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518Y1 -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518Y1
KR200306518Y1 KR20-2002-0037879U KR20020037879U KR200306518Y1 KR 200306518 Y1 KR200306518 Y1 KR 200306518Y1 KR 20020037879 U KR20020037879 U KR 20020037879U KR 200306518 Y1 KR200306518 Y1 KR 200306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port
air conditioner
hand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에-히 투
Original Assignee
수에-히 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에-히 투 filed Critical 수에-히 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5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63B2022/06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 A63B2022/065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for cycling in a recumbent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n elliptic movement
    • A63B2022/06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n elliptic movement with crank and handles being on the same side of the exercising apparatus with respect to the frontal body-plane of the user, e.g. crank and handles are in front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6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n elliptic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63B2213/005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with respiratory gas delivering means, e.g. O2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6Coo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일종의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보건 운동 기구는 본체와 착력 장치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일정한 방식으로 상기 착력 장치에 대해 동작함으로써 신체 단련의 목적을 달성한다. 그 특징은 상기 본체의 예정된 위치에 적어도 한 개의 연통(連通)된 공기 흡입구와 적어도 한 개의 배기구, 상기 공기 흡입구와 배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한 다음 처리하여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공기 조절 장치 및 상기 공기 조절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설치한다.

Description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FITNESS EQUIPMENT WITH AIR-CONDITIONING DEVICE}
본 고안은 보건 운동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생활의 바쁨과 스트레스로 인해 쉽게 피로를 느끼나, 생활 공간의 제한으로 적당한 활동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움으로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건 운동 기구를 많이 사용하는 실정이다. 흔히 볼 수 있는 운동 기구 예를 들면 런닝머신, 답보기(踏步機), 보건 운동 자전거, 타원형 만보기(漫步機) 등은 사용자의팔 또는 다리 부분을 운동시킬 수 있어 근육의 내력을 증진시켜 신체를 튼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할 경우 사용자는 지속적인 중복 운동으로 인해 체력이 많이 소모되므로 숨이 가쁘게 된다. 그 원인은 운동시 신체 내의 산소 소모량이 많아지므로 운동 중의 산소 공급량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호흡빈도를 높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산소 부족으로 인해 피로를 느끼거나 또는 현기증을 느낄 수 있으며, 체질이 약한 사용자일 경우 운동 강도를 적당하고 효과적으로 제어 못할 때, 심할 경우 의식을 상실하거나 혼미 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
때문에 효과적인 호흡 조절은 산소 공급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운동에도 유리하다.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사용자에 있어서 운동 시의 산소 소요량이 평소보다 많으며, 이때 사용자가 청결한 공기를 흡입하면 즉, 공기 중에 함유한 산소가 많을 경우 사용자의 산소 요구 및 흡입에 유리하므로 피로가 발생하는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어 운동의 지속에 도움이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인은 다년간 관련 업계에 종사한 경험을 토대로 많은 연구 끝에 본 창작을 고안해 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주요한 목적은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보건 운동 기구는 신체 단련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공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배출 할 수 있어 사용자 운동 시의 호흡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청결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 배출 위치를 조절 변경할 수 있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는 본체와 착력 장치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일정한 방식으로 이 착력 장치에 대해 동작함으로써 신체 단련의 목적을 달성한다. 