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963Y1 - 원사롤 운반용 판재 - Google Patents

원사롤 운반용 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963Y1
KR200311963Y1 KR20-2003-0004102U KR20030004102U KR200311963Y1 KR 200311963 Y1 KR200311963 Y1 KR 200311963Y1 KR 20030004102 U KR20030004102 U KR 20030004102U KR 200311963 Y1 KR200311963 Y1 KR 200311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support means
yarn
yarn rol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4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원
Priority to KR20-2003-0004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9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9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1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 B65D2519/00815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the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93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 B65D2519/0095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 B65D2519/00965Details with special means for nesting or stacking stackable when 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빈(12)에 원사(13)를 감은 원사롤을 운반하는 판재에 관련되며, 상기 복수의 보빈(12)의 하단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적층시 상단을 지지하도록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의 환형요홈(25) 상에 동심으로 형성되는 이중의 원형대(22)(24)와, 저면의 환형요홈(25) 상에 동심으로 형성되는 원형테(26)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에 동심으로 형성되는 원형대(32) 및 원형테(34)와, 저면에 형성되는 원형테(36)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보빈에 원사를 감은 원사롤을 다량으로 운송할 때 제품의 유동에 따른 손상이 없고 안전성이 향상되면서 운송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사롤 운반용 판재 {Plate for transporting yarn roll}
본 고안은 원사롤 운반용 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빈에 원사를 감은 원사롤을 운송할 때 제품의 유동에 따른 손상이 없고 안전성이 향상되면서 운송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원사롤 판재를 사용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통상 원사(13)는 보빈(12)에 일정한 두께로 감겨 원사롤 형태로 되고 이러한 원사롤은 다수개 단위로 판재(10)를 이용하여 운반 또는 보관된다. 종래에는 다수의 원사롤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는 칸막이를 지닌 상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운반 및 보관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칸막이 내부에서 일부의 보빈(12)이 유동되어 원사(13)가 손상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1처럼 골판지 소재의 판재(10)에 플라스틱 소재의 지지구(11)를 삽착한 다음 지지구(11) 상에 원사롤을 삽착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있어 지지구(11)는 반복 사용이 가능하나 종이 재질의 판재(10)는 내구성이 약하여 수회 사용 후에 다시 교체해야 하므로 지속적인 비용 발생이 초래된다.
또한 다수의 원사롤이 삽착된 판재(10)를 다층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밴드로 묶고 비닐랩을 씌우면 판재(10)의 강도가 약하여 적층된 원사롤이 유동되기 쉬우므로 반드시 팔레트(14)를 사용하여 밴드를 묶어야 한다.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팔레트(14)를 사용하면 운송시 불필요한 중량이 증가되고 부피가 커져 포장, 운송, 관리에 있어 부가적 비용을 부담해야 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폐단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빈에 원사를 감은 원사롤을 다량으로 운송할 때 제품의 유동에 따른 손상이없고 안전성이 향상되면서 운송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판재를 사용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른 판재를 부분 절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예에 따른 판재를 부분 절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판재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 판재 22, 24, 32, 62: 원형대
25, 35, 44: 환형요홈 26, 34, 36: 원형테
42, 52: 원형요홈 45, 65: 원형통공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보빈(12)에 원사(13)를 감은 원사롤을 운반하는 판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빈(12)의 하단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적층시 상단을 지지하도록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의 환형요홈(25) 상에 동심으로 형성되는 이중의 원형대(22)(24)와, 저면의 환형요홈(25) 상에 동심으로 형성되는 원형테(26)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에 동심으로 형성되는 원형대(32) 및 원형테(34)와, 저면에 형성되는 원형테(36)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서 환형요홈(35)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과 저면에서 각각 동심으로 형성되는 원형요홈(42)과 환형요홈(44)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의 원형요홈(42)은 동심으로 원형통공(45)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요홈(52)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대(62)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의 원형대(62)는 동심으로 원형통공(65)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판재를 부분 절개로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은 보빈(12)에 원사(13)를 감은 원사롤을 운반하는 판재에 관련되며, 발포성 수지에 의한 평판 구조로 상기 다수의 원사롤을 동시에 수용한다. 발포성 수지로는 스티로폼, 즉 발포 폴리스티렌(EPS) 또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을 사용한다. EPS는 현재 범용포장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물성이 약하여 고급화 및 안전성이 요구되는 곳에는 무가교 발포체인 EPP가 좋다. EPP는 원료인 PP(Polypropylene) 수지의 특성상 EPS보다 강도, 내충격성, 내열/내한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포장 부피를 소형화하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판재(20)는 상기 복수의 보빈(12)의 하단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적층시 상단을 지지하도록 상면 및 저면에 각각 지지수단을 일체로 구비한다. 판재(20)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이며 네모서리는 라운드로 처리된다. 하나의 판재(20)에서 상면은 상측의 보빈(12)의 하단과 접촉되는 면이고, 그 반대측의 저면은 하층의 보빈(12)의 상단과 접촉되는 면이다. 지지수단은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도시하고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면과 저면에서 다른(비대칭적인) 형태로 형성하거나 동일한(대칭적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원사(13)는 판재(20)의 지지수단의 상태에 따라 상면 또는 저면과 접촉된다.
