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707Y1 - 보빈 운반용 지지판 - Google Patents

보빈 운반용 지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707Y1
KR200284707Y1 KR2020020007925U KR20020007925U KR200284707Y1 KR 200284707 Y1 KR200284707 Y1 KR 200284707Y1 KR 2020020007925 U KR2020020007925 U KR 2020020007925U KR 20020007925 U KR20020007925 U KR 20020007925U KR 200284707 Y1 KR200284707 Y1 KR 200284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bobbin
groove
yar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9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원
Priority to KR20200200079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7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707Y1/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빈(12) 상에 원사(13)를 감은 원사롤을 다수로 적층한 상태로 운송하는 지지판(20)에 관련된다. 본 고안의 지지판(20)은 상기 다수의 원사롤을 동시에 수용하도록 발포성 수지에 의한 평판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빈(12)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일단에 맞물려 유동을 구속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지지수단의 일실시예로서, 상면의 돌출턱(21) 및 저면의 제1요홈(22)이 복렬로 형성되고, 네모서리에 위치하는 돌출턱(21)은 동심상에 통공(23)을 구비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원사용 또는 연사용 보빈을 운송할 때 제품의 유동에 따른 손상이 없고 안전성이 향상되면서 운송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빈 운반용 지지판 {A supporting plate for carrying bobbins}
본 고안은 보빈 운반용 지지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사용 또는 연사용 보빈을 운송할 때 제품의 유동에 따른 손상이 없고 안전성이 향상되면서 운송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보빈 운반용 지지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보빈 지지판을 사용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통상 원사(13)는 보빈(12)에 일정한 두께로 감겨 원사롤 형태로 되고 이러한 원사롤은 다수개 단위로 지지판(10)을 이용하여 운반 또는 보관된다. 종래에는 다수의 원사롤을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는 칸막이를 지닌 상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운반 및 보관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칸막이 내부에서 일부의 보빈(12)이 유동되어 원사(13)가 손상되는 폐단이 있었다. 이에 따라 도 1처럼 골판지 소재의 지지판(10)에 플라스틱 소재의 지지구(11)를 삽착한 다음 지지구(11) 상에 원사롤을 삽착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있어 지지구(11)는 반복 사용이 가능하나 종이 재질의 지지판(10)은 내구성이 약하여 수회 사용 후에 다시 교체해야 하므로 지속적인 비용이 발생된다.
또한 다수의 원사롤이 삽착된 지지판(10)을 다층으로 적층한 상태에서 밴드로 묶고 비닐랩을 씌우면 지지판(10)의 강도가 약하여 적층된 원사롤이 유동되기 쉬우므로 반드시 팔레트(14)를 사용하여 밴드를 묶어야 한다.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팔레트(14)를 사용하면 운송시 불필요한 중량이 증가되고 부피가 커져 포장, 운송, 관리 등의 부가적 비용도 증가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원사용 또는 연사용 보빈을 운송할 때 제품의 유동에 따른 손상이 없고 안전성이 향상되면서 운송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보빈 운반용 지지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보빈 지지판을 사용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빈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빈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빈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빈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변형예에 따른 보빈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주요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지지구 12: 보빈
13: 원사 14: 팔레트
21: 돌출턱 22, 24: 요홈
23: 통공 25, 26: 경사홈
27: 돌기 28, 29: 절개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보빈(12) 상에 원사(13)를 감은 원사롤을 다수로 적층한 상태로 운송하는 지지판(2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원사롤을 동시에 수용하도록 발포성 수지에 의한 평판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빈(12)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일단에 맞물려 유동을 구속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의 돌출턱(21) 및 저면의 제1요홈(22)이 복렬로 형성되고, 네모서리에 위치하는 돌출턱(21)은 동심상에 통공(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의 돌출턱(21) 및 그와 동심상의 제2요홈(24)이 복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하의 입구에 제1경사홈(25)을 지닌 통공(23)이 복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로서, 상기 지지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입구에 제2경사홈(26)을 지닌 통공(23)이 복열로 형성되고, 적층시 틈새를 유지하기 위한 돌기(27)가 일면에 복수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빈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빈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빈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보빈(12) 상에 원사(13)를 감은 원사롤을 다수로 적층한 상태로 운송하는 지지판(20)에 관련되며, 상기 다수의 원사롤을 동시에 수용하도록 발포성 수지에 의한 평판 구조로 이루어진다. 