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513Y1 - 문자방송용데이터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문자방송용데이터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513Y1
KR200303513Y1 KR2019970017682U KR19970017682U KR200303513Y1 KR 200303513 Y1 KR200303513 Y1 KR 200303513Y1 KR 2019970017682 U KR2019970017682 U KR 2019970017682U KR 19970017682 U KR19970017682 U KR 19970017682U KR 200303513 Y1 KR200303513 Y1 KR 200303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voice
text
broadcast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4522U (ko
Inventor
박성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17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51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5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5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5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6Transformation of speech into a non-audible representation, e.g. speech visualisation or speech processing for tactile aids
    • G10L21/10Transforming into visibl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람의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그 내용을 식별한 다음 문자화하여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음성 처리부의 문자화된 데이터를 문자 방송에 적합한 포맷(format)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포맷 변환부로 구성된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의 음성을 인식 및 처리하여 문자 방송에 적합한 포맷의 문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 방송을 위한 문자열의 음성 입력이 가능하여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의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어 1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최대 문자의 개수가 종래 기술보다 증가되고, 키 조작이 필요없어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Apparatus for inputting character data to television broadcasting video data}
본 고안은 텔레비전 방송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자 방송용 데이터의 음성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문자키가 구비된 키패드(51)와, 상기 키패드(51)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를 입력받아 문자 방송에 적합한 포맷(format)의 문자 데이터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문자 데이터 발생기(5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의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방송 기술자가 키패드(51)에 구비된 각종 문자키를 조작하여 문자 방송을 위한 문자열을 입력시키면 문자 데이터 발생기(52)가 상기 키패드(51)로부터 키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해당되는 문자 데이터를 발생시켜 멀티플렉서(2, multiplexer)로 출력한다.
한편, 방송국측의 마이컴(2)은 문자 방송용 데이터의 입력 여부를 감지하고 있다가 문자 방송용 데이터가 입력되면 1 화면 분량의 텔레비전 방송용 영상 데이터 중 문자 데이터가 삽입될 위치를 확인한 다음 현재 멀티플렉서(1)와 주파수 변환기(3)와 송신용 안테나(4)를 차례로 거쳐 전송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의 동기신호가 문자 데이터의 삽입을 위해 설정된 위치에 해당되면 상기 멀티플렉서(1)를 제어하여 영상 데이터대신 문자 데이터 발생기(52)에서 출력되는 문자 방송용 데이터가 상기 주파수 변환기(3)와 송신용 안테나(4)를 차례로 거쳐 각 가정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방송국측의 마이컴(1)은 문자 데이터의 삽입이 완료되면 다시 멀티플렉서(12)를 제어하여 텔레비전 방송용 영상 데이터가 주파수 변환기(13)에 입력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에서 문자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의 수직 동기신호의블랭킹(blanking) 구간동안 삽입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는 방송 기술자가 키패드에 구비된 문자키를 직접 조작해야만 문자 방송을 위한 문자열의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키 조작에 숙련된 사람이 아니면 정해진 짧은 시간(영상 데이터의 수직 동기신호의 블랭킹 구간) 내에 원하는 문자열을 입력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키 조작에 능숙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많은 양의 문자를 단시간내에 모두 입력시키기는 어려워 1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최대 문자의 개수가 작은수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의 음성을 인식 및 처리하여 문자 방송에 적합한 포맷의 문자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의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주변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주변 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멀티플렉서(multiplexer) 2: 마이컴
3: 주파수 변환기 11: 마이크로폰
12: 음성 처리부 13: 포맷(format) 변환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람의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그 내용을 식별한 다음 문자화하여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음성 처리부의 문자화된 데이터를 문자 방송에 적합한 포맷(format)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포맷 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람의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11)과, 상기 마이크로폰(11)의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그 내용을 식별한 다음 문자화하여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12)와, 상기 음성 처리부(12)의 문자화된 데이터를 문자 방송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포맷 변환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의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방송 기술자가 마이크로폰(11)에 입을 대고 문자 방송을 위한 문자열을 말하면 마이크로폰(11)은 방송 기술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음성 처리부(12)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음성 처리부(12)는 마이크로폰(11)의 전기적인 음성신호가 입력되면 방송 기술자의 음성을 식별한 다음 문자화하여 문자화된 데이터를 포맷 변환부(13)로 출력하고, 상기 포맷 변환부(13)는 음성 처리부(12)의 문자화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문자 방송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시켜 방송국측의 멀티플렉서(1)로 출력한다.
