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464Y1 -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 Google Patents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464Y1
KR200309464Y1 KR20-2003-0000615U KR20030000615U KR200309464Y1 KR 200309464 Y1 KR200309464 Y1 KR 200309464Y1 KR 20030000615 U KR20030000615 U KR 20030000615U KR 200309464 Y1 KR200309464 Y1 KR 200309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water
union
measuring instrumen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용
Original Assignee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한일네트워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3-0000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4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량기를 수용가측 급수관에 연결하는 유니언에 별도의 분기관을 구비하고 이에 수압 또는 수질 계측기를 장착하여 수압 및 수질 상태를 측정을 할 수 있도록한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계량기가 설치되는 위치의 유니언에 설치된 계측기를 통해 각 수용가의 수압을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 그에 따라 전체적 수압분포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돗물의 공급 장애요인이나 문제점들을 정확히 간파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절한 대응을 할 수가 있으므로 항상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Water meter connection union that have branched pipe for measuring instrument installation}
본 고안은 급수관에 설치되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에 별도의 분기관을 설치하여 이에 수압 또는 수질 계측기를 장착함으로써 수압 및 수질을 검측 할 수 있도록한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유니언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은 강이나 지하수 등에서 취수된 물을 정수장에서 정수시켜 공급한다. 수돗물의 공급시 정수 및 공급과정에서 많은 비용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용양에 따라 수도요금을 부담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최종 수용가로 공급되는 급수관에 계량기 즉 수도미터기가 장착된다.
수돗물을 각 수용가까지 원활한 급수 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수량, 적정한 수압 및 양질의 수질의 3요소를 충족시켜야 하는데, 양질의 수질은 생산과정에서의 시스템관리를 통해 이룰 수 있으나 공급과정에서 수질오염이 예상되며, 수량과 수압 유지는 시설물 급수사용 시간별이나, 지형 및 표고차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에 수용가에 안정적으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각 수계를 세분화하여 급수상태 즉 수압 및 수질(이하 수압 등 이라함)을 시간별로 계측하여 그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에는 배수시설이나 급수시설에서 수압 등을 조사할 마땅한 곳이 별로 없으므로 24시간 수압패턴을 정확히 조사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배수관을 노출시키거나 비교적 규모가 큰 제수변실내에서 수압 등의 조사공(孔)을 제작하여 검측하고 있다.
특히 검측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수도를 사용하는 상수도 시설의 최종말단인 급수 수용가의 수압 등의 실태를 파악해야한다. 이때의 검측은 수용가에 인입급수 시설내에서 조사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지만 지금까지는 수압 등을 조사할 만한 전용 시설이 없었다. 이때문에 각 수용가의 수압 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수도꼭지에 휴대용 검측기를 대고 직접 수압 등을 측정하는 원시적인 방법을 쓰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각 수용가에서의 24시간 상시 수압 등의 측정이 어려운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용가의 인입급수시설내에 검측이 용이한 위치 즉, 별도의 시공없이 간단히 계측기를 장착할 수 있고 또 상시 측정이 가능한 위치를 찾아 이에 수압 계측기 또는 수질을 측정하는 계측기를 설치하여 원하는 때의 수압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계내의 전체적 수압 등의 분포를 신속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 연결용 유니언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 연결용 유니언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호통 20a,20b - 급수관
30 - 앵글밸브 40 - 계량기
50 - 유니언 51 - 몸체
52 - 단턱 53 - 너트
54 - 나사부 55 - 분기관
56 - 나사부 60- 계측기
61 - 볼밸브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용가의 인입급수시설내에 검측이 용이한 위치를 찾아본 결과 수도 계량기가 설치되는 곳이 가장 적당하며, 특히 계량기를 연결하는 유니언이 적소임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수용가측 수도관에 계량기를 연결하는 유니언 몸체 일측에 분기관을 설치하고 이 분기관에 수압을 측정하는 계측기 또는 수질을 측정하는 계측기를 장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 연결용 유니언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량기 연결용 유니언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용가에는 사용량을 알 수 있도록 계량기(40)가 설치된다. 이 계량기(40)는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계량기 보호통(10)에 설치되는데, 계량기(40)를 기준으로 공급측 급수관(20a)에는 수용가측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차단할 수 있는 앵글밸브(30)가 설치되고 계량기(40)를 지난 내측부에는 수용가측 급수관(20b)과의 연결을 위한 유니언(50)이 결합된다.
이 유니언(50)은 몸체(51) 일측단 외주에 단턱(52)이 있고 그 둘레에 계량기(4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너트(53)가 결합되며, 타측단에는 수용자측 급수관(20b)과 연결되는 나사부(54)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너트(53)의 내경에는 몸체(51)의 단턱(52)에 대응걸림되는 내향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유니언(50)의 몸체(51)에 'T'자형으로 분기관(55)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 분기관(55)에 수압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60)가 결합되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나사부(56)가 형성된다. 분기관(55)에 결합되는 계측기(60)는 하부에 출수를 단속하는 볼밸브(61)가 장착된다.
분기관(55)에 형성된 나사부(56)는 계측기(60)의 연결부 구조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계측기(60)의 연결부가 암나사 구조일 경우에는 수나사형태의 나사부를 적용하고, 수나사 구조일 경우에는 암나사의 나사부를 갖는다. 물론 대부분의 계측기(60)는 수나사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암나사 구조를 갖는 것이 좋으며, 필요에 따라 수나사 어댑터를 구비하여 계측기(60)의 연결부 형태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할 수도 있다.
