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701Y1 -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701Y1
KR200306701Y1 KR20-2002-0035294U KR20020035294U KR200306701Y1 KR 200306701 Y1 KR200306701 Y1 KR 200306701Y1 KR 20020035294 U KR20020035294 U KR 20020035294U KR 200306701 Y1 KR200306701 Y1 KR 200306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wedge
fastening bolt
frame
jaw cr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철
Original Assignee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35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7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02C1/10Shape or construction of ja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죠 크러셔의 파쇄실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플레이트의 결합구조를 개선시킨 것인 바, 그 구조는 프레임의 양측을 통해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고정플레이트의 상부면에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 안착홈의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안착홈과, 그 체결볼트의 단부에 결합되며 그 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플레이트를 하측으로 누르는 왯지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그 체결볼트와 왯지의 결합구조는 체결볼트가 프레임의 양측을 관통하여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왯지가 경사진 안착홈에 면 접촉되도록 체결되어 고정플레이트의 상부면을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조립작업시 넓은 장소에서 용이하게 작업이 이루어지고 조립공수가 단축되어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공급피더와는 무관한 공간에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예방등의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a mounting structure of fixing plate in jaw crusher}
본 고안은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쇄실의 일부를 구성하는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를 프레임에 결합할 때 재료 공급설비와의 간섭없이 용이하게 결합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쇄기는 광석이나 기타 고체 원료를 적당한 크기로 분쇄하는 기능을 갖는 기계요소로서, 그 파쇄기는 크게 죠 크러셔(jaw crusher)와 임팩트 크러셔등의 두 종류로 분류된다.
그중 임팩트 크러셔는 효율이 좋은 반면에 단가가 비쌀 뿐만 아니라, 소모품을 일정주기마다 정기적으로 교환하여야 하는 유지 보수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으며, 죠 크러셔는 임팩트 크러셔에 대해 상대적으로 단가가 쌀 뿐 만 아니라, 유지 보수에 거의 비용이나 시간이 소모되지 않는 경제성이 우수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죠 크러셔는, 널리 알려진 범용의 파쇄기로서,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고 마모부의 교환이 용이하며 분쇄비가 크다는 장점이 있는 것인 바,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에 고정플레이트(30)(흔히 수치판이라고도 함)가 고정 설치되고, 그 고정플레이트(30)와 마주보는 위치에 경사진 이동플레이트(40)(흔히 동치판이라고도 함)가 이동가능하게 회전되는 스윙 죠(20)에 고정 설치되며, 그 고정플레이트(30)와 이동플레이트(40)의 측면에 치크 플레이트(50)가 설치됨으로써, 고정플레이트(30)와 이동플레이트(40)의 사이에 투입구와 배출구를 갖는 파쇄실을 구성한 것이다.
이동플레이트(40)는 그 상부가 플라이 휘일(70)과 함께 회전하는 편심축(75)을 구비한 스윙 죠(20)에 이동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고, 플라이 휘일(70)과 편심축(75)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스윙 죠(20)에 의해 연동 회전되어 파쇄실에서 소재를 파쇄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스윙 죠(20)의 일측에는 스윙 죠(20)가 항상 일정한 범위내의 텐션력을 갖도록 이동가압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이동가압부는 간격조절로드(62)와 텐션스프링(64)등을 구비하여 스윙 죠(20)에 일방향 장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죠 크러셔는 파쇄실 내에서 이동플레이트와 고정플레이트의 두 부품들의 간격, 각도 및 길이에 따라 소재의 파쇄율이 조정된다.
종래 죠 크러셔는 공급피더를 통해 석재등의 소재가 이송되고 파쇄실 내로 유입될 경우, 모터(미도시됨)의 구동에 따라 고정플레이트(30)와 이동플레이트(40)간의 간극이 줄어들면서 소재의 외측으로 가압력이 전달되어 파쇄되는 과정을 갖는다.
고정플레이트의 결합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된 스톱퍼(12)에 고정플레이트(30)의 하부가 안착되고, 그 상부에는 고정플레이트(30)를 하측으로 눌러 스톱퍼(12)에 밀착시키는 왯지(84; wedge) 및 프레임(10)의 전방측에서 고정플레이트(30)를 관통하여 그 왯지(84)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볼트(82)로 구성된다.
그 결합구조는 체결볼트(82)를 조임에 따라 왯지(84)가 고정플레이트(30)의 상부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홈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스톱퍼(12)가 위치한 하측으로 고정플레이트(30)를 가압하게 되어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는 체결볼트가전방측에 4개소 관통되어 고정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안착된 왯지를 하측으로 누르는 구조로서, 그 체결볼트가 결합되는 부위가 공급피더의 구조물과 근접된 프레임의 전방측에 위치하므로, 공급피더의 구조물과 간격이 좁은 틈새에서 조립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어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좁은 장소에서 부적합한 자세로 장시간 작업시 작업자의 신체에 무리가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개의 체결볼트가 각각의 왯지에 결합되어야 되므로 조립공수가 많아지게 되어 작업의 능률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공급피더를 통해 운반 이송되는 소재 및 구조물에 부딪히는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프레임과 고정플레이트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조립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조립공수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죠 크러셔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30 : 고정플레이트
34 : 안착홈 82 : 체결볼트
84 : 왯지 86 : 스프링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의 양측으로 관통되어 각각 고정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볼트의 단부와 결합되며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왯지와, 상기 왯지가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상부면 일정 부위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착홈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앞서 설명한 종래 죠 크러셔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기재하며, 중복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는, 도 3 및 도 4를 참조, 그 구조는 프레임(10)의 양측으로 관통 결합되는 체결볼트(82)와, 그 체결볼트(82)의 단부에 결합되며 고정플레이트(30)의 상부면 일정 부위에 형성된 안착홈(34)에 안착되는 왯지(84)를 구비하여 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체결볼트(82)는 일단부가 프레임(10)의 상부 양측에 각각 하나씩 관통되어 고정플레이트(30)의 상부면과 근접된 높이에 결합된다.
