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253Y1 - 부상을 입히는 교통사고에 대비한 제어 구출 모듈 - Google Patents

부상을 입히는 교통사고에 대비한 제어 구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253Y1
KR200308253Y1 KR20-2002-0037537U KR20020037537U KR200308253Y1 KR 200308253 Y1 KR200308253 Y1 KR 200308253Y1 KR 20020037537 U KR20020037537 U KR 20020037537U KR 200308253 Y1 KR200308253 Y1 KR 200308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eat
region
plaque
uni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셀로 페르난도 래몬
어구스틴 라스카노 가르존
에르네스토 알리아가 파츠
Original Assignee
에르네스토 알리아가 파츠
어구스틴 라스카노 가르존
마르셀로 페르난도 래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네스토 알리아가 파츠, 어구스틴 라스카노 가르존, 마르셀로 페르난도 래몬 filed Critical 에르네스토 알리아가 파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2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6Supports for stretchers, e.g. to be placed in or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처리, 조작 및 운반 수단들이 공급되는 부상자를 고정시키는 몇몇 수단들을 갖는 몸체로 구성된 부상자를 위한 제어고정 모듈; 이 모듈은 환자의 경부에 부합하는 중간 영역을 갖는 후방부를 제공하며, 하부 영역은 천미골 영역에 부합하고 상부 영역은 경부와 두부에 부합하는데; 이 상부 영역은 두개저에 부합하는 둥근 에지와 좌석의 상부 단부에 부착될 수 있는 경계를 가진다. 이 상부 영역은 단부들에 의해 그것들 사이의 부착을 위한 스트랩에 연결된 중앙 원조구와 반경질 핀을 제한하는 경추 보호대 스트랩을 두기 위한 두 개의 공동들을 가진다. 중간 영역의 양 측면들은 상부와 하부 돌출부를 갖고, 그것들 사이에는 측면 경계를 공급하는 중간의 공간이 있다. 이 경계는 상부와 하부 스트랩으로 만들어진 하니스가 있는 양 측면에서 차량의 좌석의 측면 에지에 위치하며, 플라크 하부 영역은 두 개의 벨트와 다수의 손잡이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유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부상을 입히는 교통사고에 대비한 제어 구출 모듈{CONTROLLED EXTRICATION MODULE FOR MOTOR VEHICLE CRASH INJURES PEOPLE}
본 고안은 부상을 입히는 교통사고에 대비한 제어구출 모듈로 이루어진다.
쉽게 실행될 수 있도록 본 고안을 이해하기 위해, 권장된 구현과 도면의 상세 설명이 다음 단락에 주어질 것이다. 이 설명의 목적은 단순히 설명적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지 않으며 구성요소들은 이 문서에서 주장된 본 고안의 본질을 간과하지 않고 몇몇 상당어구들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교통사고에 있어서 주된 문제점들 중 하나는 자동차 내부에 부상으로 갇힌 자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응급처치를 받지 못한 자를 도우려고 할 때 악화된다.
사실, 교통사고시 부상자를 원조하는 자는 부상을 줄이게 하기보다 종종 더욱 심한 부상을 초래한다.
오늘날 자동차의 가속 및 정지시 줄어든 반응 시간은 운전시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성능을 제공하지만 자동차 사고는 매번 더욱 심해진다.
비록 대부분의 자동차들이 안전케이지 변형, 안전벨트, 그중에서도 특히 에어백과 같은, 충돌로 발생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들을 가지고 있지만, 이러한 안전장치들은 발생하는 사고의 본질 때문에 외상이 없다고 보장할 수 없다.
그러한 사고시 척주 부상은 대부분의 경우 교통사고 자체의 결과인 압박, 측부 이동 등뿐만 아니라, 추골(vertebrae)을 약화시키는 근 긴장(muscle tension) 결과로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차량 구조의 중대한 붕괴와 높은 속도는 골절, 열구(fissures), 탈구, 심지어는 추골의 파열을 일으킨다. 이러한 부상은 연수 관과 밀접하기 때문에 부상자를 영구히 움직이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한 많은 부상들이 - 이미 서술된 바와 같이 - 부상자의 두부(head), 경부(neck) 또는 척주를 이동시키는 동안 영향을 받은 추골 연수 관의 전치로 인한 교통사고로 일어난다는 것을 고려하여, 상이한 장치들이 부상을 줄이기 위해 설계된다.
