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691B1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691B1
KR100482691B1 KR10-2002-0049732A KR20020049732A KR100482691B1 KR 100482691 B1 KR100482691 B1 KR 100482691B1 KR 20020049732 A KR20020049732 A KR 20020049732A KR 100482691 B1 KR100482691 B1 KR 10048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requency
targ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589A (ko
Inventor
반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2-0049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6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6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1Voice in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장 부품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다양한 원격 조정 기기의 기능을 통합하여 수용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국부 발진 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와, 시스템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클럭 발생기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음성 처리부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와;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SM(Mobile Station Modem)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원격 조정 대상 기기의 동작 상태 관련 주파수와 상기 VCO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IF(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시켜 주는 다운 컨버터와; 상기 클럭 발생기의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의 원격 조정에 필요한 변조된 IF를 생성하며, 상기 다운 컨버터에서 변환된 IF로부터 불요파를 제거한 후에 신호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며, 해당 동작 상태를 상기 MSM을 통해 상기 LCD에 표시하거나 상기 음성 출력부를 거쳐 상기 스피커로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VCO의 국부 발진 주파수에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IF를 하이 인젝션 믹싱을 수행하여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로 변조하는 업 컨버터와; 상기 업 컨버터에서 변조된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를 전력 증폭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중복되는 부분(Parts)을 공용화하여 비용 절감 및 고급스럽고 편리한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성상 기본적으로 개인의 ID(Identifier)를 내장하고 있어 보안 장치 또는 결제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보다 유용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 Apparatu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장 부품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다양한 원격 조정 기기의 기능을 통합하여 수용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폰, 셀룰라 폰(Cellular 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원격 시동기, RF(Radio Frequency) 도어락 키, 교통 카드 등의 다양한 무선 조정 또는 정보 기기를 휴대하고 있는데, 이런 종류의 무선 기기는 크게 접촉식 RF 기기와 원격 조정 기기로 나눌 수 있다.
해당 접촉식 RF 기기에는 주택용 도어락 키, 교통 카드 등이 있는데, IC(Integrated Circuit) 형태의 칩을 접촉시켜 정보를 전달해 주며, 카드나 키 내의 동력은 무동력이고 RF를 통해 최소한의 동력을 얻어 동작을 수행하나, 자체 동력을 가진 원격 제어기로 대체할 수 있다.
해당 원격 조정 기기에는 차량 원격 시동기, 원격 도어락 등이 있는데, 해당 원격 시동기는 차량의 기능을 원격으로 조정하고 차량에 탑재된 무선 모듈 및 제어기에 의해 수행된 차량 기능의 상태를 수신하고 AM 또는 FM 방식의 특정한 주파수대를 사용하며, 해당 원격 도어락은 도어의 개폐에 사용되고 주로 수백 KHz의 전파를 사용한다.
그런데, 사람들이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 개의 무선 기기를 휴대하게 되므로 휴대의 불편함이 증가되고 분실의 위험성이 증가되며, 또한 다양한 무선 기기에 대한 중복 자원의 투자로 산업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것들을 통합할 수 있는 기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비퍼(Beeper)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조정 장치의 경우에는 기지국 및 중계기뿐만 아니라 전체 시스템이 부하를 가중하게 되고 정보의 유출 가능성이 크며, 또한 네트워크의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원격 조정의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광역 네트워크를 이용한 것이 아닌 일대일의 정보 전달을 수행하는 무선 기기가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장 부품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다양한 원격 조정 기기의 기능을 통합하여 수용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RF 신호를 발생하여 근거리 또는 중거리에서 작동하는 원격 기기의 기능을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장 부품을 이용하여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며, 중복되는 부분(Parts)을 공용화하여 비용 절감 및 고급스럽고 편리한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휴대용 무선 기기들의 기능을 이동 통신 단말기에 통합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성상 기본적으로 개인의 ID(Identifier)를 내장하고 있어 보안 장치 또는 결제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보다 유용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의 생성 및 변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는,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국부 발진 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와, 시스템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클럭 발생기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음성 처리부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와;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SM(Mobile Station Modem)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원격 조정 대상 기기의 동작 상태 관련 주파수와 상기 VCO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IF(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시켜 주는 다운 컨버터와; 상기 클럭 발생기의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의 원격 조정에 필요한 변조된 IF를 생성하며, 상기 다운 컨버터에서 변환된 IF로부터 불요파를 제거한 후에 신호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며, 해당 동작 상태를 상기 MSM을 통해 상기 LCD에 표시하거나 상기 음성 출력부를 거쳐 상기 스피커로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VCO의 국부 발진 주파수에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IF를 하이 인젝션 믹싱을 수행하여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로 변조하는 업 컨버터와; 