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172A - 호흡 훈련장치 - Google Patents

호흡 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172A
KR20210126172A KR1020200043193A KR20200043193A KR20210126172A KR 20210126172 A KR20210126172 A KR 20210126172A KR 1020200043193 A KR1020200043193 A KR 1020200043193A KR 20200043193 A KR20200043193 A KR 20200043193A KR 20210126172 A KR20210126172 A KR 2021012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thing
trainee
oxygen saturation
training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413B1 (ko
Inventor
홍성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드에이블
Priority to KR1020200043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41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61B5/09Measuring breath flow using an element rotated by th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eddy currents induced in moved elements, e.g. by permanent magnets
    • A63B21/005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eddy currents induced in moved elements, e.g. by permanent magnets induced by electro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alternators or dynamo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27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when used improperly, e.g. by giving a w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련자의 현재 산소포화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호흡시간 및 호흡강도 등의 훈련목표를 설정하여 훈련자에 실시간 맞춤형 호흡훈련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호흡 훈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훈련자가 호흡 테스트시 케이스 일부에 형성된 산소포화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산소포화도 정보를 이용하여 산소포화도를 반영한 훈련자의 현재 호흡상태에 따른 맞춤형 호흡훈련스케쥴을 설정할 수 있으며, 기구적 방식에 의하여 호흡세기를 설정하는 대신 미리 설정된 호흡훈련스케쥴에 따라 저항을 가변시켜 즉각적으로 다양한 호흡세기에 따른 호흡운동을 함으로써 호흡훈련에 집중하여 성취감 및 흥미유발시켜 호흡운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호흡 훈련장치{RESPIRATION TRAI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호흡 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술 후 또는 호흡기 질환이 있는 환자 및 폐활량 운동을 원하는 일반인의 호흡 운동을 도울 수 있는 호흡 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흡 훈련이란 질환 등으로 인한 호흡 곤란 증상을 완화시키고, 올바른 호흡법을 훈련함으로써 정서적 안정과 바른 발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레저/스포츠 활동의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수행한다. 호흡 훈련은 호흡근 및 횡경막 등의 호흡기 근육강화, 들숨 및 날숨 훈련을 통한 폐확장과 안정적인 산소공급, 꾸준한 호흡훈련을 통한 폐활량 및 폐기능 발달, 원활한 산소공급을 통한 체내 신진대사 활성화, 깊고 규칙적인 호흡을 통한 자율신경계 안정과 부교감신경의 활동 촉진으로 인한 정서적 안정, 호흡의 세기와 길이 등의 훈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호흡 훈련과 관련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5792호의 호흡 및 언어 훈련장치는 훈련자의 호흡상태에 따라 호흡 강약을 훈련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 구멍을 가지며 본체에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 공기량 조절판을 포함한다. 상기 선행기술의 공기량 조절판은 훈련자가 희망하는 호흡량에 따라 회전시켜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공기 통과 구멍 중 어느 하나를 본체에 형성된 통공과 매칭시켜 공기량을 조정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호흡 강약을 조절하여 호흡 훈련의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상기 공기량 조절판은 본체에 기구적으로 부착되어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일일이 수동적으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161호의 팬 호흡기는 환자가 입을 대고 흡기할 수 있는 호흡관과, 상기 호흡관과 밀폐된 상태로 연결되고, 상기 호흡관에서 나오는 흡기량의 세기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기로서, 팬과 발전기로 구성된 풍력발전기와, 상기 풍력발전기가 생산하는 전기의 양에 따라 발광의 정도가 차이 나도록 설계된 적어도 3가지 크기로 구성된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선행기술은 호흡에 따른 전기를 생산하는 출력발전기의 구조 및 이로인해 출력되는 전기량에 따라 외부에서 확인가능한 발광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나, 훈련자가 단순히 호흡하는 호흡량에 따른 결과를 외부로 표시하는 것일 뿐 훈련자의 호흡 세기 및 강약에 대한 목표치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훈련을 수행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모두는 단순히 호흡훈련의 강약 및 세기를 조정하여 호흡훈련하고 있을 뿐 현재 훈련자의 산소포화도와 연관하여 훈련자가 목표로하는 호흡시간 및 호흡강도 등의 훈련목표를 설정하여 효율적인 훈련스케줄을 제시하고 있지 않는다.