사실상 충분히 공지된 경추 보호대(cervical collar) 또는 필라델피아 칼라(Philadelphia collar)는 척주에 대해 두부와 경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도록 설계되었다.
부상을 줄이기 위한 다른 장치는 구조자가 보다 용이하게 환자를 옮길 수 있게 하는 측면 핸들뿐만 아니라 몸체 및 두부 스트랩이 공급된 경질 백보드(backboard)이다.
구조작업을 수행하고 환자를 옮기는 작업을 하는 동안 환자를 움직이지 않게 하는데 사용된 고정 동의(extrication vest) 또한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동의의 이중 설계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흉곽, 두부 및 경부를 고정시킨다.
표준 고정 동의에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수송을 안전하게 할뿐만 아니라 응용되는 손잡이를 제공되며 고정 동의를 제거하지 않은 채 X-레이를 찍고 응급처치를 받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쉽게 응용하기 위한 색상코드 스트랩(colored-coded straps)이 제공된다.
그러한 고정 동의는 어린이와 임산부에게 적합하며 고관절 부목으로 사용될수 있다. 이것은 또한 접고 다루기 용이하다.
그러나 기술된 몇몇 절차들에 요구된 바와 같이 이동시킬 필요가 있고, 몇몇 경우 고정 동의를 사용하거나 적용시키기 위해 부상자를 옮길 필요가 있다.
본 고안을 개발하기 위해, 고안자는 전문 의료인이 수행할 때에 조차 심각한 결과의 위험이 있는 그러한 움직임들을 고려하였다.
또한, 고안자는 때때로 환자를 이동시키지 않은 채 상기 언급된 몇몇 장치들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고려하였다.
고안자는 또한 흉복부(thoracic-abdominal) 부상이 지난 다년간 인구와 차량의 수에 관해 기하학적으로 증가해온 것을 고려하였다.
고안자는 경기용으로 마련된 것과 같은, 몇몇 차량에서 경주용 자동차가 용접 도어, 사이드 바(side bar), 운전자 및 어떤 경우에는 승객을 위한 안전케이지를 갖고 있기 때문에 구조조치가 어려운 사실을 고려하였다.
그러한 성분들에 추가된, 오일 팬, 예비 장치, 공구, 및 전자 장비는 구조 조치를 위해 이용 가능한 공간을 감소시키지만, 구조자에 대한 대부분의 어려움들은 경주용 좌석에 의해 주로 나타난다.
본 고안자는 선험적으로, 묘사된 모듈을 사용하기에 불편하지 않은 상태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한다.
본 고안자는 어떤 부상자에게 발견될 가능성이 있는 혈흉(hemothorax) 또는 기흉(pneumothorax)이 고정 동의를 사용하는데 금기시 되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자는 그러한 금기가 상대적이며 기본적으로 얼마나 빠르고 쉽게 동의를 이용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주장된 본 고안의 특색을 고려할 때 본 고안자는 주어진 기술 및 요구된 지식으로 환자가 제 3 유형의 호흡곤란을 겪고 있을 때조차 이 모듈의 사용이 선호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기술된 고안을 적용시키는 것은 환자의 흉곽을 압박할 것이지만, 모듈에 의해 발생된 손상은 환자의 척주를 안전하게 유지해야 하는 중요성에 비교해 사소할 것이기 때문에, 모듈을 최소한도로 사용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본 고안자는 외상이 흉곽 부상을 일으킬 만큼 심각하다면 환자가 척주 부상도 입을 확률이 매우 크며, 그러므로 일단 환자가 차량으로부터 이동되면 스트랩을 느슨하게 하고 필요하다면 모듈을 떼어낼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상자의 병리 상, 환자의 척주가 고정될 것이기 때문에 흉곽 부상은 다른 척주 부상의 위험 없이 치료될 수 있다.
본 고안을 이용한 결과로서 스트랩 압박에 인한 호흡곤란이 증가되고 저산소증이 악화된다면, 그러한 위험성은 잇따른 연수 부상에 비교해 볼 때 경미한 것이다.
