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430Y1 - 동력 살포기 - Google Patents

동력 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430Y1
KR200303430Y1 KR20-2002-0033067U KR20020033067U KR200303430Y1 KR 200303430 Y1 KR200303430 Y1 KR 200303430Y1 KR 20020033067 U KR20020033067 U KR 20020033067U KR 200303430 Y1 KR200303430 Y1 KR 200303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blower housing
oil
storage space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종
Original Assignee
정석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종 filed Critical 정석종
Priority to KR20-2002-0033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4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1/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combined liquid- and powder-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송풍기 하우징(21)의 일면으로 엔진(10)이 구비되고, 상기 엔진(10)과 대응되는 상기 송풍기 하우징(21)의 다른 일면에는 펌프(30)가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 하우징(21)의 상부로는 약제통(40)이 결합되면서 약제를 강제 송출시켜 살포하는 동력 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하우징(21)을 일측에서 지지하는 등받이(70)의 상기 펌프(30)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프레임(71)은 내부가 비게 하여 저유 공간(72)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 저유 공간(72)의 상단부에는 주입구(73)를 형성하여 캡(74)에 의해 개폐 가능토록 하며, 저유 공간(71)의 하단부에는 상기 펌프(30)로 오일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공급 호스(75)가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인 바 구성의 간소화와 안정된 휴대 및 저렴한 제작비와 외관을 개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동력 살포기{Distributor using power}
본 고안은 동력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농약과 같은 액상의 약제를 강제 분사하는 펌프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 펌프에 공급하게 되는 오일의 저장 공간을 등받이에 일체로 구비되게 함으로써 구조를 더욱 간소화시키게 되는 동시에 외관을 개선하고, 보다 저렴한 제작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가의 논이나 밭 또는 과수원에서 작물을 재배 시 재배되는 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거나 각종 병충해로부터 작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비료 또는 농약 및 살충제 등을 살포하게 된다.
이렇게 살포되는 약제는 살포 면적에 따라서 직접 인력으로 뿌려주거나 비교적 간단한 펌프 구조의 분무통을 이용하기도 하고 동력을 이용한 살포장치를 이용하기도 한다.
특히 작물 재배 면적이 광범위한 경우 뿐만 아니라 점차 농촌의 고령화가 촉진되면서 주로 동력을 이용하는 살포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한편 살포되는 약제는 입제타입이라고도 하는 분말식 약제와 액상의 약제로서 나누어지고, 이들 약제는 통상 엔진을 이용한 에어 스프레이식 또는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 살포하게 된다.
하지만 약제의 종류에 따라 별도로 살포장치를 구비하는 것은 대단히 번거로운 단점이 있어 이를 하나의 살포기를 사용하여 공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제안이 제시되기도 하였는 바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서도 실용신안등록 제167926호(명칭:농약 살포장치)를 통해 이들을 일체로 결합시킨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즉 본 출원인의 살포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엔진(10) 그리고 엔진(10)의 구동에 연동하는 송풍기(20) 및 펌프(30), 송풍기(20)의 상단부에 안착되면서 탈부착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약제통(40), 송풍기(20)의 일측에 연결되는 송풍관(50), 펌프(30)에 일단이 연결되는 약액 토출 호스(6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때의 약제통(40)은 내부에 충진되는 약제의 상태 즉 약제가 분말상태인지 아니면 액상인지에 따라서 형상이 다르게 구비된다. 그리고 약제통(40)으로 액상의 약제가 충전되어 있는 경우에는 엔진(10)의 구동에 의해 송풍기(20)와 함께 펌프(30)가 동시에 구동되면서 연결 호스(31)에 의해 약제통(40)으로부터 펌프(30)로 자유 낙하에 의해 공급되는 약제가 펌핑에 의해 약액 토출 호스(60)를 통하여 강제 토출된다.