따라서, 훈련자의 현재 산소포화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호흡시간 및 호흡강도 등의 훈련목표를 설정하여 훈련자에 실시간 맞춤형 호흡훈련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호흡 훈련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75792호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416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훈련자의 현재 산소포화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에 따라 자동적으로 호흡시간 및 호흡강도 등의 훈련목표를 설정하여 훈련자에 실시간 맞춤형 호흡훈련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호흡 훈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호흡 훈련장치는 호흡에 따른 호흡세기 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케이스 일면에 산소포화도 센서부가 형성되어, 훈련자가 케이스를 쥐는 경우, 손가락이 상기 산소포화도 센서부에 접촉되어 호흡시 산소포화도 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받은 호흡세기 정보 및 산소포화도 정보에 따른 호흡훈련스케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의 가변저항 제어명령에 따라 저항을 변화시키는 포텐셔미터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상기 포텐셔미터를 제어하여 호흡훈련시 호흡 세기레벨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훈련자의 현재 호흡운동에 따라 입력되는 산소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훈련스케쥴의 산소포화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훈련중단 메시지를 소리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훈련자에게 즉시 알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흡세기 정보는 회전축에 연결된 프로펠러의 회전운동에 따라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전부로부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훈련자가 호흡 테스트시 케이스 일부에 형성된 산소포화도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산소포화도 정보를 이용하여 산소포화도를 반영한 훈련자의 현재 호흡상태에 따른 맞춤형 호흡훈련스케쥴을 설정할 수 있다.
기구적 방식에 의하여 호흡세기를 설정하는 대신 미리 설정된 호흡훈련스케쥴에 따라 저항을 가변시켜 즉각적으로 다양한 호흡세기에 따른 호흡운동을 함으로써 호흡훈련에 집중하여 성취감 및 흥미유발시켜 호흡운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호흡훈련시 훈련자의 산소포화도 정보를 반영함으로써 호흡훈련시 발생할 수 있는 과호흡을 판단하고 이를 즉시 훈련자에게 알림으로써 과호흡에 의한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훈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훈련장치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를 이용하여 훈련자에게 맞춤형 호흡훈련스케줄을 제공하는 호흡 훈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훈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자에게 단계별 호흡 세기에 따른 호흡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변저항을 제어하는 포텐셔미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훈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훈련장치의 분해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소포화도를 이용하여 훈련자에게 맞춤형 호흡훈련스케줄을 제공하는 호흡 훈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흡 훈련장치(1000)는 호흡 훈련장치 내부로 호흡을 불어 넣거나(호기), 호흡을 들어마시기 위하여(흡기) 훈련자의 입에 접촉하는 마우스피스(10), 상기 흡기 및 호기에 따른 공기의 유동에 따라 유도전류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출력하는 발전부(50) 및 상기 발전부로부터 출력되는 유도전류값을 입력받아 호흡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부(50) 및 제어부(60)는 케이스(40), 상기 케이스 상부에 연결되는 상부탭(20) 및 상기 케이스 하부에 연결되는 하부탭(70)에 케이스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훈련자의 호흡훈련시 상기 발전분 및 제어부로 침 등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탭(20)과 발전부(50) 사이에는 필터(3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케이스(40) 및 상부탭(2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하부탭(70)은 호흡운동에 따라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거나 및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공기홀(71)이 형성될 수 있다. 