앞서 기술된 사실에 기인해, 교통사고는 척주 부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돌이킬 수 없는 연쇄효과를 피하기 위해 즉시 척주를 고정시키는 것이 선호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부상자를 위한 제어 고정 모듈로 구성된 본 고안의 목적은부상자의 흉복부 영역(thoracicoabdominal zone)을 누르도록 적응된 경질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 및 운송 작업을 수행할 때, 부상을 더욱 악화시키는 위험을 줄이는 고정 모듈에 의해 환자를 고정 및 운송하는 동안 환자의 척주를 안전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모듈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신체를 고정시키는 수단을 제공하는, 상기 언급된 모듈을 단단히 적용시키는 것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팀에게 환자를 손쉽게 이동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의 운전석 또는 승객석에 고정 모듈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도 1은 구출 모듈을 구성하는 반경질 플라크가 적용된 좌석의 사시도.
도 2는 좌석으로부터 분리된 전체 구출모듈을 상이한 척도로 도시한 사시도.
*부호설명*
1 : 중간영역 2 : 하부영역
3 : 상부영역 4 : 둥근 에지
5 : 좌석 6 : 공동
7 : 중앙 원조구 8 : 측면 원조구
9 : 상부 돌출부 10 : 하부 돌출부
11 : 측면 경계 12 : 측면 에지
13 : 하니스 14 : 벨트
15 : 핀(fin) 16 : 스트랩
17 : 핸들 a : 플라크
기본적으로, 본 고안은 흉복부 영역에 인체공학적으로 적응되고, 부상자의 다리, 대동맥, 경부 및 두부를 위한 고정 장치뿐만 아니라 손잡이가 공급되는 경질 플라크를 제공한다.
그러한 경질 플라크는 차량 좌석에 포함되는 것이 선호된다.
본 고안의 상이한 구성요소들을 확증하기 위해, 결과뿐 아니라 기능적이고 효과적인 본 고안에 대한 구성요소들이 묘사된다.
부상자를 위한 제어 고정 모듈을 얻기 위해 인체의 흉복부에 놓도록 적당한 설계를 제공하는 경질 플라크(a)가 요구된다.
이 플라크는 환자의 등에 부합하는 중간영역(1), 천미골(sacrococcygeal)을 덮는 하부영역(2) 및 경부와 두부에 부합하는 상부영역(3)이 있는 배면부를 갖는다.
상부영역은 두개저(cranial base)와 부합하는 둥근 에지(4)를 가지며, 좌석(5)의 상부 에지에 부착을 확고히 하는 경계를 가지는데 이는 두 개의 장치들의 연결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이다.
상부영역(3)은 경추보호대가 압축력을 가하는 수단들뿐만 아니라 경부 지지를 제공하는 중앙 원조구(7)의 양 측면들에 위치한 경추 보호대 스트립을 배치하기 위한 두 개의 공동(6)을 갖고 있다.
경추 보호대 스트립의 전면 에지는 환자의 경부를 조정하고 고정하는 동안 튼튼한 결합을 제공한다. 중간영역(1)에서 측면 스트랩(8)들은 어깨 높이에 상부 경계(9)와 복부 높이에 하부 경계(10)를 두는 흉곽을 둘러싸며, 팔이 움직일 수 있는 중간 공간을 남겨둔다.
상부(9)와 하부(10) 돌출부들 사이에 플라크(a)에 좌석을 단단히 연결시키기 위해 좌석(5)의 측면 에지(12)에 위치한 측면 경계(11)가 있다.
양 플라크 측면들(8)에 상부 및 하부 스트랩으로 만들어진 하니스(13)가 있는데 일단 이 장치가 합쳐지면 부상자의 흉복부 영역을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플라크 하부영역(a)은 서혜부(groin area)를 고정시키기 위한 두 개의 벨트(14)를 제공한다.
이것으로 부상자는 네 개의 포인트들에 의해 플라크(a)에 단단히 부착된다.
두부는 전두두정엽(frontopariental zone)에 위치하고 단부들이 이마를 고정시키기 위한 적당한 수단으로 연결되는 스트랩(16)으로 결합되는 두 개의 반경질 핀(fin)(15)들로 고정된다.
