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484Y1 -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 - Google Patents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484Y1
KR200306484Y1 KR20-2002-0036956U KR20020036956U KR200306484Y1 KR 200306484 Y1 KR200306484 Y1 KR 200306484Y1 KR 20020036956 U KR20020036956 U KR 20020036956U KR 200306484 Y1 KR200306484 Y1 KR 200306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nut
sandwich panel
hea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복규
Original Assignee
장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복규 filed Critical 장복규
Priority to KR20-2002-0036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4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4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4Nut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8Non-releas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neycomb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에 관한 것으로, 전체가 분리된 3개의 구성요소, 즉, 너트, 하우징 및 하부 커버로 구성되어 너트가 하우징과 하부 커버 사이에서 회전이 방지되면서 유동되게 하는 구조이므로 샌드위치 패널이 부착될 상대편 구조물과 샌드위치 패널 사이의 공차가 보완될 수 있음과 동시에 너트의 헤드의 상면이 외측 하방으로 만곡되게 라운딩처리되어 있으므로 상대편 구조물 측의 볼트가 체결되었을 때 볼트가 중앙으로 몰리게 하여 볼트와 너트 사이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되게 한다.

Description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A SECURING STRUCTURE OF A SANDWICH PANEL}
본 고안은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샌드위치 패널이 부착될 상대편 구조물과 샌드위치 패널 사이의 공차가 보완되게 함과 동시에 상대편 구조물 측의 볼트가 체결되었을 때 볼트가 중앙으로 몰리게 하는 구조를 갖는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위치 패널은 2개의 표피판들 사이에 보강재가 끼워져 접합된 것이다. 특히, 표피판의 재질이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이고 보강재의 재질이 종이 벌집 코어 또는 우레탄인 샌드위치 패널은 경량이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항공기, 열차, 선박 등의 내장재로서 널리 사용되는데, 그 구조상 상대편 구조물 측의 볼트가 샌드위치 패널에 체결될 수 없다. 상대편 구조물 측의 볼트가 샌드위치 패널에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근래에 샌드위치 패널의 일측의 표피판에 구멍을 형성한 후 보강재의 내부에 너트를 심어 접합재로 접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통상, 샌드위치 패널에는 복수의 너트들이 설치되고, 샌드위치 패널이 부착될 상대편 구조물에는 복수의 볼트 관통공들이 샌드위치 패널의 부착구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샌드위치 패널의 너트들이 상대편 구조물의 볼트 관통공들에 일치되게 샌드위치 패널을 상대편 구조물 상에 위치시킨 후 상대편 구조물 측에서 볼트들을 볼트 관통공들을 관통시켜 샌드위치 패널의 너트들에 체결함으로써, 샌드위치 패널이 상대편 구조물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시에 샌드위치 패널에 너트들을 설치함에 있어 너트들의 설치 위치에 공차가 발생하게 되고, 그리고, 상대편 구조물의 제조시에 상대편 구조물 측에 볼트 관통공들을 형성함에 있어 볼트 관통공들의 설치 위치에 공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샌드위치 패널은 너트가 샌드위치 패널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공차를 보완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전체가 분리된 3개의 구성요소, 즉, 너트, 하우징 및 하부 커버로 구성되되 너트가 역T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하우징의 내부가 너트를 수용하여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너트의 반경방향 유동을 허용하도록 크기 설정된 역T자형으로 형성되어 너트가 하우징과 하부 커버 사이에서 빠지지 않으면서도 이들 사이에서 유동가능하게 조립됨과 동시에 너트의 헤드의 상면이 외측 하방으로 만곡되게 라운딩처리된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가 샌드위치 패널에 접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샌드위치 패널이 부착된 상대편 구조물 측의 볼트가 상기 샌드위치 패널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샌드위치 패널 내에 접합되는 부착구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각각 분리된 너트, 하우징 및 하부 커버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너트는 상면이 외측 하방으로 만곡되게 라운딩처리된 직사각형 헤드와, 이 헤드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나사가공된 체결공이 형성된 원통체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앙에는 상기 너트의 원통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는 상기 너트의 헤드를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 오목부가 수용공과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하단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부의 상단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단차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인 하부 커버가 억지 끼워맞춤되되 그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경사부 상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눌러져 상기 경사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서 수용공과 오목부의 크기는 상기 너트의 원통체 및 헤드를 수용하여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너트의 반경방향 유동을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는 3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1)는 너트(10), 하우징(20) 및 하부 커버(30)로 이루어져 있다.
