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757Y1 - 성분이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하는 용기의 회전캡 구조 - Google Patents

성분이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하는 용기의 회전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757Y1
KR200305757Y1 KR20-2002-0030685U KR20020030685U KR200305757Y1 KR 200305757 Y1 KR200305757 Y1 KR 200305757Y1 KR 20020030685 U KR20020030685 U KR 20020030685U KR 200305757 Y1 KR200305757 Y1 KR 200305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wer container
cap
guide protrusions
diffe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영
송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주)코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주)코레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20-2002-0030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7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7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5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65D51/287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displacing or removing an element enclosing it the element being a lid or cover seated on a passage betwee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ma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분말 또는 용액를 하나의 용기에 분리 보관 함과 동시에 사용시에 두종류의 분말 또는 용액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용기를 상승시키는 회전캡의 구조를 개량하여 하부용기가 상승 완료되어졌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로다른 성분의 화장품 또는 의약품을 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의 하부용기(30)를 상승 시키는 회전캡(40)의 내저면으로 관체
(41)를 형성시키고, 상기 관체의 내측면에 하부용기(30)의 안내돌부(32)(32a)가 얹혀질 수 있는 두께를 가지고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용기(30)의 안내돌부(32)(32a)가 얹혀져 상승되어지는 경사면(43)(43a)을 가지는 나사산부(42)(42a)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43)(43a)의 끝단으로 하부용기(30)의 안내돌부(32)(32a)가 걸림고정되는 걸림단턱(44)(44a)이 형성되어 있는 성분이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하는 용기의 회전캡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성분이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하는 용기의 회전캡 구조{The cap of rotation structure of case that is used separation, charge and mix to powder or solution of different each ofher ponenit}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분말 또는 용액를 하나의 용기에 분리 보관 함과 동시에 사용시에 두종류의 분말 또는 용액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용기를 상승시키는 회전캡의 구조를 개량하여 하부용기가 상승 완료되어졌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같은 계열의 의약품이나 화장품중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혼합 함으로서 보다 새로운 특성의 화장품과, 새로운 약효과를 얻을 수는 의약품이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 사용함으로서 새로운 특성을 얻게되는 의약품이나 화장품을 혼합 사용하는 예전의 사용방법은 각각의 용기를 이용하여 보관하게 되고, 사용을 할때 별도의 용기에 두종류의 내용물을 적정한 비율로 부어 혼합하여 사용하여 왔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용기에 보관 사용하는 이유는 두 종류의 내용물이 혼합되어진 상태에서 오랜시간 즉, 두물질이 섞인지 7일이 경과하면 화학변화에 이하여효과가 떨어지기거나 변질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용기에 서로 다른 성질의 의약품이나 화장품액 및 분말을 보관함으로서 혼합 사용에 따른 사용상의 번거러움이 있고, 내용물의 낭비가 많게 된다.
따라서 두종류의 의약품이나 화장품 용액 또는 분말을 보다 편리하게 혼합 사용할 수 있고, 7일 이내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착안된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는, 회전캡을 회전 시킴에 따라 상승되어지는 하부용기에 의해 차단부재의 차단판이 제거되어져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내의 성분이 다른 두종류의 내용물 혼합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서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내용물을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성형 제작이 간편하여 실용화되어지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용기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28896호로 출원되어 실용신안등록 제 256383호로 등록 받은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로서 본원 출원인은 상기 권리에 대한 일부이전등록을 받은바 있고,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 256383호의 회전캡을 보완하게 되었다.