경부는 중앙 원조구(7)에 부착된 경추 보호대로 고정된다.
흉복부는 하니스(13)로 고정되고 대퇴부는 벨트(14)로 고정된다.
환자의 고정과 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플라크(a)는 안전벨트에 사용된 재료와 같은 유형의 내식재료로 만들어진 여러 개의 손잡이(17)를 가지고 있다.
플라크(a)로 만들어진, 기술된 모듈과 고정 장치들은 어떤 차량이 좌석(5)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플라크의 크기와 형태는 좌석의 크기와 형태에 맞춰질 수 있다.
이런 이유로, 그러한 좌석(5)과 동일한 제품은 상이한 방식으로 위치시킬 수 있는 고정 모듈의 제조에 일조할 것이다.
그러나 제조업자는 차량 좌석(5)의 후면에 대해 플라크(a)를 누르고, 그 후 내부를 채우며 본래의 좌석 디자인을 유지하기 위해 장식하기를 원한다.
좌석(5)의 특정 위치에서, 하니스 단부(13), 벨트(14), 핀(15), 경추 보호대와 손잡이들(17)은 환자에게 맞추고 고정시키는 스트랩을 당겨서 조정함으로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조 작업을 하기 위한 위치에 놓일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자동차를 위해 본 고안의 모듈 물체의 이용을 효율화 하는 방법은 좌석 디자인에 적당한 디자인의 적절한 물질로 플라크(a)를 구성하는 것이다.
플라크(a)의 상부영역은 경추 보호대가 꼭 맞는 좌석의 머리받침대(headrest)에 연접되고 이어진다.
두 개의 반경질 핀(15)들은 경추 보호대 아래에 위치하고, 필요하다면 환자의 전두두정엽에서 회전되거나 놓일 수 있으며 양 단부들은 환자의 이마에서 이어지고 단단히 맞춰진다.
흉복부 영역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하니스(13)는 구조팀이 쉽게 접근 가능한 위치이며 또한 차량 좌석(5)의 본래 디자인을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신장영역에서, 양 측면에 좌석 태피스트리(tapestry) 하부로 맞춰진다.
좌석(5)의 하부에는 플라크(a)에 연결된 단부와 같은 좌석 전면에 위치한 다른 단부가 있는 서혜부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벨트(14)가 있다.
네 개, 선호적으로 여섯 개의 손잡이들(17)이 구조작업동안 환자에 대해 조정된 모듈을 고정하기 위해 꼭 이용되어야 한다.
손잡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좌석의 머리 받침대에 놓이고, 적어도 둘은 양 측면의 도솔룸바(dorsolumbar) 영역에, 좌석의 전면에 놓일 긴 손잡이는 좌석을 교차하여 볼기부분(coxal zone)에 위치해야 한다.
반면 사고에 보다 많이 노출되는 경주용 차와 같은 몇몇 차량에서는 (도시되지 않은)급속해제 버클에 의해 좌석에 부착된 플라크(a)와 직접 접촉하는 것이 선호된다.
경주용 자동차에서는 주로 모듈이 환자의 심장 상태를 지속적이며 신속하게 검사하기 위해 하니스(13)에 이용될 수 있는 맥박 측정기와 같은 상이한 유형의 제어의료기기에 갖춰질 수 있다.
좌석(5) 밑에 호흡곤란 증상에 대비한 산소마스크와 산소 파이프를 갖추는 것 또한 편리하다.
차량 충돌의 경우 이러한 모듈을 이용하기 위한 절차는 매우 단순하며, 충돌한 차량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단계들을 따를 수 있다.
