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087Y1 -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087Y1
KR200307087Y1 KR20-2002-0031513U KR20020031513U KR200307087Y1 KR 200307087 Y1 KR200307087 Y1 KR 200307087Y1 KR 20020031513 U KR20020031513 U KR 20020031513U KR 200307087 Y1 KR200307087 Y1 KR 2003070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vical spine
height
cushion member
support
pi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5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덕
Original Assignee
이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덕 filed Critical 이종덕
Priority to KR20-2002-00315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0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0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0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개의 높이를 사용자가 자신의 기호조건이나 또는 수면 자세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경추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경추 접촉부위에 대한 온찜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베개 몸체를 이루며, 그 상면이 머리 접촉부분과 경추 접촉부분의 높이가 다른 물결모양의 다수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만곡면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자에 따라 각각 다른 높이에서 경추를 지지할 수 있는 경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추 지지부의 하부에 예열을 위한 발열수단을 구비한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에 대응하여 그 상면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수단의 전원선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전원 인출구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쿠션부재를 커버링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지퍼를 구비한 커버로 구성한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height adjustable pillow}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기호 또는 사용자의 수면자세에 따라 베개의 높이를 자신의 수면 조건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베개는 인체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모양으로 외피와 내피를 만들고, 그 내피에 단순히 조, 메밀, 솜 등의 쿠션재를 넣어서 사용하였기 때문에 특히 구조적으로 베개의 높이를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베개의 부적절한 높이로 인하여 목이 앞으로 젖혀지게 되어 후두부를 압박하므로 호흡이 자연스럽지 못하게 되어 코고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특히 장시간 수면을 취할 경우는 목이 뻣뻣해지게 되어 경부 통증의 원인이 됨은 물론 수면을 제대로 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베개의 높이를 사용자의 기호조건이나 또는 수면 자세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경추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잠자리를 유지하면서 건강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수면시 별도의 원적외선 방출수단을 이용하여 경추 접촉부위를 예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면과 동시에 경추부위에 대한 원적외선 복사열에 의한 찜질을 가능하게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쿠션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b은 도 2a의 측면도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배면도
도 2d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2e는 도 2a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쿠션부재 10a-10c : 만곡면
11a,11b : 경추 지지부 12a, 12b : 보조경추 지지부
13a, 13b : 만곡홈 14 : 발열수단
14a : 전원선 20 : 커버
21 : 전원 인출구 22 : 지퍼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개 몸체를 이루며, 그 상면이 머리 접촉부분과 경추 접촉부분의 높이가 다른 물결모양의 다수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만곡면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자에 따라 각각 다른 높이에서 경추를 지지할 수 있는 경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추 지지부의 내부에 예열을 위한 발열수단을 구비한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에 대응하여 그 상면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수단의 전원선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전원 인출구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쿠션부재를 커버링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지퍼를 구비한 커버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기호조건에 따라 인체의 경추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경추 지지부의 중앙부에 소정 깊이와 폭의 만곡 홈을 형성하여 반듯하게 누운 자세 또는 옆으로 돌아누운 자세에 따라 인체의 경추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각각 지지할 수 있는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를 제공한다.
