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787Y1 -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 - Google Patents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787Y1
KR200303787Y1 KR20-2002-0034053U KR20020034053U KR200303787Y1 KR 200303787 Y1 KR200303787 Y1 KR 200303787Y1 KR 20020034053 U KR20020034053 U KR 20020034053U KR 200303787 Y1 KR200303787 Y1 KR 2003037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ater repellent
water
roller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0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광명
Original Assignee
김영수
김광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김광명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20-2002-00340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7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7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7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7/00Storing of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he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76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contact with a heated surfa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1/00Successive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고안은 원단(T)의 일면에 발수제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원단(T)이 다단롤(15)에 의하여 공급하는 공급부(10); 상기 원단(T)을 롤러(21)(25)사이로 이송하여 일면에 발수제를 도포하는 코팅부(20); 상기 코팅부(20)에서 이송되는 원단을 1차적으로 건조하며, 열매(35)를 내장하는 히팅롤러(30); 상기 히팅롤러(30)에서 이송되는 원단(T)을 고착하는 건조부(40); 및 상기 건조부(40)를 통과한 원단(T)을 압착롤러(45)사이로 이송하여 원단을 접는 폴딩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원단의 일면에만 발수제가 도포되도록 하여 그 기능성이 부가되는 원단을 안정적인 품질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Apparatus for producing waterproof at section the textile}
본 고안은 발수제가 도포된 원단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의 일면에만 발수제가 도포되도록 하여 그 기능성이 부가되는 원단을 생산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의류 중에서 특히 스포츠 의류에서는 대부분 발수가공으로 처리되는 실정으로 천연섬유, 합성 셀룰로오즈계 섬유와 같은 많은 섬유들은 흡수성이 우수하고 그 조직의 치밀성과는 관계없이 발수소재로 활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발수성섬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기능성외에 양호한 착용감을 얻기 위하여 종래의 합섬소재 일변도에서 합섬과 천연섬유와의 복합소재 특히 면과의 복합소재로 다양화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발수성을 지닌 원단을 제작하기 위해 발수 가공기 중에서 주요부는 원단에 발수제를 도포하는 코팅부로서 본 고안의 도 2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대부분 원단에 발수제를 도포하는 방식은 롤 프린트(roll print)방식을 택하고 있는데, 이는 저장탱크에 충진되는 발수제(W)에 한 쌍의 롤러가 완전히 담겨진 상태로 회동하게 되고, 원단(T)이 롤러사이로 이송하여 양면에 발수제를 도포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양면에 발수 가공 처리한 원단은 방수성이 뛰어날지 몰라도 인체에서 발생하는 땀을 원단이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예를 한번 들어보면 격렬한 운동을 하는 선수들의 체온은 평소시보다 급격히 상승하고 이때 선수들은 체온을 낮추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각 선수들의 기량을 저하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신체를 시원하게 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피부로부터 땀을 증발시키거나 원단에서 땀을 흡수시켜 피부의 열을 빼앗아 가는 것이다.
