동일한 것을 이용하더라도 그 위에 부착되는 악세서리는 매우 다양하게 부착시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도 다양한 미적감각과 패션감각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설명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은 포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Claims (4)

  1. 돌출 구조물을 일측에 부착한 헤어핀과, 상기 헤어핀의 돌출 구조물에 끼움 결합되도록 오목 구조물을 형성하여 원터치에 의해 끼움결합되는 악세서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악세서리 부착구조.
  2. 돌출 구조물을 일측에 부착한 반지와, 상기 반지의 돌출 구조물에 끼움 결합되도록 오목 구조물을 형성하여 원터치에 의해 끼움결합되는 악세서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 악세서리 부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핀 및 반지에 부착되는 돌출 구조물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또는 반지 악세서리 부착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악세서리에 부착되는 오목 구조물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또는 반지 악세서리 부착구조.
KR20-2002-0037640U 2002-12-17 2002-12-17 헤어핀 또는 반지의 악세서리 부착구조 KR2003122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640U KR200312238Y1 (ko) 2002-12-17 2002-12-17 헤어핀 또는 반지의 악세서리 부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640U KR200312238Y1 (ko) 2002-12-17 2002-12-17 헤어핀 또는 반지의 악세서리 부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238Y1 true KR200312238Y1 (ko) 2003-05-09

Family

ID=4940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640U KR200312238Y1 (ko) 2002-12-17 2002-12-17 헤어핀 또는 반지의 악세서리 부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23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181A (ko) 2018-12-12 2020-06-22 김찬수 헤어핀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부재
KR20200072204A (ko) 2018-12-12 2020-06-22 김찬수 헤어핀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부재
KR20220000341U (ko) 2020-07-29 2022-02-07 오용관 탈부착타입 펜던트용 탈부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181A (ko) 2018-12-12 2020-06-22 김찬수 헤어핀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부재
KR20200072204A (ko) 2018-12-12 2020-06-22 김찬수 헤어핀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부재
KR20220000341U (ko) 2020-07-29 2022-02-07 오용관 탈부착타입 펜던트용 탈부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44277S1 (e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0312238Y1 (ko) 헤어핀 또는 반지의 악세서리 부착구조
US6539749B2 (en) Combination earrings and nape chain and method therefor
USD468226S1 (en) Watch bracelet with multiple decorative elements
US7331197B2 (en) Decorative earring sleeve
KR200380796Y1 (ko) 형태 변형이 가능한 목걸이용 펜던트
USD483287S1 (en) Bracelet
USD481647S1 (en) Article of jewelry
USD522760S1 (en) Button appliqué
KR200284387Y1 (ko) 장신용 악세서리
JP3224771U (ja) 身飾品
KR200376445Y1 (ko) 옷 핀
USD460715S1 (en) Jewelry setting
KR102436949B1 (ko) 비즈 연결구조가 구비된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286026Y1 (ko) 장식용 펜던트
KR200494237Y1 (ko) 탄성이 있는 장신구
JP3029495U (ja) シャツのカラー保持具
KR100916514B1 (ko) 레이스를 이용한 목걸이와 귀걸이 커플링 장치
KR200291900Y1 (ko) 장식용 옷핀
JP3018784U (ja) スカーフ等の装着具
KR19990011793U (ko) 패션용 악세사리
KR200202760Y1 (ko)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KR200186243Y1 (ko) 구슬형 보석 착탈용 목걸이
KR200275805Y1 (ko) 펜던트형 목걸이
JP3062093U (ja) 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