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569Y1 -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 - Google Patents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569Y1
KR200311569Y1 KR20-2003-0001889U KR20030001889U KR200311569Y1 KR 200311569 Y1 KR200311569 Y1 KR 200311569Y1 KR 20030001889 U KR20030001889 U KR 20030001889U KR 200311569 Y1 KR200311569 Y1 KR 200311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rtical
vertical panel
dressing room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18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옥교
Original Assignee
정옥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옥교 filed Critical 정옥교
Priority to KR20-2003-00018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5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5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84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 A47B87/0292Cabinet systems consisting of stacked-and-linked uniform casings, each being a cabinet or drawer-holder, e.g. lockers, mail/file boxing systems each casing having a cross-section with a closed periphery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선택한 갯수만큼의 함실로 분할된 옷장을 누구나 신속 용이하게 조립 제작할 수 있도록 제작된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필요에 따라 일측면 또는 양측면 상,하방향에 걸쳐 등간격을 취하는 연결대를 체결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어 때에 따라서는 중간에 위치할 수 있는 판넬로도 이용할 수 있되, 전방을 마감하는 마감부재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상,하방향에 걸쳐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넬과; 상기, 수직판넬의 연결대에 연결 고정되어 일정 크기의 함실을 형성하는 선반과; 상기, 수직판넬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는 상부판넬과; 상기, 수직판넬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수개의 개폐도어와; 상기, 수직판넬과 상부판넬에 연결을 취해 후방을 마감하는 후방판넬과; 상기, 수직판넬의 관통공에 횡방향으로 삽입 연결되어 조립시 선반에 의해 일정이격을 형성하게 되는 다수의 수직판넬 상호간을 너트를 통해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횡봉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Fabricable locker}
본 고안은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한 갯수만큼의 함실로 나뉘어진 옷장을 신속 용이하게 조립 제작할 수 있도록 제작된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대중 목욕탕 또는 스포츠 센터 등에는 탈의실이 마련되어 있고, 이 탈의실 내에는 이용자가 벗은 옷가지를 수납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함실로 나뉘어진 옷장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옷장은 크게 기성 제품을 주문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목공 인부를 통해 실내공간 맞게 제작 설치하였다.
여기서, 먼저 기성 제품은 설치 기간이 짧게 소요되고 구매 단가가 저렴한 반면, 제작 공장에서 완전한 물품으로 조립된 상태로 시중에 유통시키게 되므로 운반시 수납장의 부피가 너무 큰 관계로 운송 물류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구입 후 현장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비전문가일 경우에는 사실상 설치가 불가한 관계로 숙달된 작업자의 투입이 필요함에 따라 제품원가에 인건비를 포함시키는 관계로 구매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는 물론이고, 생산자는 이러한 인력을 유지 관리하여야 함에 따른 불편 및 경제적 부담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목공 인부를 통해 주문 제작할 경우에는 실내 공간의 동선을 적절히 고려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 등이 있는 반면, 설치 기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와,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 그리고, 설치기간 내 설치 현장을 들러 작업 현황을 살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그러므로 요즘에는 운송 물류비가 많이 소요되고 설치상의 불편을 감수하면서도 기성 제품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참고로 본출원인이 출원한 선출원 기술(출원번호20-1990-0001819) 역시 상술한 기성 제품 중 하나로서 본 고안을 고안하는데 있어 참고가 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성 제품은 상술한 문제 이외에도 실사용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의 추가적인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이 운반상의 문제를 고려하여 소규모 형태로 제작되어 있으므로 설치시 여러 개를 연결 설치하여야만 사용가능하므로 이에 따른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설치공간의 바닥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옷장 