특히,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경추 지지부와는 다른 물결모양의 만곡면을 상기 경추 지지부의 측면 에지부분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여, 누운 자세의 경추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것으로 인체의 경추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보조경추 지지부를 선택적으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체공학적으로 물결 모양을 갖는 파형의 곡면으로 베개 몸체를 이루는 쿠션부재(10)와, 베개 외피인 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20)는 전원선(14a)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전원 인출구(21)를 형성하며, 상기 쿠션부재를 커버링할 수 있도록 상기 쿠션부재의 형상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름질 및 재봉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일 측면 또는 하부에는 상기 쿠션부재를 손쉽게 덮어 씌우거나 빼낼 수 있는 길이의 창구멍을 마련하고 그 창구멍에 지퍼(22)를 달아 그 지퍼를 열어 상기 쿠션부재를 손쉽게 짚어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의 쿠션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들로서, 하나 이상의 만곡면(10a, 10c)으로 이루어진 물결모양의 경추 지지부(11a, 11b)와 보조경추 지지부(12a, 12b)와 만곡홈(13a, 13b) 및 발열수단(14)을 갖는 쿠션부재(10)를 사시도와 측면도와 배면도와 단면도와 정면도를 이용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a의 쿠션부재 사시도 및 도 2b의 쿠션부재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부재(10)는 사용자의 신체적인 특성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기호조건에 따라 각각 다른 높이에서 인체의 경추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하나 이상의 경추 지지부(11a, 11b)를 그 상면에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경추 지지부(11a, 11b)의 측면 하부에는 상기 경추 지지부와는 다른 크기의 물결모양을 갖는 보조경추 지지부(12a, 12b)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경추 지지부의 에지부분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여, 누운 자세의 경추와 바닥면 사이의 미세한 공간을 메울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경추 지지부(11a, 11b)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접촉부분(10b)과 경추 접촉부분(10a 10c)의 높이가 서로 다른 물결모양의 다수 만곡면(10a, 10b, 10c)에 의해 형성된다. 도 2c 및 도 2d에는 하나의 쿠션부재 전 후단에 상기 경추 지지부(11a, 11b)가 110mm, 80mm의 높이로 각각 형성된 경우가 단지 하나의 실시예로서 예시되어 있으며, 110mm의 경우 어른이, 80mm의 경우 어린이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경추 지지부(11a, 11b)는 사용자의 특성상 머리와 경추구조가 각각 다른 사용자에 따라, 또는 해당 사용자의 기호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각각 그 높이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10)는, 도 2a의 사시도와 도 2c의 배면도 및 도 2d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추 지지부(11a, 11b)의 중앙부에 소정 깊이와 폭의 만곡 홈(13a, 13b)을 각각 형성하여, 반듯하게 누운 자세 또는 옆으로 돌아누운 자세 등의 수면시 취하는 자세에 따라 상기 만곡 홈(13a, 13b)에 의해 인체의 경추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베개 전면의 경추 지지부(11a)에 형성된 만곡 홈(13a)의 경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0mm의 폭과 40mm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개 후면의 경추 지지부(11b)에 형성된 만곡 홈(13b)의 경우는 상기 전면에 형성된 만곡홈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와 도 2d에는 예를 들어 가로와 세로의 폭이 각각 500mm, 370mm이고 높은 쪽과 낮은 쪽의 높이가 각각 110mm, 80mm인 베개의 경우 상기 경추 지지부(11a, 11b)에 약 30-40mm 깊이, 160mm 폭으로 만곡 홈(13a, 13b)이 형성된 경우가 단지 일 실시예로서 예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10)는 도 2e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추 지지부(11a, 11b)의 하부에 원적외선 복사열을 방출하는 발열수단(14)을 구비하여, 상기 발열수단을 이용하여 경추 접촉부위를 예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한 수면과 동시에 경추부위에 대한 온찜질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열수단(14)은 원적외선 복사열을 방출하는 면상 발열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 두 개소 모두에 또는 한 개소의 경추 지지부에만 구비할 수도 있으며, 물론 외부의 직류 전원(상용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작동되어 미열에서부터 온 찜질을 위한 소정 온도까지 원적외선 복사열의 출력조절이 가능한 예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 사용 가능한 상기 쿠션부재(10)는 사용자에게 안락하고 편안한 쿠션감을 부여하는 재질로서 스폰지나 그 외의 부드러운 재질로 구성 가능하며, 상기 쿠션부재에 내장되는 발열수단(14)은 수면을 취할 때 인체의 경추에 적당한 온도를 가하는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참고도로서, 상기 경추 지지부의 에지부분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된 보조경추 지지부(12a, 12b)가 누운 자세의 경추와 바닥면 사이의 미세한 공간을 메워주게 되어, 수면시 인체의 경추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예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는 몸체를 이루는 쿠션부재(10)의 상면에 형성된 경추 지지부(11a, 11b)가 물결모양의 다수 만곡면(10a-10c)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만곡면은 머리 접촉부분(10b)과 경추 접촉부분(10a, 10c)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누운 자세에 있는 인체의 머리와 경추를 각각 다른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추 접촉부분(10a, 10c)에 각각 형성된 두 경추 지지부(11a, 11b)는 그 각각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각각 다른 높이에서 인체의 경추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른이나 또는 어린이 등의 인체 구조가 다른 사용자에 따라 베개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10)의 경추 지지부(11a, 11b)의 중앙부에는 소정 깊이와 폭으로 만곡 홈(13a, 13b)을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듯하게 누었을때와 옆으로 돌아누었을때 인체의 경추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면시 수면자가 의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수면자세를 