도 2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의 환형요홈(25) 상에 동심으로 형성되는 이중의 원형대(22)(24)와, 저면의 환형요홈(25) 상에 동심으로 형성되는 원형테(26)를 구비한다. 환형요홈(25)은 판재(20)의 각각 상면 및 저면에서 동일한 지점에 원사(13)의 권취된 직경보다 약간 크거나 같은 치수로 형성된다. 상면에서 원형대(22)(24)는 환형요홈(25)과 동심상으로 단지게 형성되고, 저면에서 원형테(26)는 환형요홈(25)과 동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확대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의 보빈(12)은 내측 원형대(22)에 삽착되는 동시에 외측 원형대(24)에 의해 지지되고, 하측의 보빈(12)은 환형요홈(25)의 내측으로 삽착 및 지지된다. 부호 25a는 환형요홈(25)을 이루는 평면부로서 원사(13)가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도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28은 적층 보관되는 판재(20)를 하나씩 자동적으로 로딩할 때 로봇의 그립(grip)이 통과되는 용도의 관통공이다. 또한 이는 발포성 수지의 판재(20)를 건조할 때 신속하고 고른 건조 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예에 따른 판재를 부분 절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에 동심으로 형성되는 원형대(32) 및 원형테(34)와, 저면에 형성되는 원형테(36)를 구비한다. 상면과 저면의 원형테(34)(36)는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면에서 원형테(34)의 내측으로 동심상에 원형대(32)가 형성된다. 도 3의 원형대(32)는 도 2의 원형대(22)와 크기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서 환형요홈(35)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환형요홈(3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원사(13)를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용도로서 도 4b처럼 상면에 두거나 도 4c처럼 저면에 두거나 도 4d처럼 양면에 둘 수 있다. 물론 도 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4a처럼 환형요홈(35)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상측의 보빈(12)은 원형대(32)와 원형테(34)가 이루는 홈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되고, 하측의 보빈(12)은 원형테(36)의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로 지지된다. 보빈(12)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노후화되면 권취되는 원사(13)의 처짐이 발생하는데, 도 4a처럼 원형테(34)는 이러한 원사(13)의 처짐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판재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가 도시된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들은 판재(20)의 상면과 저면에서 동일한 형태의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도 5에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과 저면에서 각각 동심으로 형성되는 원형요홈(42)과 환형요홈(44)을 구비한다. 원형요홈(42)은 보빈(12)을 수용하는 치수로 하고, 환형요홈(44)은 원사(13)를 수용하는 치수로 한다. 판재(20)는 동심상으로 형성되는 원형요홈(42)과환형요홈(44)에 의해 이단 구조로 된다.
이때, 도 6처럼 상기 지지수단의 원형요홈(42)은 동심으로 원형통공(45)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형통공(45)은 판재(20)의 설계 강도가 유지되는 범위의 치수로 하며, 내충격과 내마모성을 고려하여 상하 테두리에 면취부(45a)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로봇을 이용한 자동 로딩장치가 있는 경우 원형통공(45)은 로봇의 그립을 삽착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도 7에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요홈(52)을 구비한다. 원형요홈(52)은 보빈(12)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며 원사(13)를 통하여 지지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예에 비하여 원사롤에 대한 지지력이 약한 편이다. 원사(13)는 원형요홈(52)의 평면부에 접촉되지 않고 공간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8에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대(62)를 구비한다. 원형대(62)는 전술한 도 2의 원형대(22) 및 도 3의 원형대(32)처럼 보빈(12)의 내측으로 삽착된다.