상기의 선등록 제256383호를 보완한 본 고안은, 하부용기를 상승시키는 회전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회전캡의 1/2회전으로 하부용기를 상승완료할수 있고, 걸림단턱부를 두어 하부용기가 상승 완료된 상태에서 헛돌아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두제품이 섞여지는 시점을 회전캡에 의해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성분이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하는 용기의 회전캡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서로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이 수납되어지는 용기의 부분 단면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회전캡을 발췌한 사시 구성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회전캡에 의해 하부용기가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0 : 상부용기 20 : 차단부재
21 : 차단판 22 : 안내홀
30 : 하부용기 31 : 톱니형재단날
32,32a : 안내돌부 40 : 회전캡
41 : 관체 42,42a : 나사산부
43,43a : 경사면 44,44a : 절림단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상부로 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용기가 체결될 수 있게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용기(10)와, 상부용기
(10)와 하부용기를 구획할 수 있도록 상부용기(10)로 삽입 설치됨과 동시에 재단 개봉되어 상,하부로 각각 충전되어진 서로 다른 성분의 화장품 내지 약품의 혼합이 가능하게 하는 차단판(21)을 가지는 차단부재(20)와; 개구된 상부 주연부로 차단판
(21)의 가장자리를 재단할 수 있도록된 톱니형재단날(31)을 가지고 있는 하부용기
(30)가 차단부재(20) 내측으로 설치되어 회전캡(40)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어질 수 있게 한 종래의 실용신안등록 제256383호와 같은 용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40)의 내저면으로 하부용기(30)의 하부가 삽입 위치하는 관체
(41)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면에는 하부용기(30)의 안내돌부(32)(32a)가 얹혀질 수 있는 두께를 가지고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용기
(30)의 안내돌부(32)(32a)가 얹혀져 상승되어지는 경사면(43)(43a)을 가지는 나사산부(42)(42a)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43)(43a)의 상사점 끝단으로 하부용기(30)의 안내돌부(32)(32a)가 걸림고정되는 걸림단턱(44)(44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서로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이 수납되어지는 용기의 부분 단면 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회전캡을 발췌한 사시 구성도이며,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며, 도4는 본 고안의 회전캡에 의해 하부용기가 상승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는, 용액 또는 분말 상태의 화장품이나 의약품이 수납공간으로 수용되어진 하부용기(30)를 상부용기(10)의 하부로 결합 한다.
상기 상부용기(10)로 하부용기(30)를 조립할 때에는 상부용기(10)의 하부 내측으로 차단부재(20)를 먼저 끼운다.
상기와 같이 상부용기(10)로 결합되어진 차단부재(20)의 내측으로 하부용기
(30)를 조립하되, 안내돌부(32)(32a)가 차단부재의 안내홀(22)에 위치하도록 하여 조립한다.
차단부재(20)로 조립된 하부용기(30)는 상부용기(10)의 하부 외측으로 언더컷 체결되는 회전하는 회전캡(40)의 조립으로 조립 완료되어지게 된다.
상기 하부용기(30)의 하부로 위치하는 회전캡(40)과 하부용기(30)의 결합관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용기(10)의 하부 외측으로 회전캡(40)이 언더컷 체결될때 하부용기(30)의 하부가 회전캡(40)의 내저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는 관체(41)로 삽입 위치하게되고, 이때 하부용기(30)의 하부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돌부(32)(32a)가 관체(41)의 내측면에서 대향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부(42)(42a)의 경사면(43) 하부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캡(40)에 의해 하부용기(30)의 조립이 완료되어지면, 상부용기(10)에 하부용기(30)로 수용된 내용물의 성분과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수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용기내의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혼합 사용할 때에는 회전캡(40)을 돌려 하부용기(30)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캡(40)을 회전시키면, 하부용기(30)의 하부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안내돌부(32)(32a)가 관체(41) 내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부(42)(42a)의 경사면(43)(43a)에 의해 상승되어지게 되고, 이때 안내돌부(32)(32a)는 차단부재
(20)의 안내홀(22)에서 안내되어 회전 없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승되어지는 하부용기(30)는 상연부로 경사진 톱니형재단날
(31)을 가지고 있어 톱니형재단날(31)이 차단부재(20)의 차단판(21) 가장자리에 순차적으로 접촉되면서 차단판(21)을 차단부재(20)로부터 재단해 내게 되는 것이다.
