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1107Y1 - 도로 경계석 - Google Patents

도로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1107Y1
KR200311107Y1 KR20-2002-0038733U KR20020038733U KR200311107Y1 KR 200311107 Y1 KR200311107 Y1 KR 200311107Y1 KR 20020038733 U KR20020038733 U KR 20020038733U KR 200311107 Y1 KR200311107 Y1 KR 200311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road boundary
road
recess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룡
Original Assignee
이지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룡 filed Critical 이지룡
Priority to KR20-2002-0038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11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1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11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서,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설치되는 경계석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단품으로 구성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간편한 조립시공에 따른 공기단축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무늬 및 칼라를 입혀 미관을 수려하게 함은 물론 배수처리기능도 갖는 도로 경계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도로 경계석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도로상에 설치하는 도로 경계석에 있어서, 그 측면형상이 L자형으로 이루어져서 하면부(24)와 측면부(22)로 이루어지되, 그 양측단에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역시 L자형상으로 각각 대향되게 제 1요부(26) 및 제 2요부(28)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24)의 전면측에는 양측으로 각각 결합공(32)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22) 배면측에도 양측으로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요부(26) 및 제 2요부(28)에는 그 측면 및 하면에 걸쳐 일정너비의 요홈(3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의 도로 경계석들이 서로 대향되는 요부(26,28)들의 맞대어짐에 의해 조립,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경계석{Boundary stone of a road}
본 고안은 도로 경계석(L형 측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설치되는 경계석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단품으로 구성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간편한 조립시공에 따른 공기단축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무늬 및 칼라를 입혀 미관을 수려하게 함은 물론 배수처리기능도 갖는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석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도로 경계석은 횡단보도에 인접한 지역 또는 건물 진,출입로에 설치되는 일정높이의 보차도 경계석과, 사람 또는 차량의 진,출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보차도 경계석 보다 그 높이가 낮은 횡단보도용 경계석과, 상기 보차도 경계석과 횡단보도용 경계석 사이에 조립되어 구비되는 사면 경계석의 세 종류로 이루어지며, L형 측구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도에는 콘크리트 제품으로 제작된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인도에는 그 중간부에 차도상에서 고인 우수를 집수하는 우수 맨홀이 설치되는 반면, 차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한 L형 측구의 상부면에 상기한 보차도 경계석, 사면 경계석, 횡단보도용 경계석이 안착되어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L형 측구에는 그 측면에 연접하여 아스팔트를 포장하여 차도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도로 경계석은, 각각의 보차도 경계석과, 사면 경계석 및 횡단보도용 경계석을 밀착시키는 경우 이음 몰탈을 충진하는 방법으로 시공하였는 바, 시공단계에서 외압이 발생되면 이 외압에 의해 일선방향으로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여 미관이 불량하게 됨과 아울러, 또한 콘크리트는 단순히 회색계통의 색상만을 가짐으로써 외관이 좋지 않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다.
