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636Y1 -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 Google Patents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636Y1
KR200306636Y1 KR20-2002-0030073U KR20020030073U KR200306636Y1 KR 200306636 Y1 KR200306636 Y1 KR 200306636Y1 KR 20020030073 U KR20020030073 U KR 20020030073U KR 200306636 Y1 KR200306636 Y1 KR 200306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pentagonal
steel grating
sewage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환
Original Assignee
박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환 filed Critical 박명환
Priority to KR20-2002-0030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6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6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Abstract

본 고안은 오각형 맨홀(40)에 관한 것으로서 오각형으로 맨홀형태를 이루되 오각형 맨홀(40)의 5개의 내부 꼭지점 각(31)중 2개가 90°가 되도록 하되 하수관(10)의 오각형 맨홀(40) 내부로 유입 또는 유출시 오각형 맨홀 외부벽(42)과 접하는 유출각(44) 또는 유입각(43)이 항상 90°가 되도록 하며 맨홀구조물 내부 상부 스라브(11)에 설치된 스틸 그레이팅(12)은 일방향 힌지(16)로 연결한 스틸 그레이팅(12)으로 설치하되 스틸 그레이팅의 일방향 힌지(16)가 설치된 격자틀(15)의 양측단에 구멍(17)이 형성되어 있고 스틸 그레이팅 격자부(14)를 형성하고 있는 가로 및 세로 간격재(19,18)는 일정한 경사부(22)를 갖고 각각 격자틀(15)내에 설치되어 있는 곡선 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Pentagonal manhole capable of easily installing drainpipe in curve area}
본 고안은 오각형으로 맨홀형태를 이루되 오각형 맨홀의 5개의 내부 꼭지점 각중 2개가 90°가 되도록 하되, 하수관의 오각형 맨홀 내부로 유입 또는 유출시 오각형 맨홀 외부벽과 접하는 유출각 또는 유입각이 항상 90°가 되도록 한다. 맨홀 구조물 내부 상부 스라브에 설치된 스틸 그레이팅은 일방향 힌지로 연결한 스틸 그레이팅으로 설치하되 스틸 그레이팅의 일방향 힌지가 설치된 격자틀의 양측단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스틸 그레이팅의 격자부를 형성하고 있는 가로 및 세로 간격재는 일정한 경사부를 갖고 각각 격자틀내에 설치되어 있는 곡선 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하수의 흐름방향이 사각형 맨홀에서 직선구간 또는 90°각도로 변화되는 곳 이외의 곡선 부분에서는 기존의 직사각형 맨홀에 하수관을 배치하면 맨홀내부에 관일부가 노출되어 이로 인하여 맨홀내부의 흐름의 유속이 저항을 받게 되어 오니와 토사의 퇴적물이 하수관 입구 또는 맨홀내부에 쌓이게 되어 하수관을 막거나 퇴적물에 의한 맨홀의 깊이가 얕아지게 되어 홍수와 같이 유입되는 우수가 많아지게되면 맨홀외부로 우수가 넘쳐서 침수의 원인이 되곤하였다. 이렇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맨홀내의 수질조사, 유량조사등을 위해 맨홀내로 진입시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위에서 들어 올리경우에만 접힐 수 있게 일방향 힌지를 설치한 스틸 그레이팅을 맨홀의 구조물 내부 상부 스라브에 설치하되 스틸 그레이팅을 이루는 세로 및 가로 간격재를 일정한 경사부를 이루게 하여 끝이 뾰족한 신발이 스틸 그레이팅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맨홀내부에 하수관으 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하여 맨홀내부에 오니 또는 토사의 퇴적을 방지하면서 맨홀내에 수질조사, 준설공사를 시행할 때 맨홀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스틸 그레이팅을 간단히 반으로 접을 수 있게 일방향 힌지를 설치하고 격자틀 주위에 구멍을 설치하여 인력 또는 중장비를 이용할때에도 손쉽게 운반과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스틸 그레이팅을 이루고 있는 가로 및 세로 간격재를 일정한 경사부를 이루게 설치하여 스틸그레이팅에 신발 뒷부분이 빠지지않게 하는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직사각형 맨홀의 하수관 직선배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1b는 종래의 직사각형 맨홀의 하수관 배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오각형 맨홀의 하수관 곡선배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스틸그레이팅에 일방향 힌지를 부착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스틸 그레이팅의 간격재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오각형 맨홀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수관
