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420B1 - 인터폰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폰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420B1
KR930006420B1 KR1019900018735A KR900018735A KR930006420B1 KR 930006420 B1 KR930006420 B1 KR 930006420B1 KR 1019900018735 A KR1019900018735 A KR 1019900018735A KR 900018735 A KR900018735 A KR 900018735A KR 930006420 B1 KR930006420 B1 KR 930006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remote
user
inte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525A (ko
Inventor
최승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1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420B1/ko
Publication of KR92001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3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selection of one or more conductors or channels from a plurality of conductors or chan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터폰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원격제어장치를 포함한 영상 및 음성처리시스템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원격송신부의 일실시예인 회로도로서 (a)는 제어키를 원격송신하는 원격제어회로이고, (b)는 음성신호를 원격송신하는 음성송신회로이다.
제3도는 제1도의 인터폰부를 통한 원거리 응답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폰부 20 : 인터폰부
40 : 미아크로프로세서 50 : 원격수신부
60 : 원격송신부 62 : 코딩기
63 : 주파수변조기 130 : 응답음성신호전달부
AMP1,AMP2,AMP3,AMP4 : 증폭기 SW1 : 제어용 스위치
본 발명은 영상 및 음성처리시스템의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및 음성처리시스템에 부착된 원격송신기를 이용하여 방문자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영상 및 음성처리시스템으로는 비디오 카세트레코더, TV등을 들수 있다. 이러한 영상 및 음성처리시스템에 사용되는 원격송신기는 무선으로 멀리있는 시스템을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기존에는 단지 해당시스템의 기능을 조정하기 위한 단순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즉, 원격송신기는 텐키(Ten key), 파워키, 볼륨 및 채널상태변환키, 타임 및 채널을 자막정보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제어키등을 구비하여 시스템의 기능에 한정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사용상의 편리성 추구로 점차 시스템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그러한 시스템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예를 들어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총채적으로 제어하는 가정자동화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등도 출현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원격송신기의 수신이 가능한 영상 및 음성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인터폰부를 통해 방문자와의 통신을 사용자의 원격송신기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수신되는 고주파신호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의 중간 주파수를 복조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의 출력신호에서 음성중간주파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는 음성처리부와 상기 시스템의 전 기능을 제어처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영상처리부로부터 유입되는 자막정보를 영상신호형태로 바꾸기 위한 온스크린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원영상신호와 상기 온스크린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자막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표시부로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스위치부와, 별도로 분리되어 사용자의 제어키를 코딩하여 출력하는 원격송신부와, 상기 원격송신부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인가하는 원격수신부를 구비한 영상 및 음성신호처리시스템의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 외부마이크와 스피커 및 푸시버튼을 구비한 도어폰과 ; 상기 원격송신부에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증폭 및 주파수변조하여 원격송신하기 위해 상기 원격송신부에 부가된 음성신호 원격송신회로와 ; 상기 원격송신부의 음성신호 원격송신회로에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증폭 및 주파수 복조하기 위한 응답음성전달부와 ;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도어폰의 마이크에서 인가되는 호출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상기 음성신호전달부로부터 유입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폰부 ; 상기 인터폰부와 음성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하여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용 스위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 원격제어방법은, 상기 인터폰부를 통해 도어폰으로부터 호출신호가 인가되는지 검출하고, 호출신호가 검출되면 방문자도착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상의 자막정보화면에 디스플레이를 하고, 사용자의 응답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 상기 제1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 원격송신부의 원격제어회로를 통해 응답할 의사를 밝히면 인터폰 통화로를 형성하는 제2과정과 ; 상기 제2과정에서 통화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완료되었으면 인터폰통화로를 폐쇄하고 상기 자막정보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방문자도착 메시지를 삭제하는 제3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일실시예의 회로도로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있어서, 스피커와 마이크 및 푸시버튼을 구비한 도어폰(10)은 인터폰부(20)와 양방향으로 접속된다. 