그러나, 양면에 발수 가공 처리한 원단은 땀을 제대로 흡수시키지 못하여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땀을 증발을 막게 된다. 이렇게 되면 마치 온실과도 같이 계속해서 체온이 높아지게 되고 결국은 기량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빼앗는 셈이 되어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
이외에도, 양면에 발수 가공 처리한 원단은 땀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평상복인 티-셔츠(T-shirt)와 같은 의류를 제작할 수가 없었다. 이는 발수 처리된 원단을 이용하여 의류를 제작할 때는 필히 내부에 발수가공을 하지 않은 원단으로 내피를 제작한 다음 의류를 제작해야 하는 등의 그에 따른 생산비용을 더 추가해야 하는 폐단이 따랐다. 이렇듯, 양면에 발수 처리한 원단으로는 속옷이나 여름철에 입는 얇은 티셔츠 등을 제작할 수 없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단의 일면에만 발수제가 도포되도록 하여 그 기능성이 부가되는 원단을 생산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수가공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수가공기의 주요부인 코팅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코팅과정을 거친 원단의 코팅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원단(T)의 일면에 발수제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원단(T)이 다단롤(15)에 의하여 공급하는 공급부(10); 상기 원단(T)을 롤러(21)(25)사이로 이송하여 일면에 발수제(W)를 도포하는 코팅부(20); 상기 코팅부(20)에서 이송되는 원단을 1차적으로 건조하며, 열매(35)를 내장하는 히팅롤러(30); 상기 히팅롤러(30)에서 이송되는 원단(T)을 고착하는 건조부(40); 및 상기 건조부(40)를 통과한 원단(T)을 압착롤러(45)사이로 이송하여 원단을 접는 폴딩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코팅부(20)는 발수제(W)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3)상에 개재된 롤러중 표면에 미세한 요철(21a)을 구비한 하부롤러(21)와, 내부에 열매(24)가 내장된 상태로 표면이 합성고무재(25a)로 구비한 상부롤러(25)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발수가공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본 고안은 원단(T)의 일면에 발수제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가공기에 관련된다. 본 고안에서는 원단(T)의 두께를 양분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면에 발수성을 부여하도록 일반적인 방법인 롤 프린트(roll print) 방식으로 발수가공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장치가 제안된다. 발수가공은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원단(T)에 소수성물질을 코팅하는 것으로, 발수제가 섬유표면을 엷게 덮은 상태로 고착되어도 공기나 수증기 등의 기체는 자유롭게 통과된다.
본 고안에 따른 원단(T)의 일면에 발수제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원단(T)이 다단롤(15)에 의하여 공급하는 공급부(10)와, 상기 원단(T)을 롤러(21)(25)사이로 이송하여 일면에 발수제(W)를 도포하는 코팅부(20)가 설치된다. 공급부(10)는 권취롤(11)에 권취된 원단(T)이 이송되면서 주름지는 것을 방지와 공급되는 원단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다단롤(15)이 설치된다. 코팅부(20)에서는 발수제(W)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3)에 롤러 중에서 하부롤러(21)는 반쯤 잠긴 상태로 설치되어 회전되고, 상부롤러(25)와 서로 인접하여 원단(T)을 맞물고 이송하면서 발수제(W)를 코팅하게 되는데, 그 상세한 구성과 작용은 후술하는 도 2를통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코팅부(20)에서 이송되는 원단을 1차적으로 건조하며, 열매(35)를 내장하는 히팅롤러(30)가 설치된다. 히팅롤러(30)는 2개의 롤러가 한 조로 이루어지고 롤러 내부에 열매(35)를 내장시켜 온도를 60∼70℃정도로 유지하여 원단이 70∼80%정도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히팅롤러(30)는 외부에 금속 코팅하여 원단(T)이 롤러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히팅롤러(30)에서 이송되는 원단(T)을 고착하는 건조부(40)와, 상기 건조부(40)를 통과한 원단(T)을 압착롤러(45)사이로 이송하여 원단을 접는 폴딩부(50)가 설치된다. 