발포성 수지로는 스티로폼, 즉 발포 폴리스티렌(EPS) 또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PP)을 사용한다. EPS는 현재 범용포장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물성이 약하여 고급화 및 안전성이 요구되는 곳에는 무가교 발포체인 EPP가 좋다. EPP는 원료인 PP(Polypropylene) 수지의 특성상 EPS보다 강도, 내충격성, 내열/내한성 및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포장 부피를 소형화하면서도 안전성이 보장된다.
본 고안의 지지판(20)은 상기 보빈(12)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일단에 맞물려 유동을 구속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수단의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를 통하여 설명된다.
도 2에서, 본 고안의 지지수단은 상면의 돌출턱(21) 및 저면의 제1요홈(22)이 복렬로 형성되고, 네모서리에 위치하는 돌출턱(21)은 동심상에 통공(23)을 구비한다. 돌출턱(21)은 원통형 보빈(12)의 내면에 맞물리도록 원형의 양각 형태로 돌출되고, 제1요홈(22)은 보빈(12)의 외면에 맞물리도록 원형의 음각 형태로 함몰된다. 도시는 지지판(20)의 저면을 상측으로 하여 나타내는 것으로서, 각각의 돌출턱(21)의 반대면에서 동심상으로 각각의 제1요홈(22)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턱(21)과 제1요홈(22)은 하나의 지지판(20) 상에서 2-30개소에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개소, 6개소, 9개소, 12개소, 15개소, 18개소 등에서 택일하여 배치한다. 상기 6개소 이상의 복열 구조인 경우 모서리의 4개소에서 돌출턱(21)과 제1요홈(22)을 관통하는 통공(23)이 형성된다. 통공(23)은 로봇을 이용하여 지지판(20)을 로딩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시에서 통공(23)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돌출턱(21)과 제1요홈(22)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지지수단은 상면의 돌출턱(21) 및 그와 동심상의 제2요홈(24)이 복열로 형성된다. 각각의 돌출턱(21) 주변으로 제2요홈(24)이 형성되어 지지수단을 구성하며, 2-30 개소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돌출턱(21)의 구성은 전술한 도 2와 동일하지만 제2요홈(24)은 전술한 제1요홈(22)보다 직경이 크다. 제2요홈(24)은 보빈(12)에 감긴 원사(13)가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원사롤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어 유리한 구조이다.
도 3은 지지판(20)의 상면에만 지지수단이 형성되고 저면은 평면 상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저면에도 동일한 돌출턱(21) 또는 전술한 도 2의 제1요홈(2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에서, 본 고안의 지지수단은 상하의 입구에 제1경사홈(25)을 지닌 통공(23)이 복열로 형성된다. 전술한 돌출턱(21), 제1요홈(22), 제2요홈(24)은 생략되고 모두 통공(23)으로만 구성된다. 통공(23)의 입구에 형성되는제1경사홈(25)은 보빈(12)이 안착되는 크기로 한다. 제1경사홈(25)은 상면과 저면에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고 일측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지지판(20)은 모두 통공(23)으로 구성되므로 도 2처럼 로봇에 의한 자동 로딩이 가능하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르면 지지판(20)의 대향하는 변에는 로봇에 의한 자동 로딩을 위한 제1절개홈(28)이 더 구비된다. 현장에 투입되는 로봇의 그립(grip) 형태에 따라 통공(23)이 아닌 다른 구조가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적어도 4개소 정도에 제1절개홈(28)을 추가하는 것이 좋다. 제1절개홈(28)은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의 지지판(20)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 제1절개홈(28)과 다른 변에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제2절개홈(29)은 다양한 형태로 절개되어 지지판(20)의 형식(모델명)을 식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보빈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변형예에 따른 보빈 지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통상 단섬유의 집합체인 원사를 권취기에서 꼬임을 가하여 단사를 만들고 다시 2올의 단사를 합연하여 소요 번수의 연사를 제조하는데, 도 2 내지 도 4가 원사롤을 운반하는 용도인 반면 도 5 및 도 6은 연사롤을 운반하는 용도로 적합하다.
후자의 경우 본 고안의 지지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입구에 제2경사홈(26)을 지닌 통공(23)이 복열로 형성된다. 제2경사홈(26)은 보빈(12)에 감긴 연사와 접하여 지지되도록 비교적 큰 직경에 걸쳐 형성된다. 각각의 제2경사홈(26)에는 동심상에 통공(23)이 형성된다. 통공(23)과 제2경사홈(26)을 복열로 배치하는 구조는전술한 도 2 내지 도 4와 동일하다.
참고로 지관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보빈(12)은 대체로 80-100 φ의 직경을 지니는데, 81 φ, 93 φ, 112φ, 128φ의 것들이 주로 사용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부호 15는 소재의 절약을 위한 원형홈이고, 부호 16은 소재의 절약을 위한 삼각형홈이고, 부호 17은 성형시 소재의 투입을 위한 피더(feeder)의 형상이고, 부호 18은 성형 완료된 본 고안의 지지판(20)을 탈형하는 밀핀의 형상이다. 원형홈(15)과 삼각형홈(16)은 통공(23) 사이의 공간에 적절하게 배치하여 성형 완료된 스티로폼 지지판(20)의 건조가 신속하고 균일하도록 하고 변형을 방지한다.