그 특징은 이 본체 예정된 위치에 적어도 한 개의 연통(連通)된 공기 흡입구와 적어도 한 개의 배기구, 이 공기 흡입구와 배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한 다음 처리하여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는 공기 조절 장치 및 이 공기 조절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설치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가 타원형 만보기를 실시 상대로 한 사시도이며, 측정신호는 운동 기구의 사용 상태 출력치를 측정함으로서 생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1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신호 발생기와 공기 조절 장치 동작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 구조와 공기 흡입구 및 배기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모터 회전 속도와 공기 배출량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과 유사하며, 역시 타원형 만보기를 실시 상대로 하며 측정신호는 인체 특징 변화를 측정하므로서 획득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측정 제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심장 박동수와 공기 배출량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가 보건 자전거를 실시 대상으로 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가 답보기를 실시 대상으로 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가 실내 자전거를 실시 대상으로 한 도면으로서 배기구가 사용자를 향하게 설치된 상태를 표시한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제6 실시예가 실내 자전거를 실시 대상으로 한 도면으로서 배기구가 의자 배면에 설치된 상태를 표시한다.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제7 실시예가 런닝머신을 실시 대상으로 한 도면으로 배기구가 손잡이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제8 실시예가 런닝머신을 실시 대상으로 한 도면으로 공기 조절 장치가 별도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제1 실시예>
100: 타원형 만보기
10: 본체
11: 지지 로드 12: 핸들
121: 좌측 손잡이 122: 우측 손잡이
123: 분지관 124: 분지관
13: 공기 흡입구 14: 배기구
20: 착력 장치
21: 좌측 페달 22: 우측 페달
30: 운동 계기
31: 신호 발생기 32: 제어회로
321: A/D전환기 322: 마이크로프로세서
33: 표시부 34: 스위치
35: 버튼 36: 조정 버튼
40: 공기 조절 장치
41: 모터 42: 송풍기
43: 여과 망 44: 살균 광원
45: 변온 제어부재
<제2 실시예>
200: 타원형 만보기
50: 본체
51: 지지 로드 52: 받침부
53: 공기 흡입구 54: 배기구
60: 착력 장치
70: 계측 계기
71: 핸들 72: 감응부재
721: 감응편 722: 감응편
73: 제어 회로 74: 표시부
75: 스위치 76: 버튼
77: 조정 버튼 80: 공기 조절 장치
<제3 실시예>
300: 보건 운동 자전거
301: 지지 로드 302: 핸들
303: 착력 장치 304: 공기 흡입구
305: 배기구 306: 계기
307: 공기 조절 장치
<제4 실시예>
400: 답보기
401: 지지 로드 402: 핸들
403: 착력 장치 404: 계기
405: 배기구 406: 공기 조절 장치
<제5 실시예>
500: 실내 자전거
501: 시트 502: 등받이
503: 케이스 504: 페달 기구
505: 공기 흡입구 506: 배기구
507: 공기 조절 장치
<제6 실시예>
600: 실내 자전거
601: 등받이 602: 공기 조절 장치
603: 배기구
<제7 실시예>
700: 런닝머신
701: 핸들 701a: 직립관
701b: 직립관 702: 벨트
703: 계기 704: 공기 조절 장치
705: 공기 흡입구 706: 배기구
<제8 실시예>
800: 런닝머신
801: 핸들 802: 신장 가로대
803: 결합체 804: 배기구
도 1,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제공한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는 타원형 만보기(漫步機)(100)를 실시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타원형 만보기(100)는 주로 본체(10), 착력 장치(20) 및 계기(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중공(中空)인 관형상 지지 로드(11)와 핸들(12)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 로드(11)와 상기 핸들(12)은 연통(連通)되게 설치되며, 상기 착력 장치(20)는 두 발로 밟힘으로써 타원형 운동 궤적을 형성하며 좌우 페달(21)(22)로 구성된다. 이러한 타원형 만보기 구조는 종래 기술에속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이 주로 개량한 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 로드(11)는 상기 운동 계기(30)와 근접하는 위치에 공기 흡입구(13)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 흡입구(13) 개구는 사용자 정면과 상반되게 설치된다. 상기 핸들(12)은 좌우 두 손잡이(121)(122)가 각각 분지관(123)(124)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각 분지관의 끝 부분은 배기구(14)를 형성한다. 상기 각 분지관(123)(124)은 손잡이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배기구(14)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구(13)로부터 흡입된 다음 상기 배기구(14)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공기 흡입구(13)와 상기 배기구(14) 개구 부에 각각 그물형 커버(미 도시)를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운동 계기(30)는 상기 지지 로드(11) 상단에 설치되며, 케이스 내부에는 신호발생기(31), 제어 회로(32) 및 적어도 한 개의 전지(미 도시)를 포함하며, 케이스 표면에는 표시부(33), 전원 스위치(34) 및 복수 개의 버튼(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 발생기(31)는 사용 중인 타원형 만보기(100)의 기계적 효율(예를 들면 회전속도, 운동시간 등)을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출된 기계적 효율에 따라 측정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 신호는 상기 제어 회로(32)에 전송되어 A/D전환기(321)에 의해 전환 및 판독된 다음 마이크로프로세서(322)에 의해 처리되며, 그 측정 결과는 숫자 또는 도형과 같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방식으로 상기 표시부(33)에 표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 회로(32)는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 신호의 작용은 하기에서 설명한다.
