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384Y1 - 무동력 기포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기포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384Y1
KR200303384Y1 KR20-2002-0032275U KR20020032275U KR200303384Y1 KR 200303384 Y1 KR200303384 Y1 KR 200303384Y1 KR 20020032275 U KR20020032275 U KR 20020032275U KR 200303384 Y1 KR200303384 Y1 KR 2003033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cylinder tube
tank body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우
Original Assignee
장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우 filed Critical 장민우
Priority to KR20-2002-0032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3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3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3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의 쏠림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부구(浮具)를 이용하여 수중에 기포를 발생시키므로서 수중으로의 기포공급을 원활하게 한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수조통체(300)의 상면에 이와 연통되는 실린더관(210)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관(210)의 상부에 그 내부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외기흡입댐퍼(212)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관(210)의 내부에는 그 하단에 설치되어진 수조통체(300) 내부의 부구(230)에 의해 동작되는 피스턴(220)이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관(210)의 저부 일측으로 피스턴(220) 하향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공기배출공(215)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관(210)의 상단 일측에 수조통체(300)의 수중으로 기포를 공급할 수 있게 다수의 기포배출공(241)을 구비한 공기공급관(240)이 연결 설치되어지되, 상기 공기공급관(240)의 여러 개소에 실린더관(210)으로의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댐퍼(24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동력 기포발생장치{an air producer by powerless}
본 고안은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중인 활어 컨테이너의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나 강에서 포획한 활어는 활어차량이나 선박, 그리고 운반용 컨테이너를 통해 운반되며, 이렇게 운반된 활어는 각 음식점이나 가정에 횟감이나 매운탕감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활어의 신선도가 매우 중요한데, 컨테이너 속의 활어가 먼거리를 이동할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물속의 산소용존량이 부족해져 물속의 활어가 죽거나 신선도가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물 속의 산소결핍을 방지하기 위하여 컨테이너 일측에 산소공급장치를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활어차량 등에 산소탱크를 설치하여 산소를 물속에 공급하거나 공기펌프를 설치하여 대기중의 공기를 물속에 강제 공급하기 때문에 이들의 설치비용이 매우 클 뿐만 아니라, 특히 산소탱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의 구입비용이 만만치 않음은 물론이고 산소의 투입량에 따라 활어의 신선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활어의 량에 따라 산소투입량 유지가 매우 번거롭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248673호와 같은 무동력 기포발생장치가 고안되었으며, 상기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의 구성은 도 1과 같이 일면이 개구된 공기 케이스(10)를 형성한 다음,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개구부(11)에 물의 유동시 발생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동작되게 다이아프램(20)이 스프링(22)과 함에 탄설되며,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또 다른 적소에 컨테이너(100)의 통기공(110)과 대응하여 그 내부로 외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역지수단(14)이 구비된 공기 흡입구(13)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적소에 그 내부의 흡입된 외기를 물속으로 분사할 수 있게역지수단(32)이 각각 구비된 하나 이상의 공기 분사관(30)이 소정길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공기 케이스(10)의 일측에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물을 배출할 수 있게 역지수단(41)을 구비한 물 배출관(40)을 설치한 것이다.
즉, 무동력 기포발생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컨테이너(100)가 이동하게 되면, 그 내부의 물이 쏠리게 되는데, 이때 그 물의 압력이 다이아프램(20)에 작용하여 화살표와 같이 압압되며, 이와 동시에 공기 케이스(10) 내부에 있는 공기가 공기분사관(30)을 통해 수중으로 분사되므로서 수중의 활어에게 공기속의 산소가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다이아프램(20)이 압압될 시에는 공기흡입구(13)의 내측의 역지수단(14)은 닫혀 공기 케이스(10)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면, 공기분사관(30) 내부의 역지수단(32)은 공기의 힘에 의해 개방된다.