상호간의 간격이 벌어져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현상을 제공함과 더불어 이를 바로 잡기 위한 추가 노력이 필요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일정 규격의 기성 제품으로 생산되어 있는 관계로 설치공간이 제품과 정확이 맞아 떨어지지 않을 경우 자투리 공간을 불가피하게 형성시킬 수 밖에는 없어 실내미를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을 제공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한 갯수만큼의 함실로 나뉘어진 옷장을 신속 용이하게 조립 제작할 수 있도록 제작된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필요에 따라 일측면 또는 양측면 상,하방향에 걸쳐 등간격을 취하는 연결대를 체결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어 때에 따라서는 중간에 위치할 수 있는 판넬로도 이용할 수 있되, 전방을 마감하는 마감부재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상,하방향에 걸쳐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넬과;
상기, 수직판넬의 연결대에 연결 고정되어 일정 크기의 함실을 형성하는 선반과;
상기, 수직판넬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는 상부판넬과;
상기, 수직판넬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수개의 개폐도어와;
상기, 수직판넬과 상부판넬에 연결을 취해 후방을 마감하는 후방판넬과;
상기, 수직판넬의 관통공에 횡방향으로 삽입 연결되어 조립시 선반에 의해 일정이격을 형성하게 되는 다수의 수직판넬 상호간을 너트를 통해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횡봉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의 전체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의 구성상태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의 실사용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직판넬 12 : 연결대
14 : 마감부재 16 : 관통공
20 : 선반 22 : 함실
30 : 상부판넬 40 : 개폐도어
50 : 후방판넬 60 : 연결횡봉
62 : 너트 64 : 나사면
66 : 마감캡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의 전체 구성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의 구성상태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일측면 또는 양측면 상,하방향에 걸쳐 등간격을 취하는 연결대(12)를 체결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어 때에 따라서는 중간에 위치할 수 있는 판넬로도 이용할 수 있되, 전방을 마감하는 마감부재(14)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관통공(16)이 상,하방향에 걸쳐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넬(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판넬(10)의 사이에는 이 수직판넬(10)에 연결 설치된 연결대(12)에 연결 고정되는 선반(20)이 다단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고,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 수직판넬(10)의 상부에는 상부판넬(30)이 체결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 수직판넬(10)의 전방에는 수개의 개폐도어(40)가 힌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설치된 수직판넬(10)과 상부판넬(30)의 후방에는 후방을 마감하는 후방판넬(50)이 연결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직판넬(10)의 마감부재(14)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6)에는 횡방향으로 삽입 연결되어 조립시 선반(20)에 의해 일정 간격을 형성하게 되는 다수의 수직판넬(10) 상호간을 너트(62)를 통해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나사면(64)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횡봉(60)이 연결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의 실사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인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일측 수직판넬(10)의 내측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대(12)에 선반(20)의 일측을 연결 설치한 후 내측면에 연결대(12)를 구비하고 있는 또다른 수직판넬(10)을 동일한 방식으로 타측에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일측 수직판넬(10)의 전방을 마감하는 마감부재(14)에 좌,우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관통공(16)에 각각 연결횡봉(60)을 삽입하여 타측에 위치한 수직판넬(10)의 전방을 마감하는 마감부재(14)에 대향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관통공(16)까지 일측단이 위치되도록 한 후 양측에 각각 너트(62)를 조여 수직판넬(10)의 연결 상태를 견고하게 한후 외측에 위치한 관통공(16)에 마감캡(66)을 끼워 마감하면 된다.
또한, 이러한 연결 조립 과정이 완료되면 상부와 후방에 상부판넬(30)과 후방판넬(50)을 마감 설치하면 조립식 옷장의 제작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누구나 손쉽게 연결 조립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 수 있어 제품원가에 포함되어 있는 설치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관계로 제품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생산자와 구매자 모두의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좌,우에 함실(22)을 필요한 만큼 추가적으로 견고히 형성할 수 있다.