너트(10)는 직사각형 헤드(11)와, 이 헤드(11)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된 원통체(13)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체(13)의 내부에는 나사가공된 체결공(15)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다. 하우징(20)의 내부 중앙에는 너트(10)의 원통체(1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21)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20)의 하단에는 너트(10)의 헤드(11)를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 오목부(23)가 수용공(21)과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수용공(21)의 상단에는 입구(21a)가 형성될 수도 있는데, 입구(21a)의 직경은 너트(10)의 원통체(13)의 외경보다 크고 수용공(21)의 직경보다 작다.
하우징(20)의 외주면 하단에는 단차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부(25)의 상단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사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0)의 단차부(25)에는 하부 커버(30)가 억지 끼워맞춤된다. 하부 커버(3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이며, 하부 커버(30)의 내경은 하우징(20)의 단차부(25)의 직경과 동일하고, 하부 커버(30)의 높이는 경사부(25a)를 포함한 단차부(25)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부착구의 조립시, 너트(10)가 하우징(20) 내에 삽입된 다음, 하부 커버(30)가 하우징(20)의 단차부(25) 상에 끼워지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30)의 상단부가 하우징(20)의 경사부(25a) 상에 위치되었을 때, 작업자가 하부 커버(30)의 상단부를 하우징(20)의 경사부(25a) 상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누르면, 하부 커버(30)의 상단부가 하우징(20)의 경사부(25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20)의 경사부(25a) 상에 밀접하게 걸쳐지므로 하부 커버(30)가 하우징(20)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도 1에는 상단부가 눌려지지 않은 상태의 하부 커버(3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상단부가 눌려진 상태의 하부 커버(30)가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20)에서 수용공(21)과 오목부(23)의 크기는 너트(10)의 원통체(13) 및 헤드(11)를 수용하여 너트(10)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너트(10)의 반경방향 유동을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수용공(21)의 직경은 너트(10)의 원통체(13)의 외경보다 크며 너트(10)의 헤드(11)의 길이보다 작아야 되고, 하우징(20)의 오목부(23)의 폭은 너트(10)의 헤드(11)의 폭보다 크며 너트(10)의 헤드(11)의 길이보다 작아야 되고, 너트(10)의 헤드(11)의 길이는 하우징(20)의 외경보다 작으며 하우징(20)의 수용공(21)의 직경보다 작아야 된다.
또한, 너트(10)의 헤드(11)의 상면은 외측 하방으로 만곡되게 라운딩처리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편 구조물 측의 볼트가 체결되었을 때 너트(10)는 라운딩처리된 헤드(11)가 하우징(20)의 수용공(21)의 하단부에 맞닿게 되면서 중앙으로 몰리게 되며, 체결된 볼트 또한 너트(10)에 따라 중앙으로 몰리게 된다.
또한, 하우징(20)의 상단에는 플랜지부(2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부(27)의 가장자리에는 2개의 접합재 주입공(27a)들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구(1)를 샌드위치 패널(50) 내에 접합하기 전에 샌드위치 패널(50)의 일측의 표피판(51)에는 구멍(53)이 형성되는데, 구멍(53)의 직경은 부착구(1)의 직경과 동일하고 구멍(53)의 깊이는 부착구(1)의 높이와 동일하다. 표피판(51)과 그 아래의 보강재(55)는, 예를 들어, 절삭 비트(미도시) 등에 의해 부착구(1)의 높이만큼 절삭된다. 따라서, 부착구(1)는 구멍(53) 내에 억지 끼워맞춤되며, 부착구(1)의 상단 표면은 샌드위치 패널(50)의 표피판(51)과 동일 평면 상에 있게 된다.
작업자가 부착구(1)를 샌드위치 패널(50)에 접합할 때, 작업자가 샌드위치패널(50)의 구멍(51)의 바닥에 미리 약간의 접합재를 도포한 다음, 부착구(1)를 구멍(53) 내에 삽입하고, 2개의 접합재 주입공(27a)들 중 하나를 통해 접합재(B)를 주입하면, 접합재(B)가 구멍(53)과 부착구(1) 사이의 공간을 채운 후 나머지 하나의 접합재 주입공(27a)를 통해 나오게 되므로 구멍(53)과 부착구(1)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존재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부착구(1)와 샌드위치 패널(50) 사이의 접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하우징(20)의 플랜지부(27)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노치부(27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부(27b)로 인해 접합재(B)가 하우징(20)에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되므로, 하우징(20)과 샌드위치 패널(50)과의 접합력이 향상된다. 또한, 하우징(20)의 외주면 중간에는 접합재(B)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면에 줄눈(29)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에 의하면, 전체가 분리된 3개의 구성요소, 즉, 너트, 하우징 및 하부 커버로 구성되어 너트가 하우징과 하부 커버 사이에서 회전이 방지되면서 유동되게 하는 구조이므로 샌드위치 패널이 부착될 상대편 구조물과 샌드위치 패널 사이의 공차가 보완될 수 있음과 동시에 너트의 헤드의 상면이 외측 하방으로 만곡되게 라운딩처리되어 있으므로 상대편 구조물 측의 볼트가 체결되었을 때 볼트가 중앙으로 몰리게 하여 볼트와 너트 사이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되게 한다.