인터폰부(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와도 양방향으로 접속되고, 응답음성신호전달부(130)의 출력단에일측 입출력단이 접속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0)는 키보드(30)와 원격수신부(5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각각 접속되고 온스크린디스플레이부(70) 및 제어용 스위치(SW1)로 제어신호가 출력되도록 접속된다. 원격수신부(50)는 원격송신부(60)의 출력단에 입력이 접속된다. 원격송신부(60)는 다른 일측 출력단이 응답음성신호전달부(130)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영상신호처리부(100)는 고주파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에 입력단이 접속되고 출력단이 온스크린디스플레이부(70) 및 비디오스위치부(80)와 음성신호처리부(110)의 입력단에 각각 접속된다. 온스크린디스플레이부(70)는 출력단이 비디오스위치부(80)의 일측 입력단에 접속된다. 비디오스위치부(80)는 출력단이 표시부(90)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어용 스위치(SW1)는 제1접점(S1)이 음성신호처리부(110)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제2접점(S2)이 인터폰부(20)의 입출력단 및 응답음성신호전달부(130)의 출력단 사이 접속점에 접속되고, 가동접점은 스피커(120)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응답음성신호처리부(130)는 원격송신부(60)의 일측 출력단에 입력단이 접속된 제2증폭기(AMP2)와, 제2증폭기(AMP2)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접속된 주파수복조기(131)와, 주파수복조기(131)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접속된 제1증폭기(AMP1)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원격송신부(60)내에 포함된 회로도로서 (a)는 기능키 원격제어회로에 대한 것이고, (b)는 음성원격송신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2a도에 있어서, 통상적인 매트릭스형태로 키를 입력시키는 수단인 키매트릭스(61)와, 키매트릭스(61)의 출력단에 입력단을 접속한 코딩기(62)와, 코딩기(62)의 출력단과 기저전위(GND) 사이에 접속되어 제1도의 원격수신부(50)의 입력단에 빛에너지를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LED1)로 구성된다. 제2b도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로 약함)과, 마이크로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접속된 제3증폭기(AMP3)와, 제3증폭기(AMP3)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접속된 주파수변조기(63)와, 주파수변조기(63)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접속되고 출력단은 제1도의 응답음성신호전달부(130)의 입력단에 접속된 제4증폭기(AMP4)로 구성된다.
제3도는 제1도의 인터폰부(20)를 통한 원거리 응답방법의 흐름도로서, 도어폰(10)으로부터 발생되는 호출신호에 따라 방문자의 도착여부를 나타내 주는 제1과정과, 방문자도착 메시지가 표시되면 사용자가 통화할 의사가 있을 때 인터폰통화로를 형성하는 제2과정과, 통화완료시 인토폰통화로를 폐쇄하고 방문자도착 메시지 표시를 삭제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작동을 제1도와 제2도를 결부시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 현재 사용자가 TV수상기 또는 비디오카세트레코더와 같은 영상 및 음성신호 처리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제1도의 도어폰(10)의 푸시버튼을 통해 방문자의 호출(Call)신호가 인터폰부(20)로 인가되면, 인터폰부(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40)로 호출신호가 인가되었음을 알린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40)는 온스크린디스플레이부(70)로 방문자도착 메시지정보를 전달하고. 본 정보는 비디오스위치부(80)를 통해 표시부(90)에 디스플레이된다. 방문자도착 메시지정보가 온스크린디스플레이부(70)로부터 표시부(90)까지 영상신호처리부(100)로부터 출력되는 기존영상신호와의 유기적인 관계는 종전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70)를 통한 자막정보의 디스플레이과정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표시부(90)의 소정영역에 방문자의 호출신호에 의한 방문자도착 메시지가 표시되면 사용자가 원격송신부(60)를 통해 원하는 제어명령을 내릴때까지 시스템은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기존 원격송신부(60)는 제2a도의 기능키 원격제어회로로 이루어져 키매트릭스(61)상의 기능키를 사용자가 선택제어 하면 제어된 해당키의 신호는 코딩기(62)에서 코딩되어 적외선 발광다이오드(LED1)로 인가된다. 적외선 발광다이오드(LED1)는 빛에너지로서 원격수신부(50)로 송신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표시부(90)에 표시된 베시지를 보고 통화시작요구키를 눌르면 상술한 과정을 통해 원격수신부(50)로 통화시작요구정보가 전달된다. 원격수신부(50)는 이에 따른 정보를 마이크로프로세서(40)로 인가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40)는 인터폰부(20)를 통해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인터폰부(20)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인터폰 통화로가 형성되면 도어폰(10)의 마이크를 통한 방문자의 음성과 원격송신부(60)내의 음성원격송신회로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이 시스템에 부착된 스피커(120)로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우선 통화로가 형성되면 제2b도와 같은 원격송신부(60)내의 음성원격송신회로를 통해 사용자는 본인의 음성을 도어폰(10)과 스피커(12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MIC)를 통해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제3증폭기(AMP3)와 주파수변조를 하는 변조기(63) 및 제4증폭기(AMP4)를 통해 수신이 가능한 음성신호레벨로 형성되어 제1도의 응답형성신호전달부(130)의 입력단으로 송신된다.