한편 펌프(30)를 통해 약액을 토출 시 펌프(30)에는 원활한 구동력 발휘를 위하여 오일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즉 펌프(30)의 내부에는 오일 실(seal)과 함께 베어링이 구비되므로 이들의 마찰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일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때의 오일은 통상 도 2에서와 같이 펌프(30)의 일측에서 펌프(30)보다는 상측의 위치에 구비되는 리저버 탱크(31)로부터 오일 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리저버 탱크(31)는 펌프(30)와는 달리 비교적 대단히 좁은 송풍기(20)와 등받이(70) 사이의 공간으로는 구비하기가 불가능하고, 설계적 어려움이 있어 별도로 송풍기(2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송풍기(20)의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외관상으로도 좋지 못하고, 부품이 추가되면서 장비 제작 비용 및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등받이의 상단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공간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도 간단히 오일 저장 공간이 구비되게 함으로써 구조를 간소화하여 외관을 개선하면서 안정감을 향상시켜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동력 살포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동력 살포기에서 펌프와 이 펌프에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리저버 탱크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의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동력 살포기에서 등받이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엔진 20 : 송풍기
21 : 송풍기 하우징 30 : 펌프
40 : 약제통 70 : 등받이
71 : 상부 프레임 72 : 저유 공간
73 : 주유구 74 : 캡
75 : 공급 호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송풍기 하우징의 일면으로 엔진이 구비되고, 상기 엔진과 대응되는 상기 송풍기 하우징의 다른 일면에는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 하우징의 상부로는 약제통이 결합되면서 약제를 강제 송출 시켜 살포하는 동력 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하우징을 일측에서 지지하는 등받이의 상기 펌프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상측 프레임은 내부가 빈 저유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 저유 공간의 상단부에는 주입구를 형성하여 캡에 의해 개폐 가능토록 하며, 저유 공간의 하단부에는 상기 펌프로 오일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공급 호스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기와 펌프를 동시에 구비하여 분말 약제 및 액상의 약제를 선택적으로 살포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 살포기를 개량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다시말해 동력 살포기는 송풍기 하우징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엔진이 장착되고, 이 엔진에 대응되는 송풍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펌프가 구비되어 엔진 구동에 의해서 송풍기와 함께 펌프가 동시에 구동하도록 하는 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기제안된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즉 송풍기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약제통의 종류에 따라서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분말 타입의 약제가 살포되기도 하고, 펌프에 의해 액상의 약제가 펌핑되어 살포되기도 하는 것이다.
다만 본 고안은 펌프의 원활한 구동을 위하여 펌프를 윤활시키기 위해 공급하게 되는 오일의 공급 구조를 개선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다시말해 본 고안은 오일 리저버 탱크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송풍기 하우징이 고정되도록 하는 지지 수단인 등받이(70)의 구조를 간단히 개량한 것이다.
동력 살포기에서의 등받이(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 하우징(21)의 하부면과 함께 일측면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며, 등에 짊어지기 용이하도록 양측으로는 어깨 끈이 장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등받이(70)는 통상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재질인 합성수지를 사용하며, 자체 중량을 최소화하면서 강성은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한편 본 고안은 등받이(70)를 이루는 부위 중 특히 도 4에서와 같이 등에 짊어졌을 때 머리 부분을 받치게 되는 부위인 상부 프레임(71)을 내부가 비게 하여 저유 공간(72)으로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부 프레임(71)은 송풍기 하우징(21)과 대응되는 머리 부위 쪽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한다.
저유 공간(72)은 반드시 송풍기 하우징(21)에 장착되는 펌프보다는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일정량의 오일이 충진될 수 있는 공간을 갖도록 한다.
저유 공간(72)을 이루는 등받이(70)의 상부 프레임(71)의 상단부에는 저유 공간에 연통되는 주유구(73)가 형성되고, 이 주유구(73)는 캡(74)에 의해 개폐되도록 한다. 또한 저유 공간(72)의 하단부는 펌프와 공급 호스(75)에 의해서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단순히 본 고안의 동력 살포기를 지지하는 등받이(70) 특히 이 등받이(70)의 상부 프레임(71)을 개선하여 펌프에 공급하게 될 오일을 저장하는 수단으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등받이(70)의 상부 프레임(71)을 내부가 비어 있도록 하고, 상단부에는 주입구(73)를 형성하며, 주입구(73)는 캡(74)에 의해 개폐되도록 하고, 충진되어 있는 오일이 지나치게 소모되면 캡(74)을 분리시켜 오일이 충진되도록 한다.
