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346Y1 -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형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형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346Y1
KR200305346Y1 KR20-2002-0034991U KR20020034991U KR200305346Y1 KR 200305346 Y1 KR200305346 Y1 KR 200305346Y1 KR 20020034991 U KR20020034991 U KR 20020034991U KR 200305346 Y1 KR200305346 Y1 KR 200305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trap
protruding portion
cap
back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상구
Original Assignee
황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상구 filed Critical 황상구
Priority to KR20-2002-0034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P)형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P)형 배수트랩(10)의 일측방으로 결합되는 직관(100)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하향돌출부(20)가 형성되고, 이 하향돌출부(20)의 내측으로 봉수고임부(21)와 역류방지턱(22)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향돌출부(20)와 연설되는 수평관(40)에는 상향배수관(41)을 형성하며, 상기 하향돌출부(20)의 상부로 형성된 수직관(30)의 끝단끼움부(31)를 정밀가공하여 패킹캡(32)을 둘러 씌우며, 상기 하향돌출부(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세척구(23)에는 밀폐패킹(25)을 삽입한 밀폐캡(32)을 외부에서 씌워 결합한 것으로, 피(P)형 배수트랩(10)을 구성하는 수직관(30)의 끝단부에 둘러 씌운 패킹캡(32)과 수평관(40)에 형성된 상향배수관(41)에 의하여 봉수(27)의 수위를 높임으로써 하향돌출부(20)내에 봉수고임부(21)에 보다 많은 양의 봉수(27)를 담을 수 있어 냄새의 역류를 완전하게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작용을 더욱 원활하게 하며, 배수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이며, 세척구(23)의 외부에 형성된 밀폐캡(24)의 풀고 조임이 용이하여 세척작업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형 배수트랩{P-WATER TRAP PREVENTING STENCH BACKWARD}
본 고안은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P)형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P)형 배수트랩의 일측방으로 결합되는 직관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하향돌출부가 형성되고 이 하향돌출부의 내측으로 봉수고임부와 역류방지턱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향돌출부와 연설되는 수평관에는 상향배수관을 형성하며, 상기 하향돌출부의 상부로 형성된 수직관의 끝단끼움부를 정밀가공하여 패킹캡을 둘러 씌우며, 상기 하향돌출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세척구에는 밀폐패킹을 삽입한 밀폐캡을 외부에서 씌워 결합한 것으로, 피(P)형 배수트랩을 구성하는 수직관의 끝단부에 둘러 씌운 패킹캡과 수평관에 형성된 상향배수관에 의하여 봉수의 수위를 높임으로써 하향돌출부내에 보다 많은 양의 봉수를 담을 수 있어 냄새의 역류를 완전하게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이며, 세척구의 외부에 형성된 밀폐캡의 풀고 조임이 용이하여 세척작업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욕실이나 베란다 등과 같은 바닥면(106)에는 필수적으로 발생되는 폐수를 배수시키는 바닥 드레인용 피(P)형 배수트랩(10)이 설치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피(P)형 배수트랩(10)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욕실과 베란다 등과 같은 바닥면(106)에 매설되고, 베란다에서 발생된 폐수가 집수되는 집수구(102)와 상기 집수구(102)의 하단과 직관(100) 사이에 연결되는 하향돌출부(20)가 형성된 피(P)형 배수트랩(10)으로 결합 연결되어 집수된 폐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게 하는 피(P)형 배수트랩(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P)형 배수트랩(10)은 집수구(102)와 직관(100) 및 하향돌출부(20)와 수평관(40)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향돌출부(20)의 내부로는 역류방지턱(22)이 마련되어 있어 배수되는 폐수의 냄새가 상기 하향돌출부(20)에 형성된 봉수고임부(21)와 역류방지턱(22)에 의해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피(P)형 배수트랩(10)은 하향돌출부(20)의 일측으로 형성된 수평관(40)에 단순히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수평관(40)의 직경 하단부까지만 봉수(27)를 담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많은 양의 봉수(27)를 저장할 수가 없는 것으로써 직관(100)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역류되는 일이 잦았으며, 봉수(27) 양이 작아 배수되는 과정에서 소음이 매우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하향돌출부(20)의 하부로 형성된 세척구(23)에는 니플형 밀폐마개(23a) 구조로 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시에 녹이 생겨 탈착이 되지 않아 피(P)형 배수트랩(10)을 구성하는 하향돌출부(20)의 내부 세척을 할 수가 없어 피(P)형 배수트랩(10)을 교체하여야 하는 매우 큰 공사를 하여야 하는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피(P)형 배수트랩을 구성하는 하향돌출부와 연설되는 수평관에는 상향배수관을 형성하며, 상기 하향돌출부의 상부로 형성된 수직관의 끝단끼움부를 정밀가공하여 패킹캡을 둘러 씌우며, 상기 하향돌출부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세척구에는 밀폐패킹을 삽입한 밀폐캡을 외부에서 씌워 결합한 구성으로써, 피(P)형 배수트랩을 구성하는 수직관의 끝단부에 둘러 씌운 패킹캡과 수평관에 형성된 상향배수관에 의하여 봉수의 수위를 높임으로써 하향돌출부내에 보다 많은 양의 봉수를 담을 수 있어 냄새의 역류를 완전하게 방지함과 동시에 배수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현저하게 줄이며, 세척구의 외부에 형성된 밀폐캡의 풀고 조임이 용이하여 세척작업이 매우 용이한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P)형 배수트랩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드레인용 피(P)형 배수트랩의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피(P)형 배수트랩의 확대 단면도.