상기 업 컨버터에서 변조된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를 전력 증폭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폭부는 입력측과 출력측에 스위치를 구현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수행과는 별도의 신호 경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다르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는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당 분석된 결과에 따라 원격 조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 내의 각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된 동작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 상태 관련 주파수를 생성시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원격 조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정의된 음성의 입력을 상기 MSM에서 감지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음성과 비교하여 원격 조정 기능 수행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의 원격 조정에 필요한 변조된 IF를 생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현된 원격 조정 모듈(20)과, 차량, 주택 도어 등과 같은 원격 조정 대상이 되는 기기(40)에 장착된 송수신 모듈(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격 조정 모듈(20)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서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서 원격 조정에 필요한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를 생성시켜 상기 송수신 모듈(30) 측으로 송신해 주며, 상기 송수신 모듈(30)로부터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의 동작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 상태 관련 주파수를 상기 송수신 모듈(3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MSM을 통해 사용자에게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의 동작 상태를 알려 준다.
상기 송수신 모듈(30)은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를 분석하여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의 원격 조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 내에 구비되어 있는 각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된 동작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 상태 관련 주파수를 생성시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해 준다.
한편, 상기 원격 조정 모듈(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와, 업 컨버터(22)와, 증폭부(23)와, 다운 컨버터(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21)는 예를 들어, 제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클럭 발생기로부터 수신되는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 기능에 알맞은 변조된 IF를 생성시켜 상기 업 컨버터(22)로 출력하며, 상기 다운 컨버터(24)로부터 인가되는 IF에서 불요파를 제거한 후에 신호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MSM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LCD에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주거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의 동작 상태를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 주도록 한다.
상기 업 컨버터(22)는 예를 들어, 믹서(Mixer)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로부터 수신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에 상기 제어부(21)로부터 수신받은 IF를 하이 인젝션 믹싱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에 장착된 송수신 모듈(30)로 송출할 주파수로 변조한 후에, 해당 송출 주파수를 상기 증폭부(23)에 인가해 준다.
상기 증폭부(23)는 예를 들어, PA(Power Amplifier)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업 컨버터(22)로부터 인가받은 송출 주파수(즉,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를 전력 증폭시켜 준 후에, 해당 증폭된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에 장착된 송수신 모듈(30)로 전송해 준다.
상기 다운 컨버터(24)는 예를 들어, 믹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에 장착된 송수신 모듈(30)로부터 전송되는 송출 주파수(즉, 동작 상태 관련 주파수)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VCO로부터 수신되는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IF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21)에 인가해 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차량, 주택 도어 등과 같은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에 대해 원격 조정 기능(예를 들어, 차량의 원격 시동, 주택의 원격 도어락 등)의 수행을 요구하기 위해서,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키패드 중에서 원격 조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정의된 키를 누르게 되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MSM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원격 조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원격 조정 모듈(2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21)에게 통보해 준다.
다르게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 기능 수행을 요구할 수도 있는데, 즉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를 통해 원격 조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정의된 음성을 입력하게 되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MSM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음성과 비교한 후에 원격 조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원격 조정 모듈(2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21)에게 통보해 준다.
이에,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MSM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원격 조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창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LCD에 표시해 준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클럭 발생기로부터 시스템 클럭을 수신받고 해당 수신받은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원격 조정 기능에 알맞은 변조된 IF를 생성시켜 상기 원격 조정 모듈(2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업 컨버터(22)로 출력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업 컨버터(22)는 상기 제어부(21)로부터 IF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VCO로부터 국부 발진 주파수를 수신하며, 해당 수신받은 국부 발진 주파수에 해당 수신받은 IF를 하이 인젝션 믹싱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에 장착된 송수신 모듈(30)로 송출할 주파수로 변조한 후에, 해당 송출 주파수(예를 들어, 850(MHz)대의 주파수)를 증폭부(23)에 인가해 준다.