응답음성신호전달부(130)에 송신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제2증폭기(AMP2)와 주파수복조기(131) 및 제1증폭기(AMP1)를 거쳐 스피커(120) 및 인터폰부(20) 및 인터폰부(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조절된다. 인터폰부(20) 및 도어폰 (10)의 스피커와 스피커(120)를 통해 동일한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출력되면 도어폰(10)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방문자가, 스피커(120)로 출력되는 기존 시스템의 음성신호를 평상시에는 출력하고 사용자의 음성신호가 발생되면 상술한 기존 음성신호대신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스피커(120)로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관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40)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는 제어용 스위치(SW1)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영상신호처리부(100)와 음성신호처리부(110)는 공지된 것으로, 영상신호처리부(100)는 방송국이나 기타 외부에서 수신되는 고주파신호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의 주파수로 복조하기 위한 것이고, 음성신호처리부(110)는 영상신호처리부(100)의 출력신호에서 음성중간주파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방문자의 푸시버튼에 의한 호출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형성된 통화로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면, 그에 따른 방문자의 응답음성이 인터폰부(20)를 이용하여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제어용 스위치(SW1)의 제2접점(S2)으로 인가된다. 제어용 스위치는 통화로 형성과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40)의 제어에 의해 제2접점(S2)으로 스위칭되어 있으므로, 인가된 방문자의 음성신호도 스피커(100)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통화과정이 완료되면, 원격송신부(60)내의 키매트릭수(6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통화완료 기능키를 제어해 주면 상술한 기능키 원격제어회로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원격수신부(50)로 송신되고, 원격수신부(50)는 수신된 정보를 마이크로프로세서(40)로 인가하여 인터폰부(20)에 형성된 통화로를 폐쇄시키고,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70)를 제어하여 표시부(90)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방문자도착 메시지를 삭제시킨다.
제3도는 제1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른 원격제어방법으로 제1도의 구성요소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어폰(10)으로부터 발생되는 호출신호에 따라 방문자의 도착여부를 나타내주는 제1과정에 있어서, 제101단계는 도어폰(10)에 부착된 푸시버튼을 방문자가 늘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방문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푸시버튼이 눌러지지 않을 때는 대기상태에있게 된다. 제101단계에서 호출신호가 인가되었을 경우, 본 호출신호는 인터폰부(20)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40)에 인가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0)는 제102단계에서 현재 사용자가 영상 및 음성처리시스템을 시청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시청중일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바로 온스크린디스플레이부(70)로 마이크로프로세서(40)에서 방문자도착 메시지(문자형태의)가 인가되고 표시부(90)에 표시된다(제104단계). 그러나 제102단계에서 만약 사용자가 시스템을 시청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시스템의 전원을 ON시켜(제103단계) 방문자도착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제104단계).
인터폰통화로를 형성하는 제2과정에 있어서는, 제104단계에서 방문자도착 메시지가 표시부(90)에 디스플레이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통화시직 요구키가 원격송신부(60)에서 발생되는지를 체크한다(제105단계). 제105단계에서 통화시작 요구키가 발생되며 인터폰부(20)를 통해 통화로를 형성한다(제106단계).
인터폰 통화로를 폐쇄하는 제3과정에 있어서는, 제106단계에서 인터폰통화로가 형성된 후, 방문자와 사용자간의 통화가 진행된 결과 도어(Door)를 개폐할것인지를 체크하고(제107단계), 개폐요구키가 원격송신부(60)를 통해 송신되면 도어를 개방하고(제108단계), 인터폰부(20)를 통해 인터폰통화로를 자동폐쇄한다.(제110단계). 그러나 개폐요구키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통화종료요구키에 대해 체크를 한다(제109단계). 이때 통화종료요구키가 인가될 때까지 제107∼109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통화종료요구키가 인기되면 인터폰부(20)를 통해 인터폰통화로를 자동폐쇄한다(제110단계). 그 다음 표시부(90)에 디스플레이된 방문자도착 메시지를 삭제하고(제111단계), 본래의 영상 및 음성처리시스템을 시청하는 상태로 돌아간다.