지지판(20)의 두께는 연사롤의 중량에 따라 차별화된다. 도 5처럼 두꺼운 형태로 성형하는 경우 원형홈(15)은 양면에서 형성되도록 하지만, 도 6처럼 상대적으로 얇은 형태로 성형하는 경우 원형홈(15)은 일면에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통공(23)의 제2경사홈(26)도 일면에만 형성하여 저면에는 삼각형홈(14)만 있는 편평한 구조로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지지판(20)의 적층시 틈새를 유지하기 위한 돌기(27)가 일면에 복수로 형성된다. 돌기(27)는 성형직후 건조과정에서 서로 접착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어도 4개소 이상의 지점에서 균형있게 지지하여 일정한 틈새가 유지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의 경우에도, 전술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지지판(20)의 대향하는 변에 로봇에 의한 자동 로딩을 위한 제1절개홈(28)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주요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7a는 도 2의 지지판(20)을 사용하는 상태로서 보빈(12)이 돌출턱(21)에 맞물려 안착된 것을 알 수 있다. 지지판(20) 상에 다수의 원사롤을 안착시킨 다음 차례로 적층하면 저면의 제1요홈(22)에는 저층에 있는 보빈(12)의 상단이 안착되므로 보빈(12)은 상하로 이탈이 구속된다. 이어서 지지판(20) 사이에 적층된 일체의 원사롤을 밴드로 묶고 비닐랩을 씌우면 종래와 같은 팔레트(14)가 없어도 원사롤이 운송중에 견실하게 제위치를 유지하게 된다.도 7b는 도 3의 지지판(20)을 사용하는 상태로서 상하의 보빈(12)이 돌출턱(21)에 맞물리고 원사(13)는 제2요홈(24)에 수용됨을 알 수 있다. 보빈(12)을 적층하여 포장하는 방법은 도 7a와 동일하다.
도 7c는 도 4의 지지판(20)을 사용하는 상태로서 상하의 보빈(12)이 각각 제1경사홈(25)에 안착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도 2 및 도 3처럼 돌출턱(21)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보빈(12)의 지지력은 약하다. 보빈(12)에 감긴 원사(13)는 외주면 하단부가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때 보빈(12)이 상부로 들리므로 약간의 외부 충격에도 제위치를 이탈할 수 있다. 반면 돌출턱(21)이 없어 지지판(20)의 성형이 용이하고 소재도 사용량도 줄일 수 있다.
도 7d는 도 5와 도 6의 지지판(20)을 사용하는 상태로서, 연사(13')를 보빈(12)에 감은 연사롤이 전체적으로 제2경사홈(26)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저면에 형성된 제2경사홈(26)은 저층의 연사(13')를 지지하여 연사롤이 운송중에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의 경우에는 저면에 제2경사홈(26)이 없으나 23을 통하여 보빈(12)이 지지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6을 통하여 설명한 본 고안의 지지판(20)은 모두 코너를 라운드 처리한다. 이는 지지판(20) 상에 적층된 일체의 원사롤 또는 연사롤에 비닐랩을 씌울 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일체형의 지지판(20)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지지구(11)를 배제하여 작업이 편리하며 종이 재질에 비하여 내후성이 우수하여 결과적으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원사용 또는 연사용 보빈을 운송할 때 제품의 유동에 따른 손상이 없고 안전성이 향상되면서 운송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보빈(12) 상에 원사(13)를 감은 원사롤을 다수로 적층한 상태로 운송하는 지지판(20)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원사롤을 동시에 수용하도록 발포성 수지에 의한 평판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빈(12)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일단에 맞물려 유동을 구속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운반용 지지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의 돌출턱(21) 및 저면의 제1요홈(22)이 복렬로 형성되고, 네모서리에 위치하는 돌출턱(21)은 동심상에 통공(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운반용 지지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면의 돌출턱(21) 및 그와 동심상의 제2요홈(24)이 복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운반용 지지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하의 입구에 제1경사홈(25)을 지닌 통공(23)이 복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운반용 지지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입구에 제2경사홈(26)을 지닌 통공(23)이 복열로 형성되고, 적층시 틈새를 유지하기 위한 돌기(27)가 일면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운반용 지지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의 대향하는 변에는 로봇에 의한 자동 로딩을 위한 제1절개홈(2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 운반용 지지판.
KR2020020007925U 2002-03-18 2002-03-18 보빈 운반용 지지판 KR200284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925U KR200284707Y1 (ko) 2002-03-18 2002-03-18 보빈 운반용 지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925U KR200284707Y1 (ko) 2002-03-18 2002-03-18 보빈 운반용 지지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505A Division KR20030075340A (ko) 2002-03-18 2002-03-18 보빈 운반용 지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707Y1 true KR200284707Y1 (ko) 2002-08-10