훈련자는 케이스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 입을 마우스피스(10)에 접촉하여 흡기 및 호기를 통한 호흡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발전부(50)는 회전축에 연결된 프로펠러(52)의 회전운동에 따라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전기(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로펠러(52)는 훈련자의 호흡운동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발전기(51)는 회전축과 연결되는 자석(회전자) 및 상기 자석을 주위를 감싸는 코일(고정자)로 이루어져, 훈련자의 호흡에 의하여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호흡 훈련장치(1000)는 훈련자의 호흡훈련시 훈련자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는 산소포화도 센서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소포화도 센서부(90)는 훈련자가 케이스를 쥐었을 때 검지가 위치하는 케이스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산소포화도 센서부(90)는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은 적외선을 더 잘 흡수하고, 산소와 결합하지 않은 환원헤모글로빈은 적색을 더 잘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산소포화도 센서부(90)는 적외선 및 적색을 발광하는 2개의 LED로 이루어진 발광부, 상기 발광부 및 손가락을 통과한 빛을 수광하는 포토다이오드 및 상기 수광부에 의하여 감지된 측정값을 제어부(60)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산소포화도 센서부(90)는 발광부 및 수광부가 케이스 일면에 위치하여 발광부에 의하여 손가락으로 조사된 후 손가락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측정하는 반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발광부 및 수광부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측정하는 투과형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60)는 산소포화도 센서부(90)로부터 입력되는 훈련자의 산소포화도값을 이용하여 측정된 산소포화도값에 따른 호흡훈련스케쥴을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훈련자 예를 들어 수술 후 폐기능이 저하된 상태에 있는 환자는 초기 호흡 훈련시 어느 정도의 호흡 시간 및 호흡세기 등의 호흡스케쥴로 운동할 지 결정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즉 폐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무리한 호흡운동은 호흡곤란이 발생하여 환자에게는 매우 위험하다. 이에 본 발명은 호흡시 산소포화도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훈련자의 폐기능 상태에 따른 호흡훈련스케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호흡 훈련장치는 케이스 일면에 산소포화도 센서가 부착되어 훈련자가 손으로 케이스를 자연스럽게 잡는 경우, 검지가 산소포화도 센서표면에 접촉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호흡 훈련장치(1000)는 이러한 산소포화도 정보를 활용하여 테스트 호흡진행시 현재 환자의 호흡에 따른 산소포화도 변화량을 파악한 후 환자의 폐기능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폐기능 상태에 따라 저장부에 미리 설정된 호흡훈련스케쥴을 선택하여 훈련자에게 맞춤형 호흡훈련스케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호흡훈련시 훈련자에 대한 산소포화도 정보가 계속적으로 모니터링 되고 있음으로 제어부(60)는 해당 훈련자에 설정된 호흡스케줄과 비교하여 과호흡운동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과호흡임을 판단하고, 이를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알림부(63)를 통하여 훈련자에게 호흡운동을 멈추라는 경고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상기 산소포화도값을 이용하여 해당 훈련자가 설정된 호흡스케줄에 따른 호흡세기 및 호흡시간에 따른 적정 산소포화도범위인지를 판단함으로써 효과적인 호흡운동을 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호흡 훈련장치(1000)는 발전부(50)로부터 출력되는 유도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61), 상기 컨버터(61)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가변저항 제어명령에 따라 저항을 변화시키는 포텐셔미터(62), 호흡훈련시 훈련자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산소포화도 센서부(90),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져 훈련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알림부(63), 훈련자의 호흡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호흡스케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64) 및 훈련자의 호흡운동시 호흡 세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포텐셔미터(62)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마이크로컨트롤러(MPU)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호흡 훈련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호흡 운동에 따라 발생하는 유도전류값을 입력받아 해당 훈련자의 호흡스케쥴정보를 기준으로 훈련자가 현재 적정한 호흡운동을 실시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호흡스케쥴정보는 최초 호흡테스트 결과에 따라 훈련자가 수행하여야 할 