그리고, 안착홈(34)은 고정플레이트(30)의 상부면에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왯지(84)는 그 안착홈(34)의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체결볼트(82)와 왯지(84)의 결합구조는 체결볼트(82)가 프레임(10)의 양측을 관통하여 고정플레이트(3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왯지(84)가 경사진 안착홈(34)에 면 접촉되도록 체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프레임(10)과 고정플레이트(30)의 양측에서 체결볼트(82)와 왯지(84)가 서로 체결되며, 그 왯지(84)의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고정플레이트(30)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고정플레이트(30)의 하부는 프레임(10)의 하부와 걸림구조로 지지되고, 왯지(84)가 고정플레이트(30)의 상부면을 가압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외에도, 체결볼트(82)의 타단부 외주면에는 스프링(86)이 개재 설치되어 왯지(84)와의 결합시 일방향으로 당기는 긴장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 고정플레이트(30)와 프레임(10)의 결합과정을 먼저 설명하면, 프레임(10)의 하부에 고정플레이트(30)의 하부가 걸리도록 지지한 후에, 스프링(86)이 끼워진 체결볼트(82)를 프레임(10)의 양측에서 관통시켜 일단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다음에, 그 돌출된 부위에 왯지(84)를 체결시키면 결합이 완료된다.
이때, 왯지(84)는 체결볼트(82)에 체결된 상태로 스프링(86)에 의해 외측으로 당겨져 긴장력을 갖도록 결합되므로, 왯지(84)의 경사면이 고정플레이트(30)의 안착홈(34)과 면접촉되면서 하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따라, 고정플레이트(30)는 하부가 프레임(10)의 하부에 걸린 상태에서 그 상부가 왯지(84)에 의해 가압 고정된다.
따라서, 프레임(10)의 양측에서 각각 하나의 체결볼트(82)와 왯지(84)에 의해 고정플레이트(30)가 고정되므로, 프레임(10)의 전방에 위치한 공급피더의 구조물(미도시됨)과 접촉되지 않는 공간에서 조립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용이하게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프레임의 양측에서 조립작업이 수행되어 안전하고 간편하게 조립작업이 이루지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고정플레이트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조립작업시 넓은 장소에서 용이하게 작업이 이루어지고 조립공수가 단축되어 작업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공급피더와는 무관한 공간에서 조립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 예방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프레임(10)의 양측으로 관통되어 각각 고정플레이트(30)의 상측에 결합되는 체결볼트(82)와,
    상기 고정플레이트(3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볼트(82)의 단부와 결합되며 외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왯지(84)와,
    상기 왯지(84)가 안착되도록 상기 고정플레이트(30)의 상부면 일정 부위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착홈(34)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82)의 타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왯지(84)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스프링(86)이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
KR20-2002-0035294U 2002-11-26 2002-11-26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 KR200306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294U KR200306701Y1 (ko) 2002-11-26 2002-11-26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294U KR200306701Y1 (ko) 2002-11-26 2002-11-26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701Y1 true KR200306701Y1 (ko) 2003-03-11

Family

ID=4933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294U KR200306701Y1 (ko) 2002-11-26 2002-11-26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7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48B1 (ko) 2005-08-29 2010-01-1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448B1 (ko) 2005-08-29 2010-01-1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조 크러셔 및 자주식 파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33956A1 (en) Method for securing a die plate of a jaw crusher, and a jaw crusher
US81047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removable anvil
US200902426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removable anvil
CN2933563Y (zh) 一种立式冲击破碎机及其中的圆叶轮
CN111389515A (zh) 一种带筛板的反击锤式破碎机
KR200306701Y1 (ko)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결합구조
US5110058A (en) Rock crusher
KR200306703Y1 (ko) 죠 크러셔의 이동플레이트 하부 결합구조
US9108202B2 (en) Hammer of a beater mill
KR200306702Y1 (ko)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하부 결합구조
KR200306704Y1 (ko)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CN209406397U (zh) 一种减振颚式矿石破碎机
KR200306705Y1 (ko) 죠 크러셔의 고정플레이트
US6148882A (en) Disk chipper and method for fastening a bedknife to a disk chipper
KR200355896Y1 (ko) 식품분쇄기의 케이스
JP4098605B2 (ja) ジョークラッシャ
US607575A (en) Crushing-machine
CN215197280U (zh) 一种pcm-80粉磨机鞍型锤头
CN104607278A (zh) 破碎机
KR200306706Y1 (ko) 죠 크러셔의 이동플레이트
CN209406396U (zh) 一种用于颚式矿石破碎机的减振器
CN112007711B (zh) 鄂式破碎机
CN218250642U (zh) 一种固化剂生产制备用原料粉碎装置
CN210303892U (zh) 立式减振粉碎机
CN209576877U (zh) 巨石破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