상기 스위치(34)는 전원의 ON/OFF시 사용되며, 상기 버튼(35)은 상기 운동 계기(30)의 검출 시 참고 수치를 선택 또는 입력시 사용된다.
상기 공기 조절 장치(40)는 상기 지지 로드(11)가 운동 계기(30)와 근접하는 상단 관내(管內)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13)와 상기 배기구(14) 사이(미 도시)에 위치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공기 조절 장치(40)는 순차적으로 모터(41), 송풍기(42), 필터(43), 살균 광원(44) 및 변온(變溫) 제어부재(45)를 포함하며, 상기 송풍기(42)는 상기 공기 흡입구(13)와 근접하며, 상기 변온 제어부재(45)는 배기구(14)와 근접한다. 또한, 상기 모터(41)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어 회로(32)가 발생한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살균 광원(44)은 상기 스위치(34)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변온 제어부재(45)의 온도 변화는 상기 운동 계기(30) 표면에 설치된 조정 버튼(36)에 의해 제어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41)에 의해 송풍기(42)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기(42)는 지지 로드(11)의 외부 공기를 흡입 또는 배출한다. 즉, 외부 공기는 상기 공기 흡입구(13)로부터 흡입된 다음 상기 지지 로드(11) 내에서 상기 배기구(14) 방향으로 유동하는 과정에 상기 공기 조절 장치(40) 내에 설치된 상기 필터(43)에 의해 공기중의 미세한 부유물질이 걸러지며, 그 다음 살균 광원(44)은 공기 중에 함유된 오염원(예를 들면, 세균)을 살균하므로 공기는 보다 청결해진다. 또한, 상기 변온 제어부재(45)는 제어를 받아 온도 변화를 시킴으로 이곳을 지나는 공기는 상기 배기구(14)를 통해 청결한 온풍 또는 냉풍이 배출된다.
이상은 본 고안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타원형 만보기(100)]의 구성과 그 부품 위치에 대한 설명이며, 아래에 그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타원형 만보기(100)를 이용하여 운동할 경우 두 손은 각각 상기 좌우 두 손잡이(121)(122)를 잡고 두 발은 각각 상기 두 페달(21)(22)을 밟은 다음 스위치(34)를 ON시켜 상기 운동 계기(30)와 상기 공기 조절 장치(40)를 작동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미끄럼 방식으로 상기 착력 장치(20)를 동작하는 동시에 상기 신호 발생기(31)와 상기 제어 회로(32)는 실시간으로 운동 기구의 사용상황(예를 들면, 회전 속도, 운동 시간 등)을 측량하여 처리한 다음 상기 표시부(33)에 측량 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 회로(32)는 상기 측량된 정보에 따라 제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모터(4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운동을 시작하는 단계는 회전 속도가 느리고 배출되는 공기량도 적으나 운동이 지속될 경우 사용자의 심장 박동 속도가 빨라지고 산소 소요량이 증가함으로 모터의 회전 속도와 공기 배출양도 정비례적으로 변화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때 배출되는 공기량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타원형 만보기(100)는 운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신호 발생기(31)와 상기 제어 회로(32)가 상기 공기 조절 장치(40)와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운동 기구의 상태를 체크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공기 조절 장치(40)를 제어하여 적당한 량의 청결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산소 함유량이 높은 공기가 상기 배기구(14)를 통해 배출되므로써 사용자의주변에 분포되어 운동 시의 호흡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피로감을 느끼는 시간을 지연시키며, 현기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청결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분지관(123)(124)을 일정한 위치로 조정하여 상기 배기구(14)가 사용자의 상부에 보다 근접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반드시 지적해야 할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는 단순하게 냉풍 또는 온풍 배출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그 작용은 사용자가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체열을 발산시키거나 또는 조절을 통해 적당한 온도의 냉풍을 배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원하게 하는 것이다. 또는 저온 환경에서 운동할 경우 먼저 적당한 온도의 온풍을 배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빠르게 근육을 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 실시예도 역시 타원형 만보기를 실시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타원형 만보기(200)는 본체(50), 착력 장치(60),계측 계기(70) 및 공기 조절 장치(80)를 포함하며, 상기 착력 장치(60)는 종래 기술에 속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공기 조절 장치(80)의 구조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역시 생략한다. 아래에 개선한 부분만 설명한다.