또, 바닥면을 다지고 몰탈을 깐 다음, L형 측구를 설치한 후에 다시 그 상부면에 각각의 경계석들을 안착하여 설치하는 등, 현장타설시공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공기가 길어 시공비가 많이 들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설치되는 경계석을 조립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단품으로 구성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간편한 조립시공에 따른 공기단축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무늬 및 칼라를 입혀 미관을 수려하게 함은 물론 배수처리기능도 갖는 도로 경계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 경계석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로 경계석 20 : 보차도 경계석
20-1 : 사면 경계석 20-2 : 횡단보도용 경계석
22 : 측면부 24 : 하면부
26 : 제 1요부 28 : 제 2요부
30 : 요홈 32 : 결합공
34 : 통공 36 : 연결고리
38 : 배수공 40 : 그릴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도로 경계석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도로상에 설치하는 도로 경계석에 있어서, 그 측면형상이 L자형으로 이루어져서 하면부와 측면부로 이루어지되, 그 양측단에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역시 L자형상으로 각각 대향되게 제 1요부 및 제 2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의 전면측에는 양측으로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 배면측에도 양측으로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요부 및 제 2요부에는 그 측면 및 하면에 걸쳐 일정너비의 요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석은 제 1요부와, 다른 객체의 도로 경계석의 제 2요부와 맞대어져서 조립,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도로 경계석의 제 1요부에 형성된 요홈과, 다른 객체의 도로 경계석의 제 2요부에 형성된 요홈에 접착제가 실링되고, 상기 결합공들에 연결고리가 삽설되어서 각각 다른 객체의 도로 경계석들이 조립,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상기 도로 경계석에서 측면부의 전면에는 선택에 따라 다양한 무늬 및 칼라를 갖는 석판 및 수기판이 탈부착 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로 조립, 연결된 복수의 도로 경계석 중 일부의 도로 경계석의 하면부에는 일정크기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이 배수공을 덮기 위한 그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로 경계석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 경계석(10)은 그 측면형상이 L자형으로 이루어져서 하면부(24)와 측면부(22)로 이루어지되, 그 양측단이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역시 L자형상으로 각각 대향되게 제 1요부(26) 및 제 2요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석(10)의 하면부(24) 전면측에는 양측으로 각각 결합공(32)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부(22) 배면측에도 양측으로 각각 결합공(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요부(26) 및 제 2요부(28)에는 그 측면 및 하면에 걸쳐 일정너비의 요홈(3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로 경계석(10)에서 측면부(22)의 전면에는 선택에 따라 각종 무늬 또는 칼라를 갖는 석판 및 수기판(미도시됨)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석(10)의 설치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석(10)을 조립, 연결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을 다지고, 이 바닥면에 대략 50mm의 두께로 몰탈을 깐 후, 상기한 도로 경계석(10)을 순차적으로 조립하면 된다.
도로 경계석(10)의 조립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도로 경계석(10)의 제 1요부(26) 및 제 2요부(28)를 맞대어서 연속적으로 조립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즉, 객체로 된 도로 경계석(10)의 제 1요부(26)와, 객체로 된 다른 도로 경계석(10)의 제 2요부(28)를 포개어 맞대면, 서로 맞대어진 각각의 도로 경계석(10)들의 하면부(24)와 측면부(22)가 동일면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도로 경계석(10)들이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각각의요부(26,28)들에 형성된 요홈(39)에는 접착제로 실링처리하고, 또한 하면부(24)의 정면에 형성된 서로 근접하는 결합공(32)들과, 측면부(22)의 배면에 형성된 서로 근접하는 결합공(미도시됨)들을 'ㄷ'형상의 연결고리(36)로서 고정함으로써, 상호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조립되는 다수의 도로 경계석(10)들 중 소정개수의 도로 경계석의 하면부(24)에는 일정크기의 배수공(38)이 패여진 것을 제공하고, 그 상부에 그릴(40)을 덮음으로써, 도로상에 고인 우수 등을 집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석(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차도 경계석(20)과, 사면 경계석(20-1) 및 횡단보도용 경계석(20-2) 모두 그 측면부의 높이 또는 경사만 달리할 뿐 그 구조는 동일하게 하여 연속적으로 조립이 가능하되, 측면부의 높이가 낮은 횡단보도용 경계석에는 별도의 석판과 수기판을 탈부착 하기 위한 통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적용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되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도로 경계석(10)의 하면부(24)는 그 저면이 몰탈의 굳기에 의해 고정되고, 