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133Y1 -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133Y1
KR200286133Y1 KR2020020016733U KR20020016733U KR200286133Y1 KR 200286133 Y1 KR200286133 Y1 KR 200286133Y1 KR 2020020016733 U KR2020020016733 U KR 2020020016733U KR 20020016733 U KR20020016733 U KR 20020016733U KR 200286133 Y1 KR200286133 Y1 KR 200286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fferent
different components
blocking memb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감섭
Original Assignee
(주)코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레드 filed Critical (주)코레드
Priority to KR2020020016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133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분말 또는 용액를 하나의 용기에 분리 보관 함과 동시에 사용시에 두종류의 분말 또는 용액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조립한 상태에서 사용처에 공급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내용물이 충진되어지는 용기의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를 조립한 상태에서 하부용기(30) 및 상부용기(10)에 내용물을 충진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A case cam use separayion charge and mix to powder or solution of different each otater ponenit}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분말 또는 용액를 하나의 용기에 분리 보관 함과 동시에 사용시에 두종류의 분말 또는 용액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용기를 조립한 상태에서 사용처에 공급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같은 계열의 의약품이나 화장품중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혼합 함으로서 보다 새로운 특성의 화장품과, 새로운 약효과를 얻을 수는 의약품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성질의 내용물을 혼합하였을때 새로운특성을 갖는 제품을 얻을 수 있으나, 두 종류의 내용물을 혼합한 상태에서 오랜시간이 경과할 경우 변질되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혼합 사용 함으로서 새로운 특성을 얻게되는 의약품이나 화장품을 각각의 용기를 이용하여 보관하게 되고, 사용을 할때 별도의 용기에 두종류의 내용물을 정적한 비율로 부어 혼합하여 사용하여 왔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용기에 서로 다른 성질의 의약품이나 화장품액 및 분말을 보관함으로서 혼합 사용에 따른 사용상의 번거러움이 있고, 내용물의 낭비가 많게 된다.
따라서, 제조사들은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는 두종류의 의약품이나 화장품 용액 또는 분말을 보다 편리하게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서로 다른 성질의 의약품이나 화장품의 용액 또는 분말을 각각 수용한 후 혼합 사용할 수 있도록된 용기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400호로 출원된바 있다.
상기한 용기는 같은 계열의 서로 다른 의약품이나 화장품 용액 및 분말을 각각 수용하여 보관함과 동시에 사용할 때 혼합 사용할 수 있도록되어 있으나,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내의 내용물이 혼합되어지는 부위가 연결관으로 국한되어 있어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지는 두종류의 내용물을 혼합하는데 오랜시간이 걸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연결관을 차단하고 있는 차단판을 개방시키는 가압부가 외력이 가해졌을때 소성 변형이 일어남과 동시에 하부용기의 저면이 되는 연결부재에 연결형성되어지는 것이어서 실용화시 제품 제작에 어려움이 있으며, 차단판을 가압부로 개방을 하기 위해서는 가압부로 씌워져 있는 보호캡을 벗긴후 가압부를 누르는 것이어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의 서로 다른 성분의 화장품을 보관하여 혼합 사용하도록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은 실용실안등록 제256383호로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착안한바 있다.