건조부(40)는 별도로 히터와 송풍팬을 설치하여 열풍 건조할 수도 있고, 이송용 롤러에 히터를 설치하여 가압 건조할 수도 있으며 원단(T)에 발수제(W)가 고착(固着)된다. 건조실(40)은 통상 설정된 풍속에서 최대의 건조효율을 얻기 위해 130℃의 열풍온도를 유지하면서 통과시키는 구조로 한다. 온도를 높이면 통과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는 하지만 건조가 미흡하고, 온도를 낮추면 제조공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폴딩부(50)는 압착롤러(45)로 사이로 원단이 이송되도록 하여 한번 더 원단(T)에 발수제(W)를 고착하고, 폴딩장치에 의해 원단이 차곡차곡 포개지도록 적재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발수가공기의 주요부인 코팅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코팅과정을 거친 원단의 코팅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코팅부(20)는 전술한 저장탱크(23), 롤러(21)(25)로 이루어진다.저장탱크(23)는 발수제(W)가 충진되고, 롤러(21)(25)중에서 하부롤러(21)는 저장탱크(23)의 발수제(W)에 반쯤 잠긴 상태로 설치되어 회전한다. 하부롤러(21)는 표면에 미세한 요철(21a)을 구비하는데, 하부롤러(21)는 가능한 설계가 허용하는 최대한의 직경으로 하고 그 표면상의 미세한 요철(21a)은 폭과 깊이를 최소한으로 유지한다. 요철(21a)은 롤러(21)의 축방향으로 전체의 길이에 걸치도록 하고, 외주면 상에 균일한 폭, 깊이 및 간격으로 형성한다. 요철(21a)의 폭과 깊이는 원단(10) 상에서 확산되는 발수제(W)의 양과 관계된다. 또한, 상부롤러(25)는 하부롤러(21)와 서로 인접하여 원단(T)을 맞물며 이송하면서 발수 코팅한다. 상부롤러(25)는 내부에 열매(24)가 내장되고, 표면이 합성고무재(25a)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롤러(25)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합성고무재(25a)는 내열성(耐熱性)과 내식성(耐蝕性)이 강한 합성고무재질로 형성한다.
도 3에서, 코팅부(20)의 롤러(21)(25)를 지나며 원단(T)의 일면이 발수제(W)로 코팅되는 과정이 나타난다. 하부롤러(21)의 미세한 요철(21a)에 수용된 발수제(W)는 원단(T)내에 묻어나면서 확산이 시작되고, 이와 동시에 상부롤러(22)의 열매(24)를 통해 발생된 열은 원단 내부로 발열하게 된다. 그러면 원단(T)내부로 확산되려는 발수제(W)는 열과 상충되어 더 이상 원단(T)내로 확산이 되지 않게 된다. 이로서, 원단(T)내에는 어느 정도의 공간(S)(발수제가 확산되지 않은 곳)이 생겨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러한 공간(S)을 통해서 인체에서 발생되는 땀 등을 제대로 흡수할 수 있어 의류의 내피 효과를 추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원단의 일면에만 발수제가 도포되도록 하여 그 기능성이 즉, 물이 내부로 스며들지 않고 외부의 비나 눈의 침투를 막아주는 방수성(Waterproof)과 외부의 바람을 완벽하게 차단시켜 주는 방풍성(Windproof)과, 땀흡수가 신속하여 착용감이 뛰어나고 언제나 쾌적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등의 기능성이 부가되는 원단을 안정적인 품질로 생산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원단의 일면에만 발수제가 도포되도록 하여 그 기능성이 부가되는 원단을 안정적인 품질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원단(T)의 일면에 발수제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가공기에 있어서:
    상기 원단(T)이 다단롤(15)에 의하여 공급하는 공급부(10);
    상기 원단(T)을 롤러(21)(25)사이로 이송하여 일면에 발수제(W)를 도포하는 코팅부(20);
    상기 코팅부(20)에서 이송되는 원단을 1차적으로 건조하며, 열매(35)를 내장하는 히팅롤러(30);
    상기 히팅롤러(30)에서 이송되는 원단(T)을 고착하는 건조부(40); 및
    상기 건조부(40)를 통과한 원단(T)을 압착롤러(45)사이로 이송하여 원단을 접는 폴딩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20)는 발수제(W)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3)상에 개재된 롤러중 표면에 미세한 요철(21a)을 구비한 하부롤러(21)와, 내부에 열매(24)가 내장된 상태로 표면이 합성고무재(25a)로 구비한 상부롤러(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가공공정들을 거쳐 원단(T)의 일면에만 발수제(W)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