상기 본체(50)는 중공인 지지 로드(51)와 상기 지지 로드(51)의 상부에 설치된 받침부(5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로드(51) 한 쪽에는 공기 흡입구(53)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부(52) 상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53)와 연결된 배기구(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조절 장치(80)는 상기 공기 흡입구(53)와 배기구(54)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계측 계기(70)는 상기 받침부(52) 상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계측 계기(7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양측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핸들(71)을 형성하며, 신호 발생기는 두 개의 감응부재(72)로 구성되며 각 감응부재(72)는 두 개의 금속 감응편(721)(722)이 상기 손잡이(71)의 표면에 부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계측 계기(70)의 내부에는 전기 회로카드로 구성된 제어 회로(73)가 있으며, 표면에는 표시부(74), 전원 스위치(75), 복수 개의 버튼(76) 및 조정 버튼(7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회로(7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감응편(721)(722)도 역시 상기 제어회로(7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우 두 손으로 동시에 감응편(721)(722)을 감싸쥐면 인체에 해롭지 않은 약한 신호전류가 인체를 통과하면서 상기 감응편(721)(722)은 신호전류의 변화에 따라 측정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측정신호가 바로 인체 특징의 변화수치(예를 들면, 심장 박동수)이며, 상기 측정신호도 역시 상기 제어회로(73)에 의해 신호전환 및 연산처리를 거쳐 상기 표시부(74)에 표시되는 동시에 제어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제어신호의 작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공기 조절 장치(80)가 생성하는 공기량을 제어한다.
도 9는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가 빨라짐에 따라 충분한 량의 산소를 보충하여 산소부족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공기 조절 장치(80)를 제어하여 보다 많은 청결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며, 공기는 상기 배기구(54)로부터 배출되어 사용자 주변에 분포되며, 그 기능은 제1 실시예에서 진술한 것과 같다. 또한 상기 계측 계기(70)는 일반적인 운동 기구 계기가 구비하고 있는 계산, 회전속도표시 및 시간 표시와 같은 기능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운동 기구의 공기 조절 장치의 작동 여부는 별도의 스위치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은 타원형 만보기(100)(200)를 실시 대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다른 운동 기구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그 실시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는 보건 운동 자전거(300)를 실시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보건 운동 자전거(300)의 본체는 중공이고 관형상이며 상통(相通)하는 지지 로드(301)와 핸들(302)을 포함하며, 착력 장치(303)는 크랭크 페달이고, 상기 지지 로드(301)의 한 쪽에는 공기 흡입구(30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302)의 한 쪽 끝은 밀폐되어 있고 중간 부분은 사용자를 향해 한 개 또는 다수 개의 배기구(30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직접 사용자 상부 주변에 분포된다. 또한, 상기 지지 로드(301)의 상부에는 계기(306)가 설치되며, 상기 계기(306)는 앞에서 진술한 계기와 같으며, 공기 조절 장치(307)는 상기 지지 로드(301) 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304)와 배기구(305) 사이에 위치하여 공기를 여과한 다음 청결한 공기를 배출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4 실시예는 중공이고 관형상이며 상통하는 지지 로드(401)와 한 쌍의 핸들(402)을 구비한 답보기(踏步機)(400)를 실시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착력 장치(403)는 나란히 설치된 한 쌍의 페달이며, 상기 지지 로드(401)의 상단에는 계기(404)(운동 계기 또는 계측 계기)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 로드(401)의 배면에는 공기 흡입구(미 도시)를 형성하며, 상기 핸들(402) 상에는 다수개의 배기구(405)가 형성되며, 공기 조절 장치(406)는 상기 지지 로드(401) 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와 상기 배기구(405) 사이에 위치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5 실시예는 실내 자전거(500)를 실시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본체는 시트(501), 등받이(502) 및 케이스(503)를 포함하며, 착력 장치는 페달 기구(504)이고 상기 케이스(503)에 의해 덮혀있으며 페달 부분만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케이스(503)의 한 쪽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505)가 형성되며, 배기구(506)는 상기 케이스(503) 상의 사용자와 상대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배출된 공기가 직접 사용자를 향하므로 공기 낭비를 줄일 수 있다. 공기 조절 장치(507)는 상기 케이스(503)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와 배기구 사이에 위치하여 청결한 공기를 제공한다.