11...맨홀구조물 내부 상부 스라브
12...스틸그레이팅 13...직사각형 맨홀
14...스틸 그레이팅 격자부 15...격자틀
16...일방향 힌지 17...구멍
18...세로 간격재 19...가로 간격재
20...유입관 21...노출관
22...경사부 30...유출관
31...내부 꼭지점 각
40...오각형 맨홀 41...오각형 맨홀 내부벽
42...오각형 맨홀 외부벽 43...유입각
44...유출각
본 고안은 오각형으로 맨홀형태를 이루되 오각형 맨홀(40)의 5개의 내부 꼭지점 각(31)중 2개가 90°가 되도록 하되, 하수관(10)의 오각형 맨홀(40) 내부로 유입 또는 유출시 오각형 맨홀 외부벽(42)과 접하는 유출각(44) 또는 유입각(43)이 항상 90°가 되도록 한다. 맨홀 구조물 내부 상부 스라브(11)에 설치된 스틸 그레이팅(12)은 일방향 힌지(16)로 연결한 스틸 그레이팅(12)으로 설치하되 스틸 그레이팅의 일방향 힌지(16)가 설치된 격자틀(15)의 양측단에 구멍(17)이 형성되어 있고 스틸 그레이팅 격자부(14)를 형성하고 있는 가로 및 세로 간격재(19,18)는 일정한 경사부(22)로 각각 격자틀(15)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b는 종래의 직사각형 맨홀(13)에 하수관(10)의 배관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직사각형 맨홀(13)내에 하수관(10)을 직선으로 설치하는 경우와 직사각형 맨홀내에 하수관(10)을 직각으로 설치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직선으로 하수관을 설치할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직사각형 맨홀내에 하수관을 직각으로 배관할 경우에는 도 1b와 같이 직사각형 맨홀(13)내에 노출관(21)이 노출되어 직사각형 맨홀내로 유입된 하수 또는 우수의 유속이 노출관(21)에 의해 감속되어 직사각형 맨홀내에 토사나 오니등이 퇴적되어 직사각형 맨홀의 깊이가 앝아지면서 하수관(10)을 막아 하수 또는 우수가 원활히 배수되지 못하여 외부로 넘쳐 침수의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을 보여 주며 맨홀 구조물 내부 상부 스라브(11)에 설치된 스틸 그레이팅(12)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직사각형 맨홀내의 하수의 수질 검사, 유량조사, CCTV조사, 준설공사를 위하여는 스틸 그레이팅을 하나하나 들어서 운반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스틸 그레이팅을 구성하고 있는 가로 및 세로 간격재(19,18)를 수직으로 격자틀(15)내에 설치하여 맨홀위를 걸을 때 신발의 바닥 부분이 뾰족할 경우에는 스틸 그레이팅(12)의 가로 및 세로 간격재(19,18)사이에 끼이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의 오각형 맨홀(40)의 하수관(10) 배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과 도 4는 도 2의 스틸 그레이팅의 상세도로서, 오각형으로 맨홀형태를 이루되 오각형 맨홀(40)의 5개의 내부 꼭지점 각(31)중 2개가 90°가 되도록 하되, 하수관(10)의 오각형 맨홀(40) 내부로 하수관(10)의 유입관(20) 또는 유출관(30) 설치시 오각형 맨홀 외부벽(42)과 접하는 유출각(44) 또는 유입각(43)이 항상 90°가 되도록 하며 맨홀 구조물 내부 상부 스라브(11)에 설치된 스틸 그레이팅(12)은 일방향 힌지(16)로 연결한 스틸 그레이팅(12)으로 설치하되, 스틸 그레이팅(12)의 일방향 힌지(16)가 설치된 격자틀(15)의 양측단에 구멍(17)이 형성되어 있고 스틸 그레이팅 격자부(14)를 형성하고 있는 가로 및 세로 간격재(19,18)는 일정한 경사부(22)로 각각 격자틀(15)내에 격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내부 꼭지점 각(31)의 일정 개수가 직각을 이루도록 한 것과 유출각(44) 또는 유입각(43)이 항상 직각이되도록 한 것과 오각형 맨홀 내부로 설치되는 하수관이 곡선을 이루며 설치되되 오각형 맨홀 내부로 노출관이 노출되지 않게 하고 유연한 곡선을 이루며 오각형 맨홀내에서 설치되게 하기 위함이다.
스틸 그레이팅(12)을 일방향 힌지(16)로 연결한 스틸 그레이팅(12)을 맨홀 구조물 내부 상부 스라브에 설치하도록 한 것은 오각형 맨홀내에 수질검사, 유량조사, CCTV조사, 준설공사등을 위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오각형 맨홀에 진입하기 위하여 스틸 그레이팅을 이동할 때에 스틸 그레이팅을 한쪽으로만 접히게 한 일방향 힌지(16)를 설치하여 일방향 힌지(16)가 설치된 격자틀(15)에 형성된 구멍(17)에 걸개를 걸어서 들어 올리면 일방향 힌지(16)에 의해 스틸 그레이팅(12)이 접히게 되어 이동 및 설치시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운반시에도 일방향 힌지(16)의 접혀지는 것에 의해 스틸 그레이팅이 반으로 접혀져 적재를 용이하게 같은 면적에 많은 량을 적재할 할 수 가 있다. 또한, 스틸 그레이팅을 맨홀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위로만 힌지가 접히도록 하고 아래쪽으로는 접히지 않게 한 일방향 힌지를 설치하여 아래쪽으로 접히지 않게 한 것이다.