KR20-2002-0034053U 2002-11-14 2002-11-14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 KR2003037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53U KR200303787Y1 (ko) 2002-11-14 2002-11-14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53U KR200303787Y1 (ko) 2002-11-14 2002-11-14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787Y1 true KR200303787Y1 (ko) 2003-02-11

Family

ID=4940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053U KR200303787Y1 (ko) 2002-11-14 2002-11-14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78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09B1 (ko) 2005-06-02 2006-07-24 (주)득금티앤씨 직물의 편발수 가공을 위한 가공 장치
KR100627138B1 (ko) * 2006-01-25 2006-09-25 신재옥 열차단 통풍 및 탈취 기능이 구비된 투습원단의 제조장치및 그 방법
KR100733139B1 (ko) * 2006-09-18 2007-06-28 한국섬유기술연구소 공기분사장치가 부착된 맹글을 이용한 직편성물의편면염색가공 방법
KR101073675B1 (ko) * 2008-10-31 2011-10-14 한국섬유기술연구소 공기분사장치가 부착된 저경도 고무 맹글을 이용한 직편성물의 편면처리장치
KR101158325B1 (ko) * 2011-09-26 2012-06-26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유리섬유매트의 발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009B1 (ko) 2005-06-02 2006-07-24 (주)득금티앤씨 직물의 편발수 가공을 위한 가공 장치
KR100627138B1 (ko) * 2006-01-25 2006-09-25 신재옥 열차단 통풍 및 탈취 기능이 구비된 투습원단의 제조장치및 그 방법
KR100733139B1 (ko) * 2006-09-18 2007-06-28 한국섬유기술연구소 공기분사장치가 부착된 맹글을 이용한 직편성물의편면염색가공 방법
KR101073675B1 (ko) * 2008-10-31 2011-10-14 한국섬유기술연구소 공기분사장치가 부착된 저경도 고무 맹글을 이용한 직편성물의 편면처리장치
KR101158325B1 (ko) * 2011-09-26 2012-06-26 주식회사 세운티.엔.에스 유리섬유매트의 발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udhury Principles of textile finishing
ES2266285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deshumidificar prendas.
KR101108043B1 (ko) 옷장형 건조기
KR100453214B1 (ko) 발수/흡습제가 도포된 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제조된 원단
CN207391787U (zh) 一种纺织面料整烫装置
KR101612232B1 (ko) 레저용 원단,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레저모자
KR200303787Y1 (ko) 원단의 단면 발수가공기
US6041517A (en) Method and related blowing model for drying and synchronously ironing out clothing by using a blowing model
CN205741454U (zh) 一种防汗渍织物结构
KR100623071B1 (ko) 원단의 발수가공 방법
CN206880097U (zh) 一种加热速干t恤
ES2201322T3 (es) Decatizado a presion de tejidos de forma continua y fijado de conjuntos de fibra cortada.
KR20140055436A (ko) 논-필링 다 기능성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제조방법
JP3965416B1 (ja) 布帛への樹脂加工に使用するドクターブレード及びそれを使用した樹脂加工法
CN208133752U (zh) 一种新型条纹罗马布
JP2609555B2 (ja) 織物、編物のような帯状繊維物品を連続して耐久性蒸絨及び形態固定する方法
KR100951429B1 (ko) 표면에 요철주름 무늬가 형성되는 자연섬유 줄누비직포의 제조방법
CN108796772A (zh) 吸热保暖牛仔面料及其生产工艺
CN107401906A (zh) 一种纺织布节能烘干装置
CN206157396U (zh) 一种西服面料的定型机高效蒸汽箱
CN105113270A (zh) 防皱抗污超细纤维革及其制造方法
CN207095226U (zh) 一种纺织布节能烘干装置
JP6191891B2 (ja) 撥水性編成原緞製作方法及び撥水性編成原緞
KR200274181Y1 (ko) 발수/흡습제가 도포된 원단의 제조장치 및 그에 의해제조된 원단
CN208558491U (zh) 一种防钻绒羽绒制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