Family

ID=7311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925U KR200284707Y1 (ko) 2002-03-18 2002-03-18 보빈 운반용 지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7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9921B1 (ko) 권취롤용 단부벽
US4877133A (en) End wall of moldable material for a wound roll
US20080017650A1 (en) Packaging system for shipping a plurality of items
US5344013A (en) End wall made of material which can be shaped without cutting for a winding film
JPWO2013175889A1 (ja) ガラスロービング梱包体
KR200284707Y1 (ko) 보빈 운반용 지지판
KR20030075340A (ko) 보빈 운반용 지지판
JPH06286877A (ja) 射出成形材料製の巻きロール用端壁
US3168879A (en) Pallet structure and method of palletizing
KR20050037330A (ko) 보빈 운반용 지지판
KR200311963Y1 (ko) 원사롤 운반용 판재
JP2011016553A (ja) ロール製品用プロテクター
JP2576248Y2 (ja) 段積みした巻テープの荷崩れ防止構造
KR100621470B1 (ko) 보빈 운반용 지지판
JPH05201485A (ja) ロール体の梱包方法及びこれにより得られるロール体梱包物
KR20040072841A (ko) 원사롤 운반용 판재
US20060081491A1 (en) Support for large rolls of material
US6805239B2 (en) Support for large rolls of material
KR20170090222A (ko) 원사 포장용 완충재
JP2604907Y2 (ja) ロール製品用プロテクター
EP0738225B1 (en) Pallet of wound corrugated paperboard
JP4024379B2 (ja) ボビン等円筒状物用保持板及び該保持板を用いた梱包方法
KR100919380B1 (ko) 원사 포장용 중간 판재
CN219030086U (zh) 一种纸箱提手
JP3519387B2 (ja) 保護板およびコイル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227

Effective date: 200807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228

Effective date: 200807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000059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228

Effective date: 200807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000058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227

Effective date: 200807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000058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227

Effective date: 200807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10528; INVALID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10566;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10573;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10580;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919

Effective date: 2008121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5000127;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919

Effective date: 20081219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902

Effective date: 200907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10580;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902

Effective date: 2009071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02

Effective date: 20090710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01

Effective date: 20090710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902

Effective date: 200907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10566;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02

Effective date: 200907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10528;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901

Effective date: 200907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200010573;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80902

Effective date: 20090710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300002777;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300002753;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300002760;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300002784;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30000219;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820

Effective date: 20091112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820

Effective date: 200911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300002777;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820

Effective date: 200911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300002760;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820

Effective date: 200911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300002784;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820

Effective date: 2009111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300002753;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820

Effective date: 2009111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124

Effective date: 2009121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3000021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124

Effective date: 20091217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