도3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바닥드레인용 피(P)형 배수트랩의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34 종래의 바닥드레인용 피(P)형 배수트랩의 사용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피(P)형 배수트랩 20 하향돌출부 21 봉수고임부
22 역류방지턱 23 세척구 23a 니플형 밀폐마개
24 밀폐캡 25 밀폐패킹 27 봉수
30 수직관 31 끝단끼움부 32 패킹캡
40 수평관 41 상향배수관 42 돌출턱
100 직관 102 집수구 104 욕조
106 바닥면 108 천장 109 클램프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드레인용 피(P)형 배수트랩의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피(P)형 배수트랩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이하 종래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로써 설명한다.
피(P)형 배수트랩(10)의 일측방으로 결합되는 직관(100)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하향돌출부(20)가 형성되고, 이 하향돌출부(20)의 내측으로 봉수고임부(21)와 역류방지턱(22)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향돌출부(20)와 연설되는 수평관(40)에는 상향배수관(41)을 형성하며, 상기 하향돌출부(20)의 상부로 형성된 수직관(30)의 끝단끼움부(31)를 정밀가공하여 패킹캡(32)을 둘러 씌우며, 상기 하향돌출부(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세척구(23)에는 밀폐패킹(25)을 삽입한 밀폐캡(24)을 외부에서 씌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욕실의 바닥면에 매설되어 상기 욕실의 욕조(104)에서 발생되는 폐수가 집수되는 집수구(102)와 상기 집수구(102)의 하단과 직관(100) 사이에 연결되어 집수구(102) 내로 집수된 폐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피(P)형 배수트랩(10)을 결합시켜 사용시에 냄새의 역류방지 및 배수의 원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피(P)형 배수트랩(10)을 구성하는 일측방으로 직관(100)보다 다소 높은 위치가 되도록 상향배수관(41)을 형성함으로써, 하향돌출부(20)의 봉수고임부(21)에 보다 많은 양의 봉수(27)가 고이도록 하여 역류방지턱(22)이 봉수(27)속으로 가능한 깊이 잠기도록 함과 동시에 봉수(27)의 수위를 높여 주어 집수구(102)측과 직관(100)측을 밀폐함으로써 직관(100)으로 부터 발생된 냄새가 집수구(102)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이폰작용을 가중시켜 배수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한다.