실제로 충돌 차량에 네 개의 바퀴가 남아있다면 먼저 안전벨트를 풀고, 그 다음 경추 보호대가 조정되어야 한다. 환자가 헬멧을 쓰고 있다면, 보호대가 헬멧을 쓴 상태에서도 조정 가능하므로 헬멧을 벗길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하니스(13)는 우선 흉곽을 가로지르는 상부 스트랩에 의해, 그 다음으로 복부를 가로지르는 하부 스트랩에 의해, 그리고 마지막으로 서혜부를 조이는 벨트(14)로 조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플라크(a)가 부상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버클을 해제함으로서 좌석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충돌 차량이 한쪽 측면으로 놓여있거나 전복되었을 때, 상기 진술된 절차들을 따를 수 있지만, 좌석에서 떨어져 환자가 입을 수 있는 부상을 악화시키는 위험을 피하기 위해 제 2 단계부터 시작하고, 그 후 마지막 단계로 안전벨트를 풀어야 한다.
차량 좌석에 고정 모듈을 합체시킴으로서 부상자가 보다 신속하게 빠져나올 수 있고, 따라서 물리적 심리적으로 보다 나은 상태의 의료편의를 도모하고 회복 가능성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단 환자가 모듈에 고정되면, 환자는 모듈을 천천히 회전시키면서 구출되어야 한다. 다리가 먼저 빠져나오고, 그 후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손잡이를 잡고 환자가 구출되고 백보드에 놓여야 한다.
플라크(a)를 만드는 선호된 방법과 같이, 이것은 섬유 및 케블러 물질(Kevlar)의 박판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선호된 제조방법과 같이 모듈은 플라크(a)와 직접 접촉해 피부가 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시각적으로 완성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직물로 덮인다.
이런 식으로 본 발명의 목적과 기능 방식을 나타내며 결론을 내린다. 본 문서는 다음에 더해진 청구항들에 언급된 본 발명의 종합된 내용을 첨부한다.
실행될 수 있는 범위와 방식과 본 발명의 특성을 기술하고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은 다음의 독점 재산권을 갖는 것을 밝힌다.

Claims (9)

  1. 처리, 조작 및 운반 수단들이 공급되는 부상자를 고정시키는 몇몇 수단들을 갖는 몸체로 구성된 부상자를 위한 제어고정 모듈에 있어서, 이 모듈이 환자의 경부에 부합하는 중간 영역을 갖는 후방부를 제공하며, 하부 영역은 천미골 영역에 부합하고 상부 영역은 경부와 두부에 부합하는데; 이 상부 영역은 두개저에 부합하는 둥근 에지와 좌석의 상부 단부에 부착될 수 있는 경계를 가지며, 이 상부 영역은 단부들에 의해 그것들 사이의 부착을 위한 스트랩에 연결된 중앙 원조구와 반경질 핀을 제한하는 경추 보호대 스트랩을 두기 위한 두 개의 공동들을 가지고, 중간 영역의 양 측면들은 상부와 하부 돌출부를 갖고, 그것들 사이에 측면 경계를 공급하는 중간의 공간이 있으며, 이 경계는 상부와 하부 스트랩으로 만들어진 하니스가 있는 양 측면에서 차량의 좌석의 측면 에지에 위치하며, 플라크 하부 영역은 두 개의 벨트와 다수의 손잡이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고정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경질 플라크의 상부가 좌석의 머리 받침대에 균일하게 연접되고 결합되기 때문에 특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경추 보호대가 좌석의 머리 받침대에 꼭 맞기 때문에 특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두 개의 반경질 핀이 경추 보호대 아래에 놓이며 환자의 전두두정엽에 놓이도록 하기 위해 회전되기 때문에 특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부 경계가 어깨높이에 놓이며; 하부 경계는 복부 높이에 놓이고, 중간의 간격이 팔의 움직임을 허용하기 때문에 특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플라크 하부 영역이 서혜부의 고정을 위한 양쪽 안전벨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플라크가 안전벨트에 사용된 재료와 같은 내식재료로 만들어진 여러 개의 손잡이들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특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스트랩, 경추 보호대 스트랩, 하니스 및 벨트 단부들이 그것들 사이에 부착 수단, 즉 루프-록(loop-lock) 단부들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특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플라크가 섬유 박판과 케블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특이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KR20-2002-0037537U 2001-12-17 2002-12-17 부상을 입히는 교통사고에 대비한 제어 구출 모듈 KR20030825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RM010105849 2001-12-17
ARM010105849 2001-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253Y1 true KR200308253Y1 (ko) 2003-03-26

Family

ID=346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537U KR200308253Y1 (ko) 2001-12-17 2002-12-17 부상을 입히는 교통사고에 대비한 제어 구출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87125B2 (ko)
EP (1) EP1319378A1 (ko)
KR (1) KR200308253Y1 (ko)
CN (1) CN2594087Y (ko)