스틸 그레이팅(12)을 구성하고 있는 가로 및 세로 간격재(19,18)를 일정한 경사부(22)를 갖게 격자틀(15)내에 격자형으로 설치하여 스틸그레이팅위를 걸을 때 신발의 바닥 부분이 뾰족할 경우에는 스틸 그레이팅의 간격재사이에 끼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오각형 맨홀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지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맨홀내에 생활하수를 배출할 수 있는 오각형 맨홀내에 하수관을 설치하고 오각형 맨홀을 구성하고 있는 스라브의 입구에 스틸그레이팅을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곡선부에 설치되는 맨홀을 오각형으로 하여 맨홀내에 유입되는 하수 또는 우수에 의해 토사나 오니가 퇴적되지 않고 하수관을 통과하여 원활히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맨홀에 설치되는 스틸 그레이팅의 경우 일방향 힌지를 이용하여 유지 관리를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가로 및 세로 간격재에 경사를 갖도록 설치하여 스틸그레이팅 위를 보행할 때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Claims (4)

  1. 생활하수 또는 우수의 배수를 위하여 설치하는 맨홀에 있어서
    5개의 내부 꼭지점 각을 갖는 오각형의 맨홀과 하수관의 유출관과 유입관이 접하는 오각형 맨홀 내부벽의 양측 내부 꼭지점 각중에서 적어도 한 개는 90°가 되도록 하며, 하수관의 오각형 맨홀 내부로 유입 또는 유출시 오각형 맨홀 외부벽과 접하는 유출각 또는 유입각이 항상 90°가 되도록 하며 맨홀 구조물 내부 상부 스라브에 설치된 격자틀 내에 세로 및 가로 간격재가 설치된 스틸 그레이팅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각형의 맨홀에 5개의 내부 꼭지점 각중 2개가 90°가 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 그레이팅은 일방향 힌지로 연결하되 스틸 그레이팅의 일방향 힌지가 설치된 격자틀의 양측단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틸 그레이팅의 격자부를 형성하고 있는 가로 및 세로 간격재는 일정한 경사부로 각각 격자틀내에 격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KR20-2002-0030073U 2002-10-09 2002-10-09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KR200306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073U KR200306636Y1 (ko) 2002-10-09 2002-10-09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073U KR200306636Y1 (ko) 2002-10-09 2002-10-09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364A Division KR100485721B1 (ko) 2002-10-09 2002-10-09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636Y1 true KR200306636Y1 (ko) 2003-03-10

Family

ID=4933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073U KR200306636Y1 (ko) 2002-10-09 2002-10-09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6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21B1 (ko) * 2002-10-09 2005-04-28 박명환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21B1 (ko) * 2002-10-09 2005-04-28 박명환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420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973158B1 (ko)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KR101794162B1 (ko) 부유물 수집부가 구비된 부유물 거름 시설
JP3273035B2 (ja) 木造家屋の排水配管構造
KR100601227B1 (ko) 감소된 월류수 발생 개소를 갖는 지하수 배수 장치
KR100676369B1 (ko) 건축단지용 맨홀의 역류방지시설
KR200306636Y1 (ko)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KR100485721B1 (ko) 곡선구간에 하수관 설치가 용이한 오각형 맨홀
KR100654632B1 (ko) 맨홀 물막이로 발생된 수두차 및 가설수로를 이용한무동력 하수관거 물돌리기 공법 및 그 장치
JP3213600U (ja) 下水道取付け管の洗浄型ベントサイフォン構造
KR200411498Y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KR20210051327A (ko) 하수구의 악취 저감 장치
KR101359138B1 (ko) 하수관거용 해양 오염방지 장치
KR100971445B1 (ko) 슬러지 준설이 용이한 하수박스
KR100656410B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KR100834532B1 (ko) 합류식 하수구의 토사유입 방지구
KR200187320Y1 (ko) 개폐식 덮개를 가진 합류식 하수도의 우수토실
KR20200004661A (ko) 우수 역유입 방지 맨홀
KR100946171B1 (ko) 역류 현상 해결 비점오염원 관리와 악취 차단 및 해충유입 방지용 우수유입구
KR101032155B1 (ko) 하수용 맨홀
KR101741014B1 (ko) 배수로에서 배수 촉진장치
KR100647210B1 (ko) 경계석과 일체로 구성된 측구
KR200403933Y1 (ko) 측구배수 구조를 이용한 부력방지 구조
KR102350582B1 (ko) 교량 선배수시설용 종배수관집수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