호흡 운동 시간(쉬는 시간 포함), 흡기 및 호기 시간 및 호흡 세기레벨를 포함하는 다양한 호흡 패턴 및 각 호흡운동시 산소포화도 범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흡 패턴은 한 주기동안 호기와 흡기 횟수 및 시간, 호기 및 흡기시의 호흡세기를 다양한 조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흡패턴은 호흡운동시간 5분, 쉬는 시간 5분, 5초동안 호기를 수행함에 있어 2초동안은 제1 호흡세기로, 3초동안은 제2 호흡세기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상기 호흡스케쥴정보에 따라 훈련자가 호흡훈련 목표에 도달하는 경우, 포텐셔미터(62)를 제어하여 다음 호흡훈련시 호흡 세기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흡 훈련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자에게 단계별 호흡 세기에 따른 호흡운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변저항을 제어하는 포텐셔미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포텐셔미터(62)는 내부에 다수의 스위치(62a) 및 다수의 저항(6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60)는 가변저항 제어명령을 포텐셔미터로 출력하여 상기 가변저항 제어명령에 따른 스위치(62a)를 개폐함으로써 발전부로부터 입력되는 유도전류가 통과하는 저항을 가변시켜 제어부로 출력되는 유도전류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로 출력되는 유도전류값의 크기는 호흡 세기로 이해될 수 있다.
포텐셔미터(62) 각각의 스위치의 개폐여부는 제어부(60)의 가변저항 제어명령에 따라 제어되므로 제어부는 발전부로부터 출력되는 유도전류가 통과하는 가변저항의 개수를 제어함으로써 포텐셔미터로부터 출력되는 유도전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전류 크기를 제어한다는 의미는 호흡 세기를 제어하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훈련자가 제1 호흡세기로 운동하는 경우에 가변저항이 없이 출력되는 유도전류값이 X1인 상태에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유도전류가 통과해야 하는 가변저항이 추가되는 경우, 훈련자가 동일한 제1 호흡세기로 운동하는 경우에 출력되는 유도전류값 X2는 상기 유도전류값 X1보다 작게된다. 가변저항을 통과하여 출력되는 유도전류는 옴의 법칙에 의하여 작아짐으로 훈련자는 가변저항이 있는(추가되는) 상태에서는 가변저항이 없는(추가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호흡세기보다 더 큰 호흡세기를 가지고 호흡운동을 수행해야 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60)는 최초 훈련자의 호흡상태정보를 입력받기 위하여 스위치 S1 및 스위치 Sn를 단락시키는 가변저항 제어명령을 포텐셔미터로 출력한다. 제어부는 포텐셔미터로부터 출력되는 테스트 유도전류값 및 산소포화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산소포화도 정보를 기초하여 저장부에 미리 설정된 호흡훈련스케쥴정보에서 현재 훈련자의 폐기능 상태에 따른 호흡훈련스케쥴을 설정할 수 있다(S41). 상기 테스트 유도전류값은 포텐셔미터의 가변저항을 통과하지 않음으로 발전부로부터 생성되는 유도전류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리 설정된 호흡훈련스케쥴에 따라 훈련자의 목표 호흡 세기(유도전류값은 LEVEL 1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음)로 호흡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부(60)는 S2 및 스위치 Sn를 단락시키는 가변저항 제어명령을 포텐셔미터로 출력하여 유도전류가 가변저항 R1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2). 여기서 가변저항이 추가되었으므로 훈련자는 최초 테스트 호흡시 호흡세기보다는 더 세게 호흡운동을 수행하여야만 목표 호흡세기를 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저항 제어명령을 S2 및 Sn의 단락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제어부의 가변저항 제어명령은 미리 설정된 훈련자의 호흡운동스케쥴에 따른 호흡패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흡패턴은 호흡운동시간 5분, 쉬는 시간 5분, 5초동안 호기를 수행함에 있어 2초동안은 제1 호흡세기로, 3초동안은 제2 호흡세기로 설정되는 경우(여기서 제2 호흡세기는 제1 호흡세기보다 큼), 제어부는 2초동안은 스위치 S2 및 Sn을 단락시켜 가변저항 R1을 포함하도록 제어한 후, 이후 3초동안은 스위치 S3 및 Sn을 단락시켜 가변저항 R1 및 R2을 포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훈련자가 점차적으로 더 세게 호흡하도록 호흡 운동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호흡운동스케쥴에 따른 목표 호흡세기대로 훈련자가 호흡훈동하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유도전류가 통과하는 가변저항의 수를 가감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훈련자는 변화하는 호흡세기를 갖는 호흡패턴을 따라하면서 효율적인 호흡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훈련자의 현재 호흡운동에 따라 입력되는 산소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훈련스케쥴의 산소포화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S43), 훈련중단 메시지를 소리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훈련자에게 즉시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S46).