이 때, 상기 송출 주파수는 원격 조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System)의 주파수대와 겹치지 않도록 해당 AMPS의 수신부와 송신부 사이의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하며, 또는 적정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VCO와 적절한 IF로 생성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증폭부(23)는 상기 업 컨버터(22)로부터 송출 주파수를 인가받아 해당 인가받은 송출 주파수를 멀리 떨어져 있는 송수신 모듈(30)까지 전송할 수 있도록 전력 증폭시켜 준 후에, 해당 증폭된 송출 주파수(즉,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송수신 모듈(30)로 전송해 준다.
이 때, 상기 증폭부(23)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증폭기를 사용하면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입력측과 출력측에 스위치를 구현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의 기능 수행과는 별도의 신호 경로를 만들어 주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송수신 모듈(30)은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안테나를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주파수를 증폭시킨 후에 추후 신호 처리를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당 증폭된 주파수와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IF로 변환시키며, 해당 IF를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필터를 통해 불요파를 제거해 주며, 해당 필터링된 IF를 신호 분석하여 어떤 원격 조정 기능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부에 알려 준다.
이에,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원격 조정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송수신 모듈(30)에서 분석한 원격 조정 기능이 차량 원격 시동인 경우에는 스타터 모터를 구동시켜 차량의 시동을 걸리게 해 주며, 또한 다른 예로 주택의 원격 도어락의 경우에는 자물쇠를 구동시켜 도어를 잠그도록 해 준다.
그리고,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는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각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된 자신의 동작 상태(예를 들어, 차량 시동 상태, 차량 배터리 방전 상태, 차량 외부 충격 감지 상태, 주택 도어 잠김 상태, 주택 침입 감지 상태 등)를 알리기 위한 동작 상태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송수신 모듈(30)에 인가해 준다.
이에 따라, 상기 송수신 모듈(30)은 국부 발진 신호에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의 동작 상태 신호를 혼합시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송출할 주파수로 생성하여 증폭시킨 후에, 해당 송출 주파수(즉, 동작 상태 관련 주파수)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해 준다.
그러면, 상기 원격 조정 모듈(2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다운 컨버터(24)는 상기 송수신 모듈(30)로부터 동작 상태 관련 주파수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받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VCO로부터 국부 발진 주파수를 수신하며, 해당 수신받은 동작 상태 관련 주파수와 해당 수신받은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IF로 변환시켜 상기 제어부(21)에 인가해 준다.
이에,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다운 컨버터(24)로부터 인가되는 IF에서 불요파를 제거한 후에 신호 분석을 통해 어떤 동작 상태인지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한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MSM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 구비되어 있는 LCD에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해 준다.
또한, 상기 제어부(21)는 상기 MSM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40)의 동작 상태를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 준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에 의해 FM 변조를 이용한 양방향 차량 경보 장치뿐만 아니라, AM 방식의 주차장 게이트 리모컨 기능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성상 기본적으로 개인의 ID를 내장하고 있어 보안 장치 또는 결제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보다 유용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의 생성 및 변경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장 부품을 이용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 다양한 원격 조정 기기의 기능을 통합하여 수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며, 중복되는 부분을 공용화하여 비용 절감 및 고급스럽고 편리한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보안 장치 또는 결제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의 생성 및 변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에 있어 원격 조정 모듈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 통신 단말기 20 : 원격 조정 모듈
21 : 제어부 22 : 업 컨버터(Up Converter)
23 : 증폭부 24 : 다운 컨버터(Down Converter)
30 : 송수신 모듈 25 : 원격 조정 대상 기기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무선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국부 발진 주파수를 발생하기 위한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와, 시스템 클럭을 발생하기 위한 클럭 발생기와,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음성 처리부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와;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MSM(Mobile Station Modem)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원격 조정 대상 기기의 동작 상태 관련 주파수와 상기 VCO의 국부 발진 주파수를 혼합하여 IF(Intermediate Frequency)로 변환시켜 주는 다운 컨버터와;