즉, 필요한 크기에 맞게 다수의 함실(22)을 구비한 조립식 옷장을 제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양측에 위치하는 수직판넬(10)의 내측면에만 연결대(12)를 연결 설치하고, 이것 외에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수직판넬(10)에는 연결대(12)를 양측면에 연결 설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 조립을 이루기만 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정 규격의 기성 제품이기는 하나 설치공간에 맞는 적절한 크기 의 조립식 옷장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자투리 공간을 남기는 문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중간에 위치하는수직판넬(10)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어 일체형으로 제작을 취할 수 있어 설치 바닥면에 영향을 입어 이격이 발생됨이 없이 견고한 설치 상태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갯수만큼의 함실로 분할된 옷장을 누구나 신속 용이하게 조립 제작할 수 있어 제품원가에 포함되어 있는 설치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는 관계로 제품원가를 절감할 수 있어 생산자와 구매자 모두에게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좌,우에 함실을 필요한 만큼 추가적으로 구비한 일체형 조립식 옷장으로의 제작이 가능하여 설치공간에 상관없이 적절한 크기로의 제작 설치가 가능하여 자투리 공간을 남기는 문제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연결 조립하는데 있어 중간에 위치하게 되는 수직판넬을 하나로 이룸에 따라 일체형으로 제작을 취할 수 있으므로 설치 바닥면에 영향을 입어 이격이 발생됨이 없이 견고한 설치 상태를 취할 수 있어 기성 제품의 한계를 뛰어 넘어 맞춤가구 이상의 실적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의 함실로 구성된 통상의 탈의실용 옷장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일측면 또는 양측면 상,하방향에 걸쳐 등간격을 취하는 연결대(12)를 체결 고정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어 때에 따라서는 중간에 위치할 수 있는 판넬로도 이용할 수 있되, 전방을 마감하는 마감부재(14)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관통공(16)이 상,하방향에 걸쳐 등간격으로 수개 형성되어 있는 수직판넬(10)과;
    상기, 수직판넬(10)의 연결대(12)에 연결 고정되어 일정 크기의 함실(22)을 형성하는 선반(20)과;
    상기, 수직판넬(10)의 상부에 체결 고정되는 상부판넬(30)과;
    상기, 수직판넬(10)의 전방에 힌지 연결되는 수개의 개폐도어(40)와;
    상기, 수직판넬(10)과 상부판넬(30)에 연결을 취해 후방을 마감하는 후방판넬(50)과;
    상기, 수직판넬(10)의 관통공(16)에 횡방향으로 삽입 연결되어 조립시 선반(20)에 의해 일정이격을 형성하게 되는 다수의 수직판넬(10) 상호간을 너트(62)를 통해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나사면(64)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횡봉(60)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
KR20-2003-0001889U 2003-01-21 2003-01-21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 KR200311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889U KR200311569Y1 (ko) 2003-01-21 2003-01-21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1889U KR200311569Y1 (ko) 2003-01-21 2003-01-21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569Y1 true KR200311569Y1 (ko) 2003-05-09

Family

ID=4940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1889U KR200311569Y1 (ko) 2003-01-21 2003-01-21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5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1595A (zh) * 2022-07-19 2022-11-01 曾飘 一种模块化衣柜及其组装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1595A (zh) * 2022-07-19 2022-11-01 曾飘 一种模块化衣柜及其组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2610A (en) Free standing adjustable storage system
US3784273A (en) Cabinet construction
CA2387411A1 (en) Modular storage cabinet
US2722468A (en) Cabinet construction
KR100890344B1 (ko) 조립식 사물함
KR200311569Y1 (ko) 탈의실용 조립식 옷장
US2466869A (en) Cabinet construction
US3104140A (en) Kit assembled kitchen furniture
KR20210154783A (ko) 시스템 선반
US8997425B2 (en) Wall panel system and method
KR102416382B1 (ko) 서랍장
KR20110045116A (ko) 도어 결합부의 안전성과 보안성이 보강된 체결부 은폐형 목재 사물함
JPH026831Y2 (ko)
KR100241720B1 (ko) 시스템퍼니쳐
JPS5937088B2 (ja) 下駄箱
KR200157517Y1 (ko) 조립식 붙박이장
KR200218173Y1 (ko) 신발 정리대
KR20210137661A (ko) 개인별 스터디 시설 시공 방법
JP3170609B2 (ja) 棚装置
KR200319069Y1 (ko) 붙박이장용 문짝
JP6498155B2 (ja) 収納家具
GB2572854A (en) Locker frame structure
JP6868373B2 (ja) 仏壇
JPH07204039A (ja) システムキッチン用組立式フロアーキャビネット
TR2021014672A2 (tr) Dolaplarda kullanilan montaj düzeneğ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