각각의 도로 경계석(10)들은 접착제의 실링 및 연결고리(36)에 의해 일직선상으로 연결,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로 경계석에 의하면, 각각 객체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석이 L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양측단이 서로 다른 도로 경계석과 맞대어져 접착제의 실링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연결고리로서 밀착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현장에서 타설하지 않고도 각각 객체의 도로 경계석을 공장 등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품질향상이 가능함과 아울러 현장에서는 단순히 조립만 하면 됨으로써, 공기단축에 따른 시공비의 절감은 물론 유지보수가 간편해지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되는 각각의 도로 경계석 중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배수공을 갖는 도로 경계석이 위치됨으로써, 도로면의 우수 등을 집수하여 배수처리가 가능하며, 그 측면부의 정면에 다양한 무늬 및 칼라를 갖는 석판 및 수기판을 탈부착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미관이 수려해지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 각각의 도로 경계석은 그 양측단의 요부에 형성된 요홈에 의해 접착제로서 실링됨과 아울러 연결고리로서 밀착연결됨으로써, 그 조립이 간편하고, 연결고정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L형 측구, 옹벽, 축대 등의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갖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도로상에 설치하는 도로 경계석에 있어서,
    그 측면형상이 L자형으로 이루어져서 하면부(24)와 측면부(22)로 이루어지되, 그 양측단에는 평면상에서 바라볼 때 역시 L자형상으로 각각 대향되게 제 1요부(26) 및 제 2요부(28)가 형성되고;
    상기 하면부(24)의 전면측에는 양측으로 각각 결합공(32)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22) 배면측에도 양측으로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요부(26) 및 제 2요부(28)에는 그 측면 및 하면에 걸쳐 일정너비의 요홈(30)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석(10)은 제 1요부(26)와, 다른 객체의 도로 경계석(10)의 제 2요부(28)와 맞대어져서 조립,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석(10)의 제 1요부(26)에 형성된 요홈(30)과, 다른 객체의 도로 경계석(10)의 제 2요부(28)에 형성된 요홈(30)에 접착제가 실링되고, 상기 결합공(32)들에 연결고리(36)가 삽설되어서 각각 다른 객체의 도로 경계석(10)들이 조립,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경계석(10)에서 측면부(22)의 전면에는 선택에 따라 다양한 무늬 및 칼라를 갖는 석판 및 수기판이 탈부착 되기 위한 복수개의 통공(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서로 조립, 연결된 복수의 도로 경계석(10) 중 일부의 도로 경계석의 하면부에는 일정크기의 배수공(38)이 형성되고, 이 배수공(38)을 덮기 위한 그릴(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KR20-2002-0038733U 2002-12-27 2002-12-27 도로 경계석 KR200311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733U KR200311107Y1 (ko) 2002-12-27 2002-12-27 도로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733U KR200311107Y1 (ko) 2002-12-27 2002-12-27 도로 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1107Y1 true KR200311107Y1 (ko) 2003-04-23

Family

ID=4940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733U KR200311107Y1 (ko) 2002-12-27 2002-12-27 도로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11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136B1 (ko) * 2010-04-15 2013-01-21 정상윤 철도궤도의 자갈도상용 pc침목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136B1 (ko) * 2010-04-15 2013-01-21 정상윤 철도궤도의 자갈도상용 pc침목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6011A (en) Frames for installing wooden bricks
US9408772B2 (en) Tactile plate assembly
CA1288270C (en) Frames for installing wooden bricks
KR200311107Y1 (ko) 도로 경계석
KR102140338B1 (ko) 합성투수블럭
KR100862323B1 (ko) 사이버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430058B1 (ko) 복층구조형 투수블럭
CN210858228U (zh) 一种装配式仿石隔音围墙
KR100503375B1 (ko) 조립식 보차도 경계블럭
JP2000178914A (ja) はめ込み式歩車道境界ブロック
KR200274494Y1 (ko) 도로의 경계석 구조
KR200255675Y1 (ko) 맨홀용 덮개
KR200233185Y1 (ko) 교접식 보도블록
KR200167358Y1 (ko) 보도블록
CN211472026U (zh) 一种装配式人行道
KR200224517Y1 (ko) 가변측구
KR200164540Y1 (ko) 다용도조립형블록
JP2004019274A (ja) 舗装ユニット及び舗装構造
KR200167359Y1 (ko) 보도블록
KR200212558Y1 (ko)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JP2001317115A (ja) 自由勾配型函渠側溝
KR20000010602U (ko) 조립형 보도블럭
KR200172434Y1 (ko) 조립식 보도블럭
KR200313936Y1 (ko) 보도블록
JP3048624U (ja) 装飾道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