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8852A -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8852A
KR20000038852A KR1019980053983A KR19980053983A KR20000038852A KR 20000038852 A KR20000038852 A KR 20000038852A KR 1019980053983 A KR1019980053983 A KR 1019980053983A KR 19980053983 A KR19980053983 A KR 19980053983A KR 20000038852 A KR20000038852 A KR 20000038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infrared sensor
mobile phone
pho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3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9048B1 (ko
Inventor
이동하
김홍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53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9048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9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9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전화 단말기에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원격제어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이동전화 단말기를 통해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동전화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를 감지하여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 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클럭을 발생하여 카운트한 후 파형 정형을 통해 적외선 센서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이 적외선 센서 구동신호에 의해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여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로 해당 명령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이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통해서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하거나 채널 선택 및 음량 조절을 용이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전화 단말기에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원격제어기능, 즉 리모콘(Remote control ; Remocon)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이동전화 단말기를 통해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전화 단말기는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Digital Cellular System ; DCS), 개인 휴대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 PCS), 아이엠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 IMT)-2000망 시스템 등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중 또는 정지중에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정보나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며, 휴대용 단말기와 차량용 단말기 및 고정휴대 겸용 단말기 등이 있다.
이러한 이동전화 단말기는 사용자가 쉽게 휴대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보 또는 음성을 주고받음으로써 실제 생활에 있어 개인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한편, 텔레비젼, 오디오, 비디오, 개인용 컴퓨터 등 가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원격제어장치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 전기 및 전자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하거나 채널 선택 또는 음량 조절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에는 주파수 발진회로와 적외선 센서 및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가 구성되어 있어, 각 전기 및 전자기기에 해당하는 별도의 적외선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각 전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각각의 전기 및 전자기기마다 별도의 원격제어장치가 필요하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해당하는 원격제어장치를 찾아 사용해야 하는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전화 단말기에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원격제어기능을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이동전화 단말기를 통해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을 용이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한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간략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신호 감지부 15 : 마이크로 프로세서
20 : MSM 30 :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
31 : 클럭 발생부 32 : 카운터
33 : 파형 정형부 34 : 적외선 센서
40 : 전기 및 전자기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를 감지하여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 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클럭을 발생하여 카운트한 후 파형 정형을 통해 적외선 센서 구동신호를 출력하며, 이 적외선 센서 구동신호에 의해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여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로 해당 명령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간략한 블록 구성도로서, 이동전화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를 감지하는 키신호 감지부(10)와, 상기 키신호 감지부(1)에서 감지된 키신호에 따라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15)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출력되는 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적외선 센서를 구동시키는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30)와, 상기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3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40)로 구성된다.
상기 키 감지부(1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5)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이동국 모뎀(Mobile Station Modem ; 이하, 'MSM'이라 칭함)(20)에 내장되는 구성으로서, MSM(20)은 입력되는 키신호를 인식하여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30)로 전달하기 위한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의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30)의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출력되는 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 주기의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31)와, 상기 클럭 발생부(31)에서 발생되는 클럭을 카운트하여 하나의 클럭신호만을 출력하는 카운터(32)와, 상기 카운터(32)를 통해 출력된 클럭신호를 정형화하여 왜곡을 감쇄시키는 파형 정형부(33)와, 상기 파형 정형부(33)를 통해 입력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전기 및 전자기기(40)로 해당 명령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센서(3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클럭 발생부(31)는 이동전화 단말기에 사용하는 수정 발진자를 대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30)가 더욱 간단하게 구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MSM(20)내의 키신호 감지부(10)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를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키신호는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40)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해당 명령에 따른 신호를 말한다.
이어, MSM(20)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5)는 상기 키신호 감지부(10)에서 감지된 키신호를 인식하여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클럭 제어신호를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30)로 출력한다.
이후,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30)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출력되는 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적외선 센서(3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여 적외선 센서(34)를 구동시킨다.
즉,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30)내의 클럭 발생부(31)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출력되는 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 주기의 클럭을 발생한다.
그리고, 카운터(32)는 상기 클럭 발생부(31)에서 발생되는 클럭을 카운트하여 하나의 클럭신호만을 출력하고, 파형 정형부(33)는 상기 카운터(32)를 통해 왜곡되어 출력되는 클럭신호를 정형화하여 왜곡을 감쇄시킨다.