한편, 컨테이너(100) 내의 물이 다른 쪽으로 쏠리게 되면, 공기 케이스(10)의 내부 벽면과 다이아프램(20)의 내측면 사이의 스프링(22) 복원력에 의해 다이아프램(20)이 원상복귀되는데, 이때 공기흡입구(13)의 내측의 역지수단(14)이 개방되어 다량의 외기가 유입되는 반면에 공기분사관(30) 내부의 역지수단(32)은 스프링(33)의 복원력에 의해 닫힘으로써 공기분사관(30) 내부로 유입된 물이 공기 케이스(10)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케이스(10)로 들어온 소량의 물은 다이아프램(20)이 압압될 때 역지수단(41)을 구비한 물배출관(40)을 통해 컨테이너(100)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동력 기포발생장치는 상부와 하부의물의 쏠림이 다르기 때문에 상부의 다이아프램(20)은 공기 케이스(10)의 내측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나, 하부의 다이아프램(20)은 물의 쏠림이 거의 없어 공기 케이스(10)의 공기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물의 쏠림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부구(浮具)를 이용하여 수중에 기포를 발생시키므로서 수중으로의 기포공급을 원활하게 한 무동력 기포발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실린더관 212:외기흡입댐퍼
220:피스턴 230:부구
240:공기공급관 241:기포배출공
242:역류방지댐퍼 300:수조통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조통체의 상면에 이와 연통되는 실린더관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관의 상부에 그 내부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외기흡입댐퍼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관의 내부에는 그 하단에 설치되어진 수조통체 내부의 부구에 의해 동작되는 피스턴이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관의 상단 일측에 수조통체의 수중으로 기포를 공급할 수 있게 다수의 기포배출공을 구비한 공기공급관이 연결 설치되어지되, 상기 공기공급관의 여러 개소에 실린더관으로의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댐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먼저, 활어차의 수조통체(300)의 상면 일측에 통공(310)이 형성된 다음, 상기 통공(310)과 연통되게 그 상방으로 실린더관(210)이 나사결합되는데, 상기 실린더관(210)의 상단에 공기흡입공(2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공(211)에는 일측 힌지(213)에 의해 동작되는 판상의 외기흡입댐퍼(212)가 설치되어 실린더관(210)의 내부가 피스턴(220)에 의해 압축될 시에는 외기흡입댐퍼(212)가 공기흡입공(211)을 차단하여 압축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고, 피스턴(220)의 하강으로 실린더관(210)으로의 외기를 흡입할 시에는 외기흡입댐퍼(212)가 개방되면서 공기흡입공(211)을 통해 외기가 실린더관(2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관(210)의 저부 일측으로 피스턴(220) 하향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공기배출공(215)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실린더관(210)에 그 내부의 공기를 압축시킬 수 있는 피스턴(220)이 설치되는데, 상기 피스턴(220)은 그 하단부가 수조통체(300)의 통공(310)을 관통하게 되며, 상기 실린더관(210) 내부의 피스턴(220) 주변에는 이의 상하승강을 유도하는 가이드관(21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조통체(300) 내부의 피스턴(220) 하단부에는 물의 유동에 따라 상하로 동작되게 부력이 탁월한 부구(230)가 설치되며, 상기 부구(230)의 하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피스턴(220)과 실린더관(210)의 내측 상면 사이에스프링(231)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린더관(210)의 상단 일측에 수조통체(300)의 수중으로 기포를 공급할 수 있게 다수의 기포배출공(241)을 구비한 공기공급관(240)이 연결 설치되어지는데, 상기 공기공급관(240)의 여러 개소에는 도 3과 같이 실린더관(210)으로의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일측 힌지(243)에 의해 동작되는 판상의 역류방지댐퍼(242)가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무동력 기포발생장치를 수조통체(300)의 양측에 설치하므로서 반복적으로 쏠리는 물의 쏠림에 따라 연속적으로 기포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동력 기포발생장치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활어차의 수조통체(300)에 무동력 기포발생장치를 설치한 다음, 활어차가 이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물의 쏠림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도 3과 같이 무동력 기포발생장치가 설치된 방향으로 물의 쏠림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부력에 의해 부구(230)가 상승함과 동시에 그 상단의 피스턴(220)이 실린더관(210) 내부로 상승하여 공기가 압축되는데, 이때 실린더관(210) 상단의 외기흡입댐퍼(212)는 차폐되어 압축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되며, 상기 피스턴(220) 저부의 실린더관(210) 내에서 공기가 압축되거나 피스턴(220)을 타고 실린더관(210)으로 수조통체(300) 내부의 물이 유입될 수 있는데, 이렇게 압축된 공기나 유입된 물은 실린더관(210) 저부의 공기배출공(21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서 피스턴(220)에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된다.