도 13에 예시한 본 고안에 따른 제6 실시예도 역시 실내 자전거를 실시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실내 자전거(600)의 상이한 점은 공기 흡입구(미 도시)를 직접 등받이(601) 배면에 형성하며, 공기 조절 장치(602)도 상기 등받이(601)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와 연결되는 배기구(603)는 상기 등받이(601) 좌우 양쪽 근처의 정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조절 장치(602)로부터 배출되는 청결한 공기는 상기 두 배기구(603)로부터 배출되므로 여과된 청결한 공기가 직접 사용자의 두부 주변에 분포된다.
상기는 실내 자전거(500)(600)를 실시 대상으로 한 것이며, 사용자를 향하는 케이스 표면에 운동 계기를 설치하며, 상기 운동 계기는 공기 조절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기능과 작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서 예시한 본 고안에 따른 제7 실시예는 런닝머신(700)을 실시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본체는 위쪽으로 향하며 신장된 핸들(701)을 포함하며, 착력 장치는 벨트(702)이며, 계기(703)(운동 계기 또는 계측 계기일 수 있음)는 상기 핸들(701)의 앞 부분에 설치되며, 두개의 공기 조절 장치(704)는 각각 상기 핸들(701)이 직립된 직립관(701a)(701b) 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조절 장치(704)가 설치되는 각 직립관의 전,후 부위에는 각각 공기 흡입구(705)와 배기구(706)가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된 다음 여과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제8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보건 운동 기구도 역시 런닝머신(800)이며, 본체는 위쪽으로 향하며 신장된 핸들(801)과 상기 핸들(801) 사이에 설치되는 신장 가로대(802)를 포함하며, 상기 신장 가로대(802) 상에는 회전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결합체(80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체(803) 내에는 공기 조절 장치(미 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표면에는 공기 흡입구(미 도시)와 배기구(80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체(803)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배기구(804)가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동일 제품과 비교할 때 진보성과 실용성이 있으며,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이 출원 전에 공개되었거나 공개 사용되지 않았으므로 실용신안의 요건을 충족하므로 법에 따라 출원한다.
다만 상기 설명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므로 본 고안의 명세서와 청구범위 내의 구조 변화는 모두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는 신체 단련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공기를 조절하거나 또는 배출 할 수 있어 사용자 운동 시의 호흡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본체와 착력 장치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착력 장치에 대해 일정한 방식으로 동작함으로써 신체 단련의 목적을 달성하는, 일종의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예정된 위치에 적어도 한 개의 연통(連通)된 공기 흡입구와 적어도 한 개의 배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 조절 장치는 상기 공기 흡입구와 배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한 다음 처리하여 배기구를 통해 배출하며,
    스위치가 상기 공기 조절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절 장치에는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송풍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구와 송풍기구 사이에 필터가 설치되어 공기 중의 부유 물질을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구는 모터가 송풍기를 구동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절 장치는 살균 광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살균 광원은 상기 배기구와 송풍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 중에 함유되는 오염원(예를 들면, 세균)을 소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조절 장치는 변온 제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변온 제어부재는 배기구 근처에 설치되어 공기가 상기 변온 제어부재를 통과할 경우 변온 제어부재가 발생하는 온도 변화에 따라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온풍 또는 냉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신호 발생기, 제어 회로 및 복수 개의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발생기는 측정신호를 발생한 다음 상기 제어 회로에 전송하여 신호전환 및 연산처리 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스위치와 공기 조절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어 회로는 공기 조절 장치를 제어하여 출력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며, 상기 버튼은 조정 설정이나 또는 입력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표시부가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운동 계기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 계기 내에는 상기 신호 발생기와 상기 제어 회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운동 계기의 표면에는 상기 표시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호 발생기는 운동 기구 사용 시의 기계적 효율(예를 들면, 회전 속도, 비틀림 힘의 세기 등)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측정 결과에 따라 측정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계측 계기를 포함하며,