이때, 카운터(32)는 상기 클럭 발생부(31)에서 발생되는 클럭을 인식하기 위해 시간 지연을 통해 하나의 클럭신호만을 추출해 내게 되는데, 예를 들면 16진 카운터의 경우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16개의 신호로 구분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어, 적외선 센서(34)가 상기 파형 정형부(33)를 통해 입력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전기 및 전자기기(40)로 해당 명령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40)는 상기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30)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신호에 따라 원격제어되어 동작하게 된다.
이상,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하는 이동전화 단말기를 통해서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하거나 채널 선택 및 음량 조절을 용이하게 원격제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MSM(20)내에 내장되어 이동전화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를 감지하는 키신호 감지부(10)와, MSM(20)내에 내장되어 상기 키신호 감지부(1)에서 감지된 키신호에 따라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클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5)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출력되는 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적외선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고, 이 발생된 구동신호에 따라 적외선 센서를 구동시킴으로써 각종 전기 및 전자기기(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 구동회로부(30)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5)에서 출력되는 클럭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 주기의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 발생부(31)와, 상기 클럭 발생부(31)에서 발생되는 클럭을 카운트하여 하나의 클럭신호만을 출력하는 카운터(32)와, 상기 카운터(32)를 통해 출력된 클럭신호를 정형화하여 왜곡을 감쇄시키는 파형 정형부(33)와, 상기 파형 정형부(33)를 통해 입력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전기 및 전자기기(40)로 해당 명령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출력하는 적외선 센서(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부(33)가 이동전화 단말기에 사용하는 수정 발진자를 대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KR10-1998-0053983A 1998-12-09 1998-12-09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KR100499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983A KR100499048B1 (ko) 1998-12-09 1998-12-09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3983A KR100499048B1 (ko) 1998-12-09 1998-12-09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852A true KR20000038852A (ko) 2000-07-05
KR100499048B1 KR100499048B1 (ko) 2005-09-30

Family

ID=19562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3983A KR100499048B1 (ko) 1998-12-09 1998-12-09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90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013A (ko) * 2001-04-10 2002-10-23 멀티웨이시스템 주식회사 적외선 통합 리모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07129A (ko) * 2002-07-16 2004-01-24 임창수 통합리모콘기능을 가진 휴대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0482691B1 (ko) * 2002-08-22 2005-04-13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KR100686114B1 (ko) * 2005-03-30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50371B1 (ko) * 2000-08-21 2008-08-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처리시스템,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정보처리프로그램 및 원격제어단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073A (ko) * 1997-05-30 1998-12-05 배순훈 무선 전화기 기능의 티브이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371B1 (ko) * 2000-08-21 2008-08-0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처리시스템,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정보처리프로그램 및 원격제어단말
KR20020080013A (ko) * 2001-04-10 2002-10-23 멀티웨이시스템 주식회사 적외선 통합 리모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07129A (ko) * 2002-07-16 2004-01-24 임창수 통합리모콘기능을 가진 휴대폰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0482691B1 (ko) * 2002-08-22 2005-04-13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KR100686114B1 (ko) * 2005-03-30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9048B1 (ko) 200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3624A (en) Digital cordless telephone with remote control feature
US7030752B2 (en) Universal gateway module for interfacing a security system control to external peripheral devices
CN101277323A (zh) 用于移动通信设备的多按钮控制耳机
KR100499048B1 (ko)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EP0713316A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510122B1 (ko) 음성인식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 기기 제어방법
EP2490195A2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products
WO2002067404A8 (fr) Dispositif de communication sans fil et procede de commutation d'alimentation
KR200189186Y1 (ko) 인터넷 티브이의 신호입력장치
KR960004724B1 (ko) 문자전송전화기
KR19990076066A (ko) 음성인식 컴퓨터용 무선입출력장치
KR20060084546A (ko) 원격 음성인식 제어 시스템
JP2004146899A (ja) トーンジェネレータを利用した信号入力装置
KR200325714Y1 (ko) 다기능 휴대폰
KR200313426Y1 (ko) 이동통신 단말기 착탈형 원격제어 장치
KR200303571Y1 (ko) 음성변조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KR0151188B1 (ko)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JPH062187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20089637A (ko) 리모콘 겸용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930006420B1 (ko) 인터폰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900007064B1 (ko) Tv 원격제어가 가능한 전화기의 핸드셋 장치
KR100501234B1 (ko) 음성변조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JP200651548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制御部と外部周辺デバイスのインターフェースをとるユニバーサル・ゲートウェイ・モジュール
JPH11186967A (ja) 赤外線通信装置
JPH07203537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