상기의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는, 회전캡을 회전 시킴에 따라 상승되어지는 하부용기에 의해 차단부재의 차단판이 제거되어져 상부용기와 하부용기내의 성분이 다른 두종류의 내용물 혼합이 이루어지게 한 것으로서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내용물을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성형 제작이 간편하여 실용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선등록 제256383호의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보완 개량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이 수납되어지는 용기를 조립한 상태로 사용처(화장품제조사)에 공급하여 사용처에서는 별도의 조립 작업 없이 서로다른 화장품을 충진시켜 제품을 출하할 수 있게 한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분리 단면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용기에 서로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이 분리 보관되어 있는 상태의 결합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용기에 서로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이 혼합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10 : 상부용기 11 : 배출장치
20 : 차단부재 21 : 차단판
22 : 안내홀 30 : 하부용기
31 : 톱니형재단날 32 : 안내돌부
33 : 개구부 40 : 회전캡
41 : 나선부 50 : 마개
51 : 오링 52 : 버팀간
60 : 보호캡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상부로 배출장치(11)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용기가 체결될 수 있게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용기(10)와,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를 구획할 수 있도록 상부용기(10)로 삽입 설치됨과 동시에 재단 개봉되어 상,하부로 각각 충전되어진 서로 다른 성분의 화장품의 혼합이 가능하게 하는 차단판(21)을 가지는 차단부재(20)와; 개구된 상부 주연부로 차단판(21)의 가장자리를 재단할 수 있도록된 톱니형재단날을 가지고 있는 하부용기가 차단부재(20) 내측으로 설치되어 회전캡(40)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어질 수 있게 구성한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하부 외주면 양쪽으로 형성된 안내돌부(32)가 차단부재(20)의 안내홀(22)에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됨과 동시에 회전캡(40)의 회전에 따라 나선부(41)를 따라 안내되어지게 차단부재(20)로 삽입 설치되어지고, 화장품을 투입시킬 수 있게 개구부(33)가 하부로 형성되어 있고 있고, 상부의 주연부로 톱니형재단날(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33)에는 외주면으로 오링(51)을 가지고 톱니형재단날(31)에 의해 재단되어지는 차단판(21)이 엇비슷한 상태로 놓여지게하는 버팀간(52)을 가지는 마개(50)가 삽입 설치되어지는 하부용기(30)와;
상기 회전캡(40)의 단턱진 하부 외주면으로 언더컷 체결되어서 하부용기(30)의 저부로 체결된 마개(50)가 이탈되어지지 않게 하는 보호캡(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분리 단면 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용기에 서로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이 분리 보관되어 있는 상태의 결합 단면도며, 도3은 본 고안의 용기에 서로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이 혼합되어지는 상태를 보인 결합 단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에 서로 다른 용액 또는 분말 상태의 화장품이나 의약품을 수납할 때에는 아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충전시키게 된다.
용기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상부용기(10)의 하부로 차단부재(20)를 밀어넣어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용기(10)로 삽입설치된 차단부재(20)는 언더컷형태로 조립 유지되어진다.
상부용기(10)의 하부로 차단부재(20)의 조립이 완료되어지면, 차단부재(20) 내측으로 톱니형재단날(31)이 상부로 위치하게하고 외측 양쪽으로 형성된 안내돌부
(32)가 안내홀(22)에 위치하도록하여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용기(10)에 하부용기(30)를 조립한 상태에서 회전캡(40)을 상부용기(10)의 단턱진 부분에 언더컷방식에 의해 조립하게되고, 이때 회전캡(40)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나선부(41) 저점에 하부용기(30)의 안내돌부(32)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의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의 조립은 용기 제조사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가 조립되어진 상태로 화장품제조사 또는 의약품제조사로 공급되어진 용기의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에 서로 다른 분말 또는 용액(이하 "내용물"이라 함)을 충진하여 출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용기의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에 내용물을 각각 충진할 때에는 하부용기(30)의 저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저부를 통해 내용물을 충진시킨 후, 저부에 외주면으로 오링(51)과 버팀간(52)을 가지는 마개(50)를 끼워 차단시킨다.
하부용기(30)의 저부로 마개(50)의 조립이 완료되면, 회전캡(40)의 단턱진 하부 외주면으로 언더컷 체결되도록 구성된 보호캡(60)을 씌우게 되고, 회전캡(40)에 고정되도록 씌워진 보호캡(60)은 하부용기(30)로 조립된 마개(50)에 밀착되어마개(50)가 안정되게 조립 유지되어질 수 있게 한다.(도2참조)
이상에서와 같이 하부용기(30)에 내용물을 충진 완료한 후, 상부용기(10)의 상부가 상부로 위치하도록 하여 하부용기(30)로 충진되어진 내용물과 다른 성분을 갖는 내용물을 충진시킨 다음 배출장치(11)로 체결함으로서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지는 내용물을 갖는 용기의 생산이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에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혼합 사용할 때에는 회전캡(40)을 돌리게 된다.