한편, 상기 하향돌출부(20)의 상부로 형성된 수직관(30)의 끝단끼움부(31)는 매우 정밀하도록 정밀가공하여 내측이 얇고 외측이 두꺼운 패킹캡(32)을 둘러 씌워 상기 집수구(102)의 하단에 끼움 결합시켜 밀폐기능을 더욱 확실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의 하향돌출부(20) 저부로 형성된 세척구(23)에는 외부로 나사산을 형성한 구조로 하여 밀폐패킹(25)을 삽입한 밀폐캡(24)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찰탈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하향돌출부(20)의 봉수고임부(21) 내부에 침전된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였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피(P)형 배수트랩(10)의 사용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로써, 피(P)형 배수트랩(10)을 구성하는 일측방으로 결합되는 직관(100)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하향돌출부(20)가 형성되고, 이 하향돌출부(20)의 내측으로 봉수고임부(21)와 역류방지턱(22)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향돌출부(20)와 연설되는 수평관(40)의 내부에 수평관(40)보다 돌출턱(42)을 형성하며, 상기 하향돌출부(20)의 상부로 형성된 수직관(30)의 끝단끼움부(31)를 정밀가공하여 패킹캡(32)을 둘러 씌우며, 상기 하향돌출부(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세척구(23)에는 밀폐패킹(25)을 삽입한 밀폐캡(24)을 외부에서 씌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관(40)의 내부로 돌출턱(42)을 형성함으로써, 하향돌출부(20)의 봉수고임부(21)에 보다 많은 양의 봉수(27)가 고이도록 하여 역류방지턱(22)이 봉수(27)속으로 가능한 깊이 잠기도록 함과 동시에 봉수(27)의 수위를 높여 주어 집수구(102)측과 직관(100)측을 밀폐함으로써 직관(100)으로 부터 발생된 냄새의 역류를 방지함과 사이폰작용을 가중시켜 배수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한다.
한편, 상기의 끝단끼움부(31)를 정밀가공하여 패킹캡(32)을 둘러 씌운 구조나 하향돌출부(20)의 하단에형성된 세척구(23)에 밀폐패킹(25)을 삽입한 밀폐캡(24)의 구조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피(P)형 배수트랩을 구성하는 수직관의 끝단부에 둘러 씌운 패킹캡과 수평관에 형성된 상향배수관 및 돌출턱에 의하여 봉수의 수위를 높임으로써 하향돌출부내에 보다 많은 양의 봉수를 담을 수 있어 냄새의 역류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배수시에 사이폰작용을 가중시켜 배수를 더욱 원활하게 하마과 동시에 소음을 줄일 수 잇으며, 또한 세척구의 외부에 형성된 밀폐캡의 풀고 조임이 용이하여 세척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피(P)형 배수트랩(10)의 일측방으로 결합되는 직관(100)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하향돌출부(20)가 형성되고, 이 하향돌출부(20)의 내측으로 봉수고임부(21)와 역류방지턱(22)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하향돌출부(20)와 연설되는 수평관(40)에 연설하여 상향배수관(4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형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관(40) 내경의 하부에 돌출턱(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형 배수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돌출부(2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세척구(23)는 밀폐패킹(25)을 삽입한 밀폐캡(24)을 외부에서 씌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형 배수트랩.
KR20-2002-0034991U 2002-11-22 2002-11-22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형 배수트랩 KR200305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991U KR200305346Y1 (ko) 2002-11-22 2002-11-22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형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991U KR200305346Y1 (ko) 2002-11-22 2002-11-22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형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346Y1 true KR200305346Y1 (ko) 2003-02-25

Family

ID=4933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991U KR200305346Y1 (ko) 2002-11-22 2002-11-22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형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3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309A (ko) 2015-08-20 2017-03-02 서영대 부력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309A (ko) 2015-08-20 2017-03-02 서영대 부력에 의해 개폐되는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7831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KR200305346Y1 (ko)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피형 배수트랩
KR20080081572A (ko)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JP5756938B2 (ja)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JP3934588B2 (ja) 排水トラップ構造
JP4337626B2 (ja) 排水トラップ
JP2012001907A (ja) 排水設備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KR100541670B1 (ko) 씽크대의 잔반처리 시공을 위한 배수구조
CN209798964U (zh) 一种螺旋排水地漏
KR101256571B1 (ko) 소변기의 배수장치
KR101109290B1 (ko) 복수 씽크대용 분리형 유트랩
KR20110007997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JP2007120022A (ja) 排水トラップ
KR200289231Y1 (ko)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바닥 드레인용 배수트랩
JP2008002217A (ja) 排水トラップ
JP4859365B2 (ja) 排水口構造
JP6194507B2 (ja) 封水式排水トラップ
JP4277083B2 (ja) 排水装置
KR102370423B1 (ko)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JPH03260230A (ja) ユニットバスの排水装置
JPH076225Y2 (ja) 排水用トラツプ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CN207092217U (zh) 一种卫生座便器
JP4364607B2 (ja) 浴室ユニットの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