제어부(60)는 산소포화도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산소포화도값이 미리 설정된 산소포화도범위내에 있으며(S43), 유도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미리 설정된 호흡훈련스케쥴에 따라 훈련자의 목표 호흡 세기보다 큰 경우, 훈련자가 목표 호흡훈련을 달성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S44). 제어부(60)는 목표 호흡훈련이 달성되었을 경우, 호흡운동결과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알림부를 통하여 상기 호흡운동결과 메시지를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훈련자에게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S46).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마우스피스 20:상부탭
30:필터 40:외부케이스
50:발전부 51:발전기
52:프로펠러 60:제어부
61:컨버터 62:포텐셔미터
63:알림부 64:저장부
70:하부탭 80:입력버튼
90:산소포화도 센서부 1000:호흡 훈련장치

Claims (6)

  1. 호흡에 따른 호흡세기 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하고, 케이스 일면에 산소포화도 센서부가 형성되어, 훈련자가 케이스를 쥐는 경우, 손가락이 상기 산소포화도 센서부에 접촉되어 호흡시 산소포화도 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호흡 훈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받은 호흡세기 정보 및 산소포화도 정보에 따른 호흡훈련스케쥴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훈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의 가변저항 제어명령에 따라 저항을 변화시키는 포텐셔미터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상기 포텐셔미터를 제어하여 호흡훈련시 호흡 세기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훈련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훈련자의 현재 호흡운동에 따라 입력되는 산소포화도가 미리 설정된 호흡훈련스케쥴의 산소포화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훈련중단 메시지를 소리 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훈련자에게 알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훈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세기 정보는 회전축에 연결된 프로펠러의 회전운동에 따라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전부로부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훈련장치.
  6. 회전축에 연결된 프로펠러의 회전운동에 따라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전부(50),
    발전부로부터 출력되는 유도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61),
    컨버터와 연결되어 제어부의 가변저항 제어명령에 따라 저항을 변화시키는 포텐셔미터(62),
    호흡훈련시 훈련자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산소포화도 센서부(90),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부로 이루어져 훈련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알림부(63),
    훈련자의 호흡상태에 따라 미리 설정된 호흡스케쥴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64) 및
    훈련자의 호흡운동시 호흡 세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포텐셔미터를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호흡 훈련장치.