이때, 도 9처럼 상기 지지수단의 원형대(62)는 동심으로 원형통공(65)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원형통공(65)은 도 6의 원형통공(45)처럼 설계 강도를 유지하는 범위의 치수로 하며, 자동 로딩장치에서 로봇의 그립을 삽착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
도 10에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수단의 구성 가운데 밑면부(하면부)는 완전 평면상태를 이루고 있고, 상면부는 환형요홈(25) 상의내측으로 평면부(25a)를 형성함과 동시에 평면부(25a)의 일측으로 원형테(26)를 구비한다. 이러한 도 10의 판재(20) 구조는 최하면부 또는 최하면부 및 최상면부의 판재로서 사용되는데 매우 유용하다. 즉, 전술한 도 2 내지 도 9의 판재들은 대부분 보빈이 삽설되는 주변 구조들이 돌출되어 있거나 오목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이러한 도 2 내지 도 9의 판재들을 최하면부의 판재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통상 7-8층씩 적재되는 판재의 무게 때문에 위에서 짓누르는 하중을 견디지 못해 돌출부 등의 구조가 원래의 형상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드물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경우에 도 10의 판재 구조를 이용하게 되면 전술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상 단섬유의 집합체인 원사를 권취기에서 꼬임을 가하여 단사를 만들고 다시 2올의 단사를 합연하여 소요 번수의 연사를 제조하는데, 특히 연사롤을 운반하는 용도에 있어서 상기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 중에서 환형요홈(25)(35)과 같은 수용부가 있는 구조가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한 판재(20)는 블랙, 레드, 핑크, 그린, 옐로우 등에서 택일되는 색상을 부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 보관 및 출하 과정에서 원사롤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른 식별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보빈에 원사를 감은 원사롤을 다량으로 운송할 때 제품의 유동에 따른 손상이 없고 안전성이 향상되면서 운송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보빈(12)에 원사(13)를 감은 원사롤을 운반하는 판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빈(12)의 하단을 일정 간격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적층시 상단을 지지하도록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의 환형요홈(25) 상에 동심으로 형성되는 이중의 원형대(22)(24)와, 저면의 환형요홈(25) 상에 동심으로 형성되는 원형테(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에 동심으로 형성되는 원형대(32) 및 원형테(34)와, 저면에 형성되는 원형테(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서 환형요홈(3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과 저면에서 각각 동심으로 형성되는 원형요홈(42)과 환형요홈(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원형요홈(42)은 동심으로 원형통공(4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요홈(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과 저면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대(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원형대(62)는 동심으로 원형통공(6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구성 가운데 밑면부는 완전 평면상태를 이루고 있고, 상면부는 환형요홈(25) 상의 내측으로 평면부(25a)를 형성함과 동시에 평면부(25a)의 일측으로 원형테(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20)는 블랙, 레드, 핑크, 그린, 옐로우 등의 색상을 선택적으로 택일하여 부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롤 운반용 판재.
KR20-2003-0004102U 2003-02-12 2003-02-12 원사롤 운반용 판재 KR200311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102U KR200311963Y1 (ko) 2003-02-12 2003-02-12 원사롤 운반용 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4102U KR200311963Y1 (ko) 2003-02-12 2003-02-12 원사롤 운반용 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491A Division KR20040072841A (ko) 2003-02-11 2003-02-11 원사롤 운반용 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963Y1 true KR200311963Y1 (ko) 2003-05-09

Family

ID=4940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4102U KR200311963Y1 (ko) 2003-02-12 2003-02-12 원사롤 운반용 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9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921B1 (ko) 권취롤용 단부벽
US4877133A (en) End wall of moldable material for a wound roll
US4570794A (en) Suspension packaging for film rolls
US4058216A (en) Device for packing roll-like articles
US6315122B1 (en) Palletless packaging system
CA2581849A1 (en)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a plurality of items
US3489274A (en) End suspension container
JPH0640486A (ja) パンケーキリールの運搬用パッケージ及び使用後のパッケージの回収方法
KR200311963Y1 (ko) 원사롤 운반용 판재
US5974981A (en) Pallet for shipping and de-spooling electrical wire
CA2825934C (en) Packaging for motors
KR20040072841A (ko) 원사롤 운반용 판재
US3168879A (en) Pallet structure and method of palletizing
US6805240B2 (en) End cap support for jumbo rolls of material
KR200284707Y1 (ko) 보빈 운반용 지지판
KR20030075340A (ko) 보빈 운반용 지지판
JP2011016553A (ja) ロール製品用プロテクター
US20060081491A1 (en) Support for large rolls of material
US6805239B2 (en) Support for large rolls of material
US20050082192A1 (en) End cap support for jumbo rolls of material
KR20050037330A (ko) 보빈 운반용 지지판
JP2576248Y2 (ja) 段積みした巻テープの荷崩れ防止構造
JP6291662B2 (ja) ロール製品用プロテクター
JPH05201485A (ja) ロール体の梱包方法及びこれにより得られるロール体梱包物
JP4024379B2 (ja) ボビン等円筒状物用保持板及び該保持板を用いた梱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