그리고 등받이(70)의 저유 공간(72) 하단부에는 공급 호스(75)의 일단이 연결되고, 공급 호스(75)의 타단은 펌프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공급 호스(75)를 통하여 일정량의 오일이 펌프에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하여 펌프가 원활하게 구동하도록 한다.
특히 등받이(70)에 소정량의 오일이 충진되도록 하면 무게 중심이 몸쪽으로 바짝 붙게 되면서 무게 중심이 안정화되어 작업하기가 용이해진다. 이는 종전의 오일 리저버 탱크가 송풍기 하우징의 측부에 구비됨으로써 무게 중심이 뒤쪽에서 일측으로 편중되어 이동 중에 흔들림이 커지게 되는데 반해 본 고안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별도로 오일 리저버 탱크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부품을 절감시킬 수가 있어 제작비 측면에서도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적인 측면에서도 보다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등받이(70)의 상측 구조를 간단히 개선하여 프레임 상측으로 내부가 비게 하여 저유 공간(72)을 일체로 갖도록 함으로써 구성을 간소화하고, 등에 짊어지게 되면 더욱 안정감을 주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등받이(70)를 제작 시 동시에 저유 공간(72)을 형성하게 되므로 별도의 부품 제작 공정이 생략되고, 따라서 제작비가 보다 저렴해지게 되는 동시에 외관적으로도 이점을 제공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송풍기 하우징의 일면으로 엔진이 구비되고, 상기 엔진과 대응되는 상기 송풍기 하우징의 다른 일면에는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송풍기 하우징의 상부로는 약제통이 결합되면서 약제를 강제 송출시켜 살포하는 동력 살포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 하우징을 일측에서 지지하는 등받이의 상기 펌프보다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 프레임은 내부가 비게 하여 저유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이 저유 공간의 상단부에는 주입구를 형성하여 캡에 의해 개폐 가능토록 하며, 저유 공간의 하단부에는 상기 펌프로 오일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공급 호스을 구비하는 동력 살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동력 살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상기 상부 프레임은 송풍기 하우징(21)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동력 살포기.
KR20-2002-0033067U 2002-11-05 2002-11-05 동력 살포기 KR200303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067U KR200303430Y1 (ko) 2002-11-05 2002-11-05 동력 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067U KR200303430Y1 (ko) 2002-11-05 2002-11-05 동력 살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430Y1 true KR200303430Y1 (ko) 2003-02-07

Family

ID=4940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067U KR200303430Y1 (ko) 2002-11-05 2002-11-05 동력 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4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8227B1 (en) Appliance for dissuasion of a dog from barking
RU2185893C2 (ru) Раздаточный насос с руч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ES2282226T3 (es) Sistema de distribucion activado por gatillo.
US5651908A (en) Fluid containers having storage location for a discharge end of an attached flexible hose
US20070095941A1 (en) Scent dispensing apparatus
KR101130490B1 (ko) 농약 분무기
KR200303430Y1 (ko) 동력 살포기
KR20110055150A (ko) 비료살포기를 겸한 에어분사 농약살포기
KR200303429Y1 (ko) 동력 살포기용 액제 탱크
KR101966027B1 (ko) 원격지로부터 액제의 충전, 공급 및 반환이 가능한 농약분무용 휴대장치
US5836519A (en) Portable wheeled spraying apparatus having an adjustable handle
JP2009018236A (ja) 背負式レバー操作型ポンプ外付け噴霧機
NZ536065A (en)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forage additive and method
GB2269796A (en) Fluid container
CN218898045U (zh) 一种气溶胶弥雾机
KR102471038B1 (ko) 이동식 분무기
CN215863114U (zh) 一种多功能园林灯
KR101219549B1 (ko) 휴대용 농축산 방역기의 약제통
JPH10276650A (ja) 貯液タンク及び液体散布機
KR102351606B1 (ko) 입제와 액상 농약 살포와 탈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분사기
JP3067878U (ja) 農業用散布剤を散布するための散布装置
JP3929631B2 (ja) トリガー式液体噴出容器
JP3529975B2 (ja) 貯液タンク
KR20230138967A (ko) 분무 기능을 구비하는 물뿌리개
KR20160110883A (ko) 이동식 농약 살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