바꾸게 되었을때에도 인체의 경추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편안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건강한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경추 지지부(11a, 11b)와는 다른 물결모양의 만곡면을 상기 경추 지지부(11a, 11b)의 에지부분에 각각 일체형으로 연장하여 보조 경추 지지부(13a, 13b)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누운 자세에서 바닥면과 경추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공간이라도 메울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미세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인체의 경추가 받을 수 있는 작은 스트레스 조차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최적의 수면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추 지지부(11a)의 하부에 설치된 발열수단(14)을 이용하여 그 발열온도를 미열에서 온찜질이 가능한 온도까지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조건에 따라 수면시에는 인체의 경추에 적당한 온도로 예열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 따라 편안한 수면과 동시에 경추부위에 대한 온찜질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쿠션부재(10)를 커버링하고 있는 커버(20)는 우선 지퍼(22)를 열어 상기 발열수단(14)의 전원선(14a)을 전원 인출구(21)에서 빼내고, 상기 쿠션부재(10)로부터 커버(20)를 분리하여 상기 커버(20)를 세탁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에 의하면, 베개의 높이를 사용자가 자신의 수면 조건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절 할 수 있게 되므로, 수면시 보다 효과적으로 편안한 잠자리를 유지하면서 건강한 숙면을 취할 수 있으며, 또한 발열수단 및 만곡요홈을 이용하여 경추 및 어깨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몸을 뒤척이더라도 그 뒤척인 상태에서 편안한 잠자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숙면을 취하는데 최적의 도움을 주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베개 몸체를 이루며, 그 상면이 머리 접촉부분과 경추 접촉부분의 높이가 다른 물결모양의 다수 만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만곡면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자에 따라 각각 다른 높이에서 경추를 지지할 수 있는 경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추 지지부의 하부에는 원적외선 복사열을 방출하는 발열수단을 구비한 쿠션부재와;
    상기 쿠션부재에 대응하여 그 상면이 형성되며, 상기 발열수단의 전원선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전원 인출구를 형성한 상태로 상기 쿠션부재를 커버링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지퍼를 구비한 외피로 구성하며;
    사용자에 따라 인체의 경추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경추 지지부의 중앙부에 소정 깊이의 만곡된 홈을 형성하여 누운 자세에 따라 인체의 경추를 서로 다른 높이에서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경추 지지부와는 다른 물결모양의 만곡면을 상기 경추 지지부의 에지부분에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하여, 누운 자세의 경추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것으로 인체의 경추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보조경추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
KR20-2002-0031513U 2002-10-22 2002-10-22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 KR2003070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513U KR200307087Y1 (ko) 2002-10-22 2002-10-22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513U KR200307087Y1 (ko) 2002-10-22 2002-10-22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087Y1 true KR200307087Y1 (ko) 2003-04-18

Family

ID=4940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513U KR200307087Y1 (ko) 2002-10-22 2002-10-22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0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984B1 (ko) * 2012-07-31 2014-03-12 김영식 후두부 모양 맞춤베개
KR102525623B1 (ko) * 2022-09-13 2023-04-26 김혜자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984B1 (ko) * 2012-07-31 2014-03-12 김영식 후두부 모양 맞춤베개
KR102525623B1 (ko) * 2022-09-13 2023-04-26 김혜자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5347A (en) Head and neck support cushions
KR101381423B1 (ko) 기능성 베개
KR101520574B1 (ko) 인체공학 베개
KR100675262B1 (ko) 기능성 베개
KR101716262B1 (ko) 다목적 기능성 베개
US20200375382A1 (en)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KR101585221B1 (ko) 지압대 겸용 지압 베개
KR101930643B1 (ko) 베개
US6826789B1 (en) Sofa equipped with radiant heating mattress for fomentation and massage
KR200307087Y1 (ko) 높이조절 가능한 베개
KR19990069290A (ko) 인체공학베개
KR100588490B1 (ko) 찜질 및 마사지를 위한 온돌판이 구비된 쇼파
JP3097991U (ja) 調整型枕の構造
JP2949470B2 (ja) 枕装置
KR200376084Y1 (ko) 골반교정및 항문질환 예방용 방석
CN209827983U (zh) 一种颈椎定型脉冲治疗枕
KR20040101584A (ko) 높이 조절용 다경도·다탄성체 재질의 건강베개
JPH10263031A (ja) ヒータ付マッサージ椅子
KR20200014394A (ko) 점진적 근육 이완법이 적용된 안마의자에서의 취침 모드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동작 가능한 안마의자
JP2005118397A (ja) 快適枕
JP2012071093A (ja) フットマッサージャー
KR100541019B1 (ko) 옥매트가 구비된 침대용 매트리스
KR101889221B1 (ko) 베개
KR200240438Y1 (ko) 체적 가변용 매트리스
KR200453477Y1 (ko) 목받침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