이렇게 압축된 공기는 이와 연결된 공기공급관(240)을 걸쳐 그 단부의 기포배출공(241)을 통해 수중으로 배출되므로서 수중의 각종 어류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역시 공기공급관(240)에 설치되어진 역류방지댐퍼(242)는 힌지(243)를 중심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무동력 기포발생장치가 설치된 반대 방향으로 물의 쏠림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실린더관(210) 내부의 스프링(231)의 복원력과 피스턴(220) 및 부구(230)의 자체하중에 의해 피스턴(220)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실린더관(210) 내부의 흡입력에 의해 실린더관(210) 상단의 외기흡입댐퍼(212)가 개방되어 외기가 실린더관(210)으로 흡입됨과 동시에 공기공급관(240) 내에 설치되어진 역류방지댐퍼(242)는 차단되어 기포배출공(241)을 통해 공기공급관(240)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상기 무동력 기포발생장치를 수조통체(300)의 양측에 설치하므로서 반복적으로 쏠리는 물의 쏠림에 따라 연속적으로 기포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물의 쏠림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부구(230)를 이용하여 수중에 기포를 발생시키므로서 수중으로의 기포공급을 원활하게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조통체(300)의 상면에 이와 연통되는 실린더관(210)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관(210)의 상부에 그 내부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외기흡입댐퍼(212)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관(210)의 내부에는 그 하단에 설치되어진 수조통체(300) 내부의 부구(230)에 의해 동작되는 피스턴(220)이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관(210)의 저부 일측으로 피스턴(220) 하향시 발생되는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공기배출공(215)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관(210)의 상단 일측에 수조통체(300)의 수중으로 기포를 공급할 수 있게 다수의 기포배출공(241)을 구비한 공기공급관(240)이 연결 설치되어지되, 상기 공기공급관(240)의 여러 개소에 실린더관(210)으로의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댐퍼(24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동력 기포발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관(210) 내부의 피스턴(220) 주변에는 이의 상하승강을 유도하는 가이드관(2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기포발생장치.
KR20-2002-0032275U 2002-10-29 2002-10-29 무동력 기포발생장치 KR2003033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275U KR200303384Y1 (ko) 2002-10-29 2002-10-29 무동력 기포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275U KR200303384Y1 (ko) 2002-10-29 2002-10-29 무동력 기포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384Y1 true KR200303384Y1 (ko) 2003-02-06

Family

ID=49400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275U KR200303384Y1 (ko) 2002-10-29 2002-10-29 무동력 기포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3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466B1 (ko) * 2011-11-24 2013-10-30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가두리 양식장용 산소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466B1 (ko) * 2011-11-24 2013-10-30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가두리 양식장용 산소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808B2 (en) Geyser pump
US6722855B2 (en) Oil pumping device
KR200303384Y1 (ko) 무동력 기포발생장치
JPH0624394Y2 (ja) 泡噴出ポンプ容器
CN210340410U (zh) 污水环保脱油装置
US4251240A (en) Pump valve assembly
KR200303383Y1 (ko) 무동력 기포발생장치
CN101288813A (zh) 臭氧水的气水分离装置
CN106592706B (zh) 一种用于无负压供水的真空抑制器
KR100831999B1 (ko) 무격막식 압력탱크장치
KR200248673Y1 (ko) 무동력 기포발생장치
CN201182921Y (zh) 臭氧水的气水分离装置
KR20090132929A (ko) 차량 냉각시스템의 냉각수 리저버 탱크
KR20020094851A (ko) 무동력 기포발생장치
US775443A (en) Water purifier and elevator.
CN214779277U (zh) 气动式往复振动器
US20090321329A1 (en) Expansion tank provided with a float
CN218713573U (zh) 一种自清洗防死水节能气压罐
KR101010900B1 (ko) 방류밸브용 공기밸브
CN209502385U (zh) 一种可以喷水和自动吹气的清洗器
KR200225456Y1 (ko) 디스펜서 용기
JP2000248607A (ja) 真空弁ユニット
KR200297165Y1 (ko) 펌프를 이용한 기압급수기의 공기공급장치
CN2526629Y (zh) 钢丝浮球阀
CN201081017Y (zh) 密闭容器内置保压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