    상기 계측 계기 내에는 상기 제어 회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계측 계기의 표면에는 상기 표시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버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신호 발생기는 계측 계기의 표면에 설치된 감응부재이며 상기 제어 회로와 전기적으로연결되고, 상기 감응부재는 사용자와 접촉함으로써 인체 특징의 변화를 측정하며 이 변화치가 바로 측정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건 운동 기구는 타원형 만보기(漫步機), 보건 운동 자전거 또는 답보기(踏步機)이고, 상기 본체는 중공이고 관형상이며 상통된 지지 로드와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착력 장치는 발로 밟을 수 있고 일정한 운동 궤적을 형성하는 페달이고, 상기 지지 로드 상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 로드의 내부 예정된 위치에는 공기 조절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핸들의 예정된 위치에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건 운동 기구는 실내 자전거이며, 상기 본체는 시트, 등받이 및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착력 장치는 페달기구이고, 상기 케이스 상의 예정된 위치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는 상기 케이스 상에 사용자를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조절 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건 운동 기구는 실내 자전거이며, 상기 본체는 시트, 등받이 및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착력 장치는 페달 기구이고,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등받이 배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 조절 장치는 상기 등받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구는 등받이 정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건 운동 기구는 런닝머신이며, 상기 본체는 위쪽으로 향하며 신장된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착력 장치는 벨트이고, 상기 공기 흡입구와 배기구는 모두 상기 핸들에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는 사용자를 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조절 장치는 상기 핸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와 배기구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건 운동 기구는 런닝머신이며, 상기 본체는 위쪽으로 향하며 신장된 핸들과 상기 핸들을 연결하는 신장 가로대를 포함하며, 상기 신장 가로대 상에 결합체가 설치되며, 상기 결합체 내에는 공기 조절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결합체의 표면에는 공기 흡입구와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기구는 조정을 통해 사용자를 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KR20-2002-0037879U 2002-05-22 2002-12-20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KR2003065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91207334 2002-05-22
TW091207334U TW590018U (en) 2002-05-22 2002-05-22 Exercise device with air condition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518Y1 true KR200306518Y1 (ko) 2003-03-11

Family

ID=21688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879U KR200306518Y1 (ko) 2002-05-22 2002-12-20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306518Y1 (ko)
DE (1) DE20213753U1 (ko)
TW (1) TW59001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183B1 (ko) * 2009-06-26 2011-12-13 이종택 사이버 러닝머신 시스템
WO2021149436A1 (ja) * 2020-01-24 2021-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運動支援ユニット
JP7442037B2 (ja) 2020-01-24 2024-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運動支援ユニッ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7538A (ja) * 2004-02-25 2005-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健康装置
US20110065373A1 (en) * 2007-12-07 2011-03-17 Richard Goldmann Apparatus for surrounding an exerciser with cooling air having manual local control of air outlets built into a stationary exercise device
US10337761B2 (en) * 2007-12-21 2019-07-02 Ralf W. Blackstone Microenvironmental cooling system
CN113124551A (zh) * 2021-04-20 2021-07-1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联动空气调节设备的方法、系统、可读存储介质及服务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183B1 (ko) * 2009-06-26 2011-12-13 이종택 사이버 러닝머신 시스템
WO2021149436A1 (ja) * 2020-01-24 2021-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運動支援ユニット
JP7442037B2 (ja) 2020-01-24 2024-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運動支援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13753U1 (de) 2003-02-06
TW590018U (en) 2004-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0288B2 (en) Exercise device with fan controllable by a physiological condition of a user
US10252141B2 (en) Exercise apparatus with temperature variable handle assembly
EP1897597B1 (en) Randomly interrupted breathing device
EP2928569A1 (en) Breathing and respiratory muscle training method and system
JPS6211871B2 (ko)
JPH05184559A (ja) 筋力疲労測定装置
KR200306518Y1 (ko) 공기 조절 장치를 구비한 보건 운동 기구
KR100231328B1 (ko) 폐질환 환자의 호흡 훈련기 및 이를 이용한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
JP4295143B2 (ja) 携帯型空気浄化装置
CN106669110A (zh) 一种多功能呼吸训练器
KR20030080696A (ko) 선풍구조를 구비한 런닝머신
KR20210128546A (ko) 휴대용 호흡 재활장치
KR20210126172A (ko) 호흡 훈련장치
JP3961470B2 (ja) 運動装置
US202102515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ser effectiveness during operation of an exercise machine
JP2000014828A (ja) エアロビック運動器具の負荷自動調整装置
JP3091280U (ja) トレーニング器材
KR200368293Y1 (ko) 보건 운동기구용 송풍 장치
CN114588595A (zh) 一种儿科用呼吸康复训练器
US20080294061A1 (en) Health care gaming device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298629Y1 (ko) 음이온발생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런닝머신
KR200341498Y1 (ko) 쾌적한 운동환경을 제공하는 운동기구용 부쓰
CN209530010U (zh) 一种能维持二氧化碳浓度的呼吸训练装置
CN215962058U (zh) 一种呼吸训练器
KR20020072131A (ko) 헬스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