회전캡(40)이 회전되어지면 회전캡(40)의 나선부(41)의 저점에 위치한 하부용기(30)의 안내돌부(32)가 나선부(41)의 상사점으로 위치하게되고, 상사점으로 위치하는 안내돌부(32)는 차단부재(20)의 안내홀(22)를 따라 안내되어 회전 없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승하는 하부용기(30)는 상부 주연부로 톱니형재단날(31)을 가지고 있어 차단부재(20)의 차단판(21) 가장자리가 톱니형재단날(31)에 의해 재단되어지게 되고, 하부용기(30)의 톱니형재단날(31)에 의해 재단되어지는 차단판(21)은 마개(50)로 형성되어진 버팀간(52)에 의해 엇비슷한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도3참조)
이상에서와 같이 차단판(22)이 재단되어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가 도통되어지면, 용기를 흔들어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지는 두종류의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는,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를 조립한 상태에서 하부용기(30)에 내용물을 충진시킬 수 있어 충진에 따른 내용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30)를 조립한 상태에서 제품을 출하 하므로서 용기제조사의 제품 채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종래 개별부품 제공에 따른 포장 및 운반상의 어려움을 해소함은 물론, 부품손실를 최소화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상부로 배출장치(11)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용기가 체결될 수 있게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상부용기(10)와, 상부용기(10)와 하부용기를 구획할 수 있도록 상부용기(10)로 삽입 설치됨과 동시에 재단 개봉되어 상,하부로 각각 충전되어진 서로 다른 성분의 화장품의 혼합이 가능하게 하는 차단판(21)을 가지는 차단부재(20)와; 개구된 상부 주연부로 차단판(21)의 가장자리를 재단할 수 있도록된 톱니형재단날을 가지고 있는 하부용기가 차단부재(20) 내측으로 설치되어 회전캡(40)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어질 수 있게 구성한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에 있어서,
    하부 외주면 양쪽으로 형성된 안내돌부(32)가 차단부재(20)의 안내홀(22)에서 상,하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됨과 동시에 회전캡(40)의 회전에 따라 나선부(41)를 따라 안내되어지게 차단부재(20)로 삽입 설치되어지고, 화장품을 투입시킬 수 있게 개구부(33)가 하부로 형성되어 있고 있고, 상부의 주연부로 톱니형재단날(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33)에는 외주면으로 오링(51)을 가지고 톱니형재단날(31)에 의해 재단되어지는 차단판(21)이 엇비슷한 상태로 놓여지게하는 버팀간(52)을 가지는 마개(50)가 삽입 설치되어지는 하부용기(30)와;
    상기 회전캡(40)의 단턱진 하부 외주면으로 언더컷 체결되어서 하부용기(30)의 저부로 체결된 마개(50)가 이탈되어지지 않게 하는 보호캡(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 사용할 수 있는 용기.
KR2020020016733U 2002-05-31 2002-05-31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KR200286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733U KR200286133Y1 (ko) 2002-05-31 2002-05-31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733U KR200286133Y1 (ko) 2002-05-31 2002-05-31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133Y1 true KR200286133Y1 (ko) 2002-08-22

Family

ID=7312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733U KR200286133Y1 (ko) 2002-05-31 2002-05-31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1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40B1 (ko) * 2013-04-23 2014-10-1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함침을 위한 화장용기 충진장치와 충진방법 및 상기 충진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KR101983063B1 (ko) * 2018-04-12 2019-05-29 주식회사 탭코리아 이종 화장품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40B1 (ko) * 2013-04-23 2014-10-1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함침을 위한 화장용기 충진장치와 충진방법 및 상기 충진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화장용기
KR101983063B1 (ko) * 2018-04-12 2019-05-29 주식회사 탭코리아 이종 화장품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6383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US7249690B2 (en) Independent off-bottle dispensing closure
US3548562A (en) Method of producing a mixing package employing two separate containers
US5060791A (en) Two-chamber container
KR200384766Y1 (ko) 이종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US20060006077A1 (en) Dispensing closure with integral piercing unit
JP5399479B2 (ja) 独立した混合のための蓋コンテナ及びその使用方法
US5779110A (en) Package having closure assembly with concealed hinge
US4260065A (en) Unit liquid cup
GB2159490A (en) Combination container for two liquids
AU2006237711B2 (en) Closure arrangement
KR200286133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KR200286135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EP2938557A2 (en) Combination child-resistant package and collapsible tube, and method of using same
US3467282A (en) Mixing tube
JP4451278B2 (ja) 二剤混合容器
KR20130004528U (ko) 수납공간이 분리된 혼합용기
JPH1072053A (ja) 蓋部付キャップ
KR200347342Y1 (ko) 리필용기
KR200311483Y1 (ko)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 및 혼합 사용하는용기
WO1996000178A1 (en) Container
KR102619274B1 (ko) 음료 용기용 마개 조립체
RU197686U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KR101959070B1 (ko) 블로잉공법으로 성형되는 착탈 가능한 이중용기
KR200266717Y1 (ko) 성분이 다른 두 종류의 내용물을 분리 보관 및 혼합사용이 가능한 포장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