    상기 클럭 발생기의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의 원격 조정에 필요한 변조된 IF를 생성하며, 상기 다운 컨버터에서 변환된 IF로부터 불요파를 제거한 후에 신호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며, 해당 동작 상태를 상기 MSM을 통해 상기 LCD에 표시하거나 상기 음성 출력부를 거쳐 상기 스피커로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VCO의 국부 발진 주파수에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한 IF를 하이 인젝션 믹싱을 수행하여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로 변조하는 업 컨버터와;
    상기 업 컨버터에서 변조된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를 전력 증폭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증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입력측과 출력측에 스위치를 구현하여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 수행과는 별도의 신호 경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에 장착되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조정 기능 관련 주파수를 분석하여 해당 분석된 결과에 따라 원격 조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 내의 각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된 동작 상태를 알리기 위한 동작 상태 관련 주파수를 생성시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10. 삭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를 통해 원격 조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정의된 음성의 입력을 상기 MSM에서 감지하고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음성과 비교하여 원격 조정 기능 수행을 요구함에 따라 상기 원격 조정 대상 기기의 원격 조정에 필요한 변조된 IF를 생성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12. 삭제
KR10-2002-0049732A 2002-08-22 2002-08-2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KR10048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732A KR100482691B1 (ko) 2002-08-22 2002-08-2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732A KR100482691B1 (ko) 2002-08-22 2002-08-2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589A KR20040017589A (ko) 2004-02-27
KR100482691B1 true KR100482691B1 (ko) 2005-04-13

Family

ID=37323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732A KR100482691B1 (ko) 2002-08-22 2002-08-22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6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852A (ko) * 1998-12-09 2000-07-05 김영환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JP2001111705A (ja) * 1999-10-12 2001-04-20 Murakami Corp 機器制御装置
KR20020043791A (ko) * 2000-12-04 2002-06-12 윤종용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8148A (ko) * 2002-05-11 2003-11-19 이현정 휴대통신 단말기와 초단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자동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852A (ko) * 1998-12-09 2000-07-05 김영환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JP2001111705A (ja) * 1999-10-12 2001-04-20 Murakami Corp 機器制御装置
KR20020043791A (ko) * 2000-12-04 2002-06-12 윤종용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8148A (ko) * 2002-05-11 2003-11-19 이현정 휴대통신 단말기와 초단거리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한자동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589A (ko) 200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032B1 (ko) Nfc 칩 모듈과 외부 rf 리더기를 통한 휴대폰 단말기의 벨소리·카메라·통신기능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40069852A1 (en) Bluetooth RF based RF-tag read/write station
KR920011068B1 (ko) 무선에 의한 채널 및 비밀코드 변경과 상호기억방식을 채용한 무선전화시스템 및 비밀코드 변경방법
JP2005151392A (ja) 紛失・不正使用防止機能を備えた携帯通信端末
CN201813364U (zh) 一种船载台调频对讲机电路
US7398104B2 (en) Mobile phone with wireless camera detection
KR10048269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다기능 원격 조정 장치
KR100312032B1 (ko) 휴대폰의문자서비스방법
CN201708793U (zh) 车载无线调频对讲机电路
KR20120012887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0345239B1 (ko) 운전자간 도난차량 정보통신시스템
KR100368758B1 (ko) 무선가입자망단말기의등록요구메시지표시방법
KR20030055708A (ko) 분실 및 도난 방지용 알에프 송수신 장치
KR100438185B1 (ko) 무선통신 기지국을 이용한 차량 원격 제어장치
KR20000065425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방해전파 발생 장치
KR101613676B1 (ko) 전파 차단 기반의 rfid 타입 출입카드를 이용한 전파 차단 및 출입 보안 방법
KR200186098Y1 (ko) 휴대폰을 중계로 하는 통신시스템
KR0131701B1 (ko) 통신기기의 전력제어방법
KR200208007Y1 (ko) 운전자간 도난차량 정보통신시스템
KR200196379Y1 (ko) 휴대전화를 이용한 트랜시버형 교신
KR20000044464A (ko) 휴대폰 분실방지장치
KR200190082Y1 (ko) 휴대폰을 이용한 조회장치
JPH1032881A (ja) セルラー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235954Y1 (ko) 무선 교통신호 제어기
KR0152590B1 (ko) 시각장애자를 위한 유무선 전화기용 위치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