상기 차단판(21)이 재단 완료되는 시점은 안내돌부(32)(32a)가 나사산부(42)의 경사면(43)(43a)을 이루는 상부 끝단에 위치할때 이고, 안내돌부(32)(32a)는 경사면(43)(43a)의 상부 끝단에 형성되어진 걸림단턱(44)(44a)에 걸려 회전캡(40)의 회전이 멈추어지게 되며, 이때의 회전캡(40)의 회전은 반바퀴(1/2)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재단되어진 차단판(21)은 하부용기(30)의 수납공간 일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버팀간(33)에 의해 엇비슷한 상태로 놓여지게 되고,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로 수납된 서로 다른 내용물이 혼합되어지게 되는 것이며, 혼합되어진 내용물을 골고루 섞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회전캡은, 반바퀴만 돌리면 하부용기(30)의 상승이 완료되어져 종래 회전캡과 같이 회전캡을 여러번 돌려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하부용기가 상승완료된 상태에서 회전캡(40)이 헛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캡(40)에 의해서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에 수납된 서로 다른 내용물이 섞여지는 시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부로 배출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용기가 체결될 수 있게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용기(10)와,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를 구획할 수 있도록 상부용기
    (10)로 삽입 설치됨과 동시에 재단 개봉되어 상,하부로 각각 충전되어진 서로 다른 성분의 화장품 내지 약품의 혼합이 가능하게 하는 차단판(21)을 가지는 차단부재
    (20)와; 개구된 상부 주연부로 차단판(21)의 가장자리를 재단할 수 있도록된 톱니형재단날(31)을 가지고 있는 하부용기(30)가 차단부재(20) 내측으로 설치되어 회전캡(40)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어질 수 있게 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40)의 내저면으로 하부용기(30)의 하부가 삽입 위치하는 관체
    (41)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면에는 하부용기(30)의 안내돌부(32)(32a)가 얹혀질 수 있는 두께를 가지고 돌출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용기
    (30)의 안내돌부(32)(32a)가 얹혀져 상승되어지는 경사면(43)(43a)을 가지는 나사산부(42)(42a)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43)(43a)의 끝단으로 하부용기(30)의 안내돌부(32)(32a)가 걸림고정되는 걸림단턱(44)(44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이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하는 용기의 회전캡 구조.
KR20-2002-0030685U 2002-10-15 2002-10-15 성분이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하는 용기의 회전캡 구조 KR200305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685U KR200305757Y1 (ko) 2002-10-15 2002-10-15 성분이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하는 용기의 회전캡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685U KR200305757Y1 (ko) 2002-10-15 2002-10-15 성분이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하는 용기의 회전캡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757Y1 true KR200305757Y1 (ko) 2003-03-03

Family

ID=49331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685U KR200305757Y1 (ko) 2002-10-15 2002-10-15 성분이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하는 용기의 회전캡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7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30B1 (ko) 2011-11-21 2013-07-01 (주)연우 이종 액상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30B1 (ko) 2011-11-21 2013-07-01 (주)연우 이종 액상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6383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US5613623A (en) Two-chamber container
EP0279126A2 (en) Specimen collection apparatus
WO2001083313A2 (en) Device for storing and releasing a substance
DE2348496A1 (de) Behaeltersicherheitsverschluss
US20050279653A1 (en) Device for dispensing material into a container
US4799597A (en) Container and non-removable cover
DE3344412A1 (de) Dosierspender
US4875577A (en) Multichamber container
JPH0710172A (ja) 用時混合容器および用時混合方法
CN104981410A (zh) 组合容器和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305757Y1 (ko) 성분이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하는 용기의 회전캡 구조
US7175038B2 (en) Device for preventing removal of a lid
EP0133293B1 (de) Zwei-Komponenten-Packung
CN2271508Y (zh) 棘轮旋开式溶质与溶剂分隔瓶塞
KR200286135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KR200311483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 및 혼합 사용하는용기
WO1993008093A1 (de) Behälter aus kunststoff
WO2021099323A1 (de) Behälterverschluss
JP4409204B2 (ja) 混合物収納部を設けた混合容器
KR200286133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KR200266714Y1 (ko) 성분이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포장용 용기
JP3929621B2 (ja) 液体注出容器
KR200317687Y1 (ko) 이종 약제의 분리보관 및 혼합이 가능한 용기
KR100575209B1 (ko) 이중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