한편, 방송국측의 마이컴(2)은 종래 기술과 같이 문자 방송용 데이터의 입력여부를 감지하고 있다가 문자 방송용 데이터가 입력되면 1 화면 분량의 텔레비전 방송용 영상 데이터 중 문자 데이터가 삽입될 위치를 확인한 다음 현재 멀티플렉서(1)와 주파수 변환기(3)와 송신용 안테나(4)를 차례로 거쳐 전송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의 동기신호가 문자 데이터의 삽입을 위해 설정된 위치에 해당되면 상기 멀티플렉서(1)를 제어하여 영상 데이터대신 포맷 변환기(13)에서 출력되는 문자 방송용 데이터가 상기 주파수 변환기(3)와 송신용 안테나(4)를 차례로 거쳐 각 가정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는 사람의 음성을 인식 및 처리하여 문자 방송에 적합한 포맷의 문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 방송을 위한 문자열의 음성 입력이 가능하여 숙련된 기술자가 아니더라도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의 문자를 입력시킬 수 있어 1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최대 문자의 개수가 종래 기술보다 증가되고, 키 조작이 필요없어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사람의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의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그 내용을 식별한 다음 문자화하고 상기 문자화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 처리부와, 상기 음성 처리부의 문자화된 데이터를 문자 방송에 적합한 포맷(format)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포맷 변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방송용 데이터 입력장치.
KR2019970017682U 1997-07-04 1997-07-04 문자방송용데이터입력장치 KR200303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682U KR200303513Y1 (ko) 1997-07-04 1997-07-04 문자방송용데이터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682U KR200303513Y1 (ko) 1997-07-04 1997-07-04 문자방송용데이터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522U KR19990004522U (ko) 1999-02-05
KR200303513Y1 true KR200303513Y1 (ko) 2003-03-29

Family

ID=49400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682U KR200303513Y1 (ko) 1997-07-04 1997-07-04 문자방송용데이터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5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522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3916C (zh) 视频显示系统和视频显示控制装置
RU97119737A (ru)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визуального отображения речевых сообщений
ID22440A (id) Peralatan pemroses sinyal
WO1995027361A3 (en) Method of operating an interactive image display system and image source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200303513Y1 (ko) 문자방송용데이터입력장치
JP2932027B2 (ja) テレビ電話装置
EP1037505A3 (en) Audio equipment and method of displaying operation thereof
JPH11327867A (ja) 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を用いたパソコン制御装置
KR100367597B1 (ko)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JP3348831B2 (ja) 文字併用音声通信システム、通信サーバ装置、及び通信表示装置
KR0132363B1 (ko) 이중음 다주파 톤(DTMF tone)을 이용한 문자 데이터 송수신 장치
JP3071604U (ja) 携帯電話/テレビ間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KR20000038852A (ko)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KR100338215B1 (ko) 전화기기능을갖는디지털방송수신기
KR19990032151A (ko) 문자전송장치를 가진 화상회의 시스템
KR100316392B1 (ko) 네트워크 및 퍼스널컴퓨터를 이용한 통화처리 및 녹음시스템
KR100221015B1 (ko) 인터넷 텔레비전 수상기
JPH06311447A (ja) 手話通訳装置
KR2001001932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 변환 시스템
JPH03106276A (ja) オンスクリーン制御装置
KR200313426Y1 (ko) 이동통신 단말기 착탈형 원격제어 장치
KR970019600A (ko) 화상회의 기능을 구비한 tv
KR19980016779A (ko) 게임 기능을 갖는 화상전화장치
JPS6273852A (ja) 通信システム用アダプタ
KR20060018105A (ko) 언어장애자를 위한 데이터 변환 및 전송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