상술한 바와 샅이 본 발명은 원격송수신이 가능한 영상 및 음성처리시시템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인터폰회로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방문자간의 통신을 사용자의 원격송신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원격송시기의 기능을 다기능화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수신되는 고주파신호로부터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의 중간주파수로 복조하는 영상신호처리부(100)와, 상기 영상신호처리부(100)의 출력신호에서 음성중간주파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120)를 통해 송출하는 음성처리부(110)와, 상기 시스템의 저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4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의 제어에 의해 영상처리부(100)로부터 유입되는 자막정보를 영상신호 형태로 바꾸기 위한 온스크린디스플레이부(70)와, 상기 영상처리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원영상신호와 상기 온스크린디스플레이부(60)에서 출력되는 자막영상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여 표시부(90)로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스위치부(80)와, 별도로 분리되어 사용자의 제어키를 코딩하여 출력하는 원격송신부(60)와,상기 원격송신부(60)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0)로 인가하는 원격수신부(50)를 구비한 영상 및 음성신호처리시스템의 원격제어장치에 있어서 ; 외부마이크와 스피커 및 푸시버튼을 구비한 도어폰(10)과 ; 상기 원격송신부(60)에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증폭 및 주파수변조하여 원격송신하기 위해 상기 원격송신부에 부가된 음성신호원격송신회로와 ; 상기 원격송신부(60)의 음성신호원격송신회로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증폭 및 주파수복조하기 위한 응답음성신호전달부(130)와 ;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도어폰(10)의 마이크에서 인가되는 호출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상기 응답 음성신호전달부(130)로부터 유입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12)로 전달하기 위한 인터폰부(20) ; 상기 인터폰부(20)와 음성처리부(110)에서 출력되는 음성정보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하여 상기 스피커(120)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용 스위치(SW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장치.
  2. 영상처리부(100), 음성처리부(110), 마이크로프로세서(40), 온스크린 디스프레이부(70), 비디오스위치(80), 표시부(90), 원격송신부(60), 원격수신부(50), 도어폰(10), 응답음성신호전달부(130), 인터폰부(20) 제어용 스위치(SW1)를 적어도 포함한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영상 및 음성신호처리시스템의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40)에 의한 원격제어방법에 있어서 ; 상기 인터폰부(20)를 통해 도어폰(10)의 푸시버튼으로부터 호출신호가 인가되는지 검출하고, 호출신호가 검출되면 방문자도착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90)상의 자막정보 화면에 디스플레이를 하고, 사용자의 응답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사용자가 상기 원격송신부(60)의 원격제어회로를 통해 응답할 의사를 밝히면 인터폰통화로를 형성하는 제2과정과 ; 상기 제2과정에서 통화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완료되었으면 인터폰통화로를 폐쇄하고 상기 자막 정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방문지도착 메시지를 삭제하는 제3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상기 인터폰부(20)를 통해 도어폰(10)에서 발생된 호출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처리시스템을 사용자가 시청중인지를 판단하는 시청상태판단단계와, 상기 시청상태판단단계에서 시청중이 아닐 때는 상기 시스템의 전원을 ON시켜 방문자 도착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전원 ON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방법.
KR1019900018735A 1990-11-19 1990-11-19 인터폰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KR93000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8735A KR930006420B1 (ko) 1990-11-19 1990-11-19 인터폰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8735A KR930006420B1 (ko) 1990-11-19 1990-11-19 인터폰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25A KR920010525A (ko) 1992-06-26
KR930006420B1 true KR930006420B1 (ko) 1993-07-14

Family

ID=1930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8735A KR930006420B1 (ko) 1990-11-19 1990-11-19 인터폰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64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25A (ko) 199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2022A (en) Television remote control system for selectiv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external apparatus
US5570415A (en) Video programming and storage control using the telephone network
US6281925B1 (en) Video telephone device having automatic sound level setting along with operation mode switching
US55421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ntrolling base station and external electronic device functions
US5420907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remotely controllable sound producing device
US5870453A (en)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a remotely controllable sound producing device
JPH11284757A (ja) 携帯電話リモコンシステム
KR930006420B1 (ko) 인터폰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WO2001093556A1 (fr) Dispositif de communication
KR100304879B1 (ko) 자동다이얼링을위한송수신장치
KR0125918Y1 (ko) 텔레비젼수상기를 이용한 방문자 확인장치
KR100296507B1 (ko) 적외선리모콘 신호수신 기억형 제어장치와 이를 이용한 기기의 제어방법
KR101044064B1 (ko) 리모컨 겸용 인터넷 전화기를 일체로 구비한 셋탑박스장치 및 서비스 방법
JP2719850B2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276880Y1 (ko) 발신자전화번호 표시 제어 장치
KR200169045Y1 (ko) 텔레비전을이용한적외선신호기억제어기
KR0145775B1 (ko) 키폰 시스템의 신분인식 자동문 개폐장치
KR0124810B1 (ko) 텔레비젼 수상기를 이용한 전화 착신 알림회로
KR100282060B1 (ko) 텔레비전을 사용한 전화기의 자동 응답 전환 방법
JP2547965Y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899444B2 (ja) 無線電話装置
JPH0718198Y2 (ja) リモコン付き電話機
KR19980040838A (ko) 비디오폰 시스템
JP2000224315A (ja) モニタ付きワイヤレス通話システム
JPH011386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