KR1020200043193A 2020-04-09 2020-04-09 호흡 훈련장치 KR102365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193A KR102365413B1 (ko) 2020-04-09 2020-04-09 호흡 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193A KR102365413B1 (ko) 2020-04-09 2020-04-09 호흡 훈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172A true KR20210126172A (ko) 2021-10-20
KR102365413B1 KR102365413B1 (ko) 2022-02-21

Family

ID=7826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193A KR102365413B1 (ko) 2020-04-09 2020-04-09 호흡 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283A (ko) * 2021-11-25 2023-06-01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폐활량 측정, 호흡압 측정, 및 호흡저항 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호흡재활어셈블리
KR20230118404A (ko) 2022-02-04 2023-08-11 주식회사 파프리카랩 방사선 치료 환자용 웨어러블 호흡 트레이닝 장치
CN117831379A (zh) * 2024-03-06 2024-04-05 天津市胸科医院 一种数据处理的呼吸训练医用机器人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926A (ja) * 1998-06-18 2000-01-25 Taema 睡眠呼吸段階決定装置
KR200354161Y1 (ko) 2004-03-16 2004-06-23 이진명 팬 호흡훈련기
KR20120082632A (ko) * 2011-01-14 2012-07-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구비한 호흡 훈련기
KR20180073839A (ko) * 2016-12-23 2018-07-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호흡훈련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8533412A (ja) * 2015-10-30 2018-11-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呼吸の訓練、観察及び/又は補助装置
WO2019102324A1 (en) * 2017-11-21 2019-05-31 Mir S.R.L. - Medical International Research System for monitoring patients suffering from respiratory disease comprising a portable medical device and method based on the use of such system
KR101975792B1 (ko) 2018-07-12 2019-08-28 홍성태 호흡 및 언어 훈련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926A (ja) * 1998-06-18 2000-01-25 Taema 睡眠呼吸段階決定装置
KR200354161Y1 (ko) 2004-03-16 2004-06-23 이진명 팬 호흡훈련기
KR20120082632A (ko) * 2011-01-14 2012-07-24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구비한 호흡 훈련기
JP2018533412A (ja) * 2015-10-30 2018-11-15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呼吸の訓練、観察及び/又は補助装置
KR20180073839A (ko) * 2016-12-23 2018-07-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휴대용 호흡훈련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02324A1 (en) * 2017-11-21 2019-05-31 Mir S.R.L. - Medical International Research System for monitoring patients suffering from respiratory disease comprising a portable medical device and method based on the use of such system
KR101975792B1 (ko) 2018-07-12 2019-08-28 홍성태 호흡 및 언어 훈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283A (ko) * 2021-11-25 2023-06-01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폐활량 측정, 호흡압 측정, 및 호흡저항 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호흡재활어셈블리
KR20230118404A (ko) 2022-02-04 2023-08-11 주식회사 파프리카랩 방사선 치료 환자용 웨어러블 호흡 트레이닝 장치
CN117831379A (zh) * 2024-03-06 2024-04-05 天津市胸科医院 一种数据处理的呼吸训练医用机器人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413B1 (ko) 202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413B1 (ko) 호흡 훈련장치
US82723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endurance of inspiratory muscles
JP7063805B6 (ja) 呼吸の訓練、観察及び/又は補助装置
EP1897597B1 (en) Randomly interrupted breathing device
US9452317B2 (en) Breathing and respiratory muscle training method and system
JP6843850B2 (ja) 呼吸の訓練、観察及び/又は補助装置
US4981295A (en) Respiratory training using feedback
KR101884360B1 (ko) 휴대용 호흡훈련기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0556749B2 (ko)
KR101975792B1 (ko) 호흡 및 언어 훈련 장치
JPWO2014188517A1 (ja) 呼吸制御マウスピース
KR100231328B1 (ko) 폐질환 환자의 호흡 훈련기 및 이를 이용한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
KR102365405B1 (ko) 게임을 이용한 호흡 훈련시스템
EP10212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of the respiratory muscles
KR20190087067A (ko) 호흡근 강화 훈련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호흡훈련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049224B2 (ja) 呼吸制御マウスピース
CN220676687U (zh) 一种带声音激励功能的呼吸训练器
ES2209232T3 (es) Procedimiento de recurrencia biologica.
KR20210068268A (ko) 스마트 브리드
EP2453797A2 (fr) Appareil d'evaluation de la capacite musculaire de la sangle abdominale d'un sujet
CN220478020U (zh) 一种呼吸压力负荷型抗阻训练装置
CN220257095U (zh) 呼吸训练器
KR20230035064A (ko) 환기 디바이스, 상기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용도
KR100190224B1 (ko) 폐질환 환자의 흉부 물리 치료 시스템
Czekaj et al. Games with biofeedback for pulmonary rehabil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