BR (1) BR8203282U (ko)
MX (1) MXPA020125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30834B2 (en) * 2006-06-16 2013-08-07 Innovation & Safety, S.L. Dismantleable vehicle seat
US20140259390A1 (en) 2013-03-15 2014-09-18 Denver Couch Patient lifting and transport device
WO2017165776A1 (en) * 2016-03-25 2017-09-28 Survivability Solutions Llc Immobilization system for a vehicle seat
ITUA20163387A1 (it) * 2016-05-12 2017-11-12 Bresin Brunella Sedile ergonomico rinforzato per autoveicoli da competizione, in particolare per kar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7734A (en) * 1971-03-17 1973-01-02 M Matthews Universal spine and splinting board
US3889668A (en) * 1974-07-01 1975-06-17 David J Ochs Emergency medical harness
US4211218A (en) * 1978-08-14 1980-07-08 Kendrick Richard L Spinal restraint device
US4594999A (en) * 1984-09-13 1986-06-17 Nesbitt Enterprises Disposable cervical immobilization means
US4665908A (en) * 1985-06-11 1987-05-19 Calkin Carston R Extrication and spinal restraint device
US5027833A (en) * 1990-03-06 1991-07-02 Calkin Carston R Extrication and spinal restraint device
SE500247C2 (sv) * 1993-02-22 1994-05-24 Pehr Ove Nystroem Bräda eller platta för uttagande av personer ur havererade fordon, raserade byggnader etc.
US5724992A (en) * 1996-01-05 1998-03-10 Ip; Kai Intra-operative body immobilizer
ES2181285T3 (es) * 1997-09-28 2003-02-16 Wolfgang Stelzenmuller Apoyo de emergencia para estabilizar partes individuales del cuerpo.
US6223749B1 (en) * 1998-12-15 2001-05-01 W Roger Beaty Cervical board and method of use
US6318372B1 (en) * 1999-09-02 2001-11-20 Eugene Lloyd Hiebert Vacuum-activated veterinary surgical positioning system
US6467486B1 (en) * 2000-09-08 2002-10-22 Michael Kleinschmidt Extricating device for persons with spinal injuries
AU2002348511A1 (en) * 2001-10-06 2003-04-22 Handle With Car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nd securing a restrained pers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40927A1 (en) 2003-07-31
CN2594087Y (zh) 2003-12-24
BR8203282U (pt) 2004-07-20
US7387125B2 (en) 2008-06-17
MXPA02012515A (es) 2005-11-04
EP1319378A1 (en)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2144A (en) Multi-section emergency transport neck immobilizer
US5027833A (en) Extrication and spinal restraint device
US4979520A (en) Pediatric device for immobilizing injured infant utilizing a standard size backboard
US4665908A (en) Extrication and spinal restraint device
US4211218A (en) Spinal restraint device
US5014374A (en) Restraint stretcher
US5352024A (en) Vehicle safety restraint
US7360543B1 (en) Patient assist lift
US4143654A (en) Universal short spine board system
US6896291B1 (en) Personal restraint system
US7708019B2 (en) Spinal restraint device
EP0040637A1 (en) Cervical immobilizer
US3724453A (en) Splints
JP2001508693A (ja) 個々の肢或いは身体各部分を固定するための救急用支持器具
US3663972A (en) Lightweight stretcher
US4794917A (en) Cervical support
US6435188B2 (en) Patient immobilization system
JP2006506133A (ja) 骨盤部補強装具
KR200308253Y1 (ko) 부상을 입히는 교통사고에 대비한 제어 구출 모듈
RO131609A2 (ro) Escaun
US6250713B1 (en) Extractable seat
EP2459414B1 (de) Fahrzeugsitzvorrichtung mit fixierenden beinteilen
JP3094723U (ja) 負傷者の制御式救出モジュール
US5724992A (en) Intra-operative body immobilizer
US9237963B2 (en) Rapid extr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