Claims (4)

  1. 샌드위치 패널(50)이 부착된 상대편 구조물 측의 볼트가 상기 샌드위치 패널(5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샌드위치 패널(50) 내에 접합되는 부착구(1)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1)는 각각 분리된 너트(10), 하우징(20) 및 하부 커버(30)로 조립되어 있고,
    상기 너트(10)는 상면이 외측 하방으로 만곡되게 라운딩처리된 직사각형 헤드(11)와, 이 헤드(11)의 중심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나사가공된 체결공(15)이 형성된 원통체(13)를 구비하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인 상기 하우징(20)의 내부 중앙에는 상기 너트(10)의 원통체(1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21)이 수직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20)의 하단에는 상기 너트(10)의 헤드(11)를 수용하기 위한 직사각형 오목부(23)가 수용공(21)과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0)의 외주면 하단에는 단차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부(25)의 상단에는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사부(25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0)의 단차부(25)에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체인 하부 커버(30)가 억지 끼워맞춤되되 그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20)의 경사부(25a) 상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눌러져 상기 경사부(25a)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에서 수용공(21)과 오목부(23)의 크기는 상기 너트(10)의 원통체(13) 및 헤드(11)를 수용하여 너트(10)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너트(10)의 반경방향 유동을 허용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수용공(21)의 직경은 상기 너트(10)의 원통체(13)의 외경보다 크며 상기 너트(10)의 헤드(11)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하우징(20)의 오목부(23)의 폭은 상기 너트(10)의 헤드(11)의 폭보다 크며 상기 너트(10)의 헤드(11)의 길이보다 작고,
    상기 너트(10)의 헤드(11)의 길이는 상기 하우징(20)의 외경보다 작으며 상기 하우징(20)의 수용공(21)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30)의 내경은 상기 하우징(20)의 단차부(25)의 직경과 동일하고,
    상기 하부 커버(30)의 높이는 경사부(25a)를 포함한 단차부(25)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상단에는 플랜지부(2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27)의 가장자리에는 2개의 접합재 주입공(27a)들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27)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노치부(27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0)의 외주면 중간에는 표면에 줄눈(2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
KR20-2002-0036956U 2002-12-11 2002-12-11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 KR200306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956U KR200306484Y1 (ko) 2002-12-11 2002-12-11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956U KR200306484Y1 (ko) 2002-12-11 2002-12-11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484Y1 true KR200306484Y1 (ko) 2003-03-08

Family

ID=4940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956U KR200306484Y1 (ko) 2002-12-11 2002-12-11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4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080B1 (ko) * 2010-10-25 2011-07-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체결용 인서트 장치 및 그 조립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080B1 (ko) * 2010-10-25 2011-07-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체결용 인서트 장치 및 그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3632B1 (en) Unitary access panel for aircraft fuel tanks
US4757560A (en) Toilet tank gasket
US4286642A (en) Isolation connection
US7059025B2 (en) Fastener
EP0797008B1 (en) Solenoid manifold assembly
JP2000213510A (ja) ハニカムパネル固定構造
US4778321A (en) Panel coupler
US20060226188A1 (en) Vehicle accessory mounting structure
KR200306484Y1 (ko) 샌드위치 패널 부착구
EP0187657B1 (en) Toilet tank gasket
JP2545218B2 (ja) エアバツグ装置のパツド
JPH08144423A (ja) 吊り下げ型防振装置
US10688884B2 (en) Housing including snag-fit connection between housing components
EP0186608A1 (en) Grommet assembly for a composite or like structure
KR100417963B1 (ko) 파워스티어링장치의 오일씰
US11644058B2 (en) Clam shell insert utility
JPH0332852Y2 (ko)
US6557649B1 (en) Pneumatic tool structure
JP2516927Y2 (ja) 竪型水中ポンプのストレーナースタンド
KR20200061208A (ko) 차량 장착용 브래킷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JP2001012190A (ja) 中空構造物の継手構造
JPH0734873Y2 (ja) 槽体の連結構造
CN220274044U (zh) 一种充电头外壳结构
CN214648577U (zh) 自动驾驶领域洗地车的车身外壳分体搭接结构
KR100468444B1 (ko) 공조기용 크로스 팬의 성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