또 분기관(55)의 나사부(56)가 암나사 형태일 경우에는 그 둘레를 다각형 구조로 형성하여 계측기(60)의 탈부착 조임시 공구를 사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유니언(50)은 몸체(51)의 나사부(54)를 수용가측 급수관(20b)에 분기관(55)이 상부를 향하도록 나사결합하고 그 타측단은 앵글밸브(30)와 연결된 계량기(40)의 나사부와 일치시킨 후 연결너트(53)를 밀착시켜 회전시킨다. 연결너트(53)는 나사결합에 의해 계량기(40)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결국 연결너트(53)의 내측단은 유니언(50)의 걸림턱에 밀착되어 수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설치된 본 고안의 유니언(50)의 분기관(55)에 계측기(60)를 나사결합하면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계량기(40)를 연결하는 유니언(50)에 계측기(60)가 장착됨에 따라 각 수용가에서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수압 및 수질 상태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 수압 등의 분포현황을 즉시 조사할 수 있고, 또 정확한 계측이 가능하므로 각종 수돗물 공급 장애에 원인을 파악하기가 용이해지고 그에 따라 적절한 대응을 할 수가 있으므로 항상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계측기(60)가 설치되는 곳이 계량기 보호통(10)의 내부이므로 계측기(60)의 정보를 읽기가 용이한 위치에 있어 언제라도 용이하게 계측할 수 있다.
또 계량기(40)를 지나 수용가측에 계측기(60)가 위치하게 됨에 따라 도수나 유량계측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계량기가 설치되는 위치의 유니언에 계측기를 설치하여 수압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각 수용가의 수압계측을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고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에 따라 전체적 수압분포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수돗물의 공급 장애요인이나 문제점들을 정확히 간파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절한 대응을 할 수가 있으므로 항상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수돗물을 공급받는 수용가측 급수관에 계량기를 연결하는 유니언 몸체 일측에 계측기가 장착되는 분기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의 단부에는 계측기가 나사결합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암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의 둘레가 다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수압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는 수질을 측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KR20-2003-0000615U 2003-01-09 2003-01-09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KR200309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615U KR200309464Y1 (ko) 2003-01-09 2003-01-09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615U KR200309464Y1 (ko) 2003-01-09 2003-01-09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464Y1 true KR200309464Y1 (ko) 2003-03-31

Family

ID=49404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615U KR200309464Y1 (ko) 2003-01-09 2003-01-09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46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24B1 (ko) 2006-08-05 2008-10-15 방병민 수도미터기 내부의 에어 배출 장치
KR200453850Y1 (ko) * 2008-04-23 2011-05-30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수질 관리 센서 내장형 수도미터기
KR101873877B1 (ko) * 2018-02-19 2018-07-03 (주)태승정보통신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
KR102259929B1 (ko) * 2020-11-26 2021-06-02 예영동 하이브리드 전자식 수도 미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24B1 (ko) 2006-08-05 2008-10-15 방병민 수도미터기 내부의 에어 배출 장치
KR200453850Y1 (ko) * 2008-04-23 2011-05-30 주식회사 에이티티알앤디 수질 관리 센서 내장형 수도미터기
KR101873877B1 (ko) * 2018-02-19 2018-07-03 (주)태승정보통신 수도계량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만드는 방법
KR102259929B1 (ko) * 2020-11-26 2021-06-02 예영동 하이브리드 전자식 수도 미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44724A (en) Probe apparatus for changing gas meters
RU2168754C2 (ru) Арматура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тока
CN102735291B (zh) 气体流量计及其计量方法
KR100975566B1 (ko) 유량계 부착형 수질계측장치
CN203551213U (zh) 一种光缆渗水试验装置
KR200309464Y1 (ko) 계측기 장착용 분기관을 갖는 계량기 연결 유니언
US4435980A (en) Pipe-mounted valve-type flow meter
US20030204338A1 (en) Method and measurement probe for the performance of measurements in water supply systems
AU768095B2 (en) Method and measuring head for carrying out measurements in water supply systems
US5557041A (en) Modified water meter arrangements
KR101393038B1 (ko) 상수도관 누수 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수 탐지방법
CN208736530U (zh) 一种水表检定系统
CN208505383U (zh) 一种在线安装靶式流量计
US11698319B2 (en) Sampling meter resetter and pressure transmitter combination
NO153750B (no) Fremgangsmaate for bestemmelse av utettheter i nedgravde vannledninger.
CN216621279U (zh) 一种便于安装的水流压差式流量计
CN205348282U (zh) 一种“互联网+”安全二次供水系统水质检测装置
CN202748066U (zh) 气体流量计
CN104897428A (zh) 一种液体流量测量系统及液体流量测量方法
JP3304916B2 (ja) 浮子式流量計
US5517859A (en) End user water distribution system condition testing apparatus
CN217923767U (zh) 一种高便利性坝基扬压力数字测量装置
JP2002090255A (ja) 新設水道配管の水漏れ検査装置
CN216050451U (zh) 一种油田压力表在线检测连接装置
JP3425309B2 (ja) 路上局用圧力・温度監視測定装置及び袋ナット締め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