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084Y1 - 전주용 체결밴드 - Google Patents

전주용 체결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084Y1
KR200303084Y1 KR20-2002-0031926U KR20020031926U KR200303084Y1 KR 200303084 Y1 KR200303084 Y1 KR 200303084Y1 KR 20020031926 U KR20020031926 U KR 20020031926U KR 200303084 Y1 KR200303084 Y1 KR 200303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olt
band
hole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20-2002-0031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0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0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용 체결밴드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결속작업 중 체결밴드의 본체에 구성된 체결공으로부터 체결볼트가 이탈되지 않게 하여 결속작업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견고하고 미려한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20) 일측에 구성된 볼트고정부 (21)와 체결공(24)을 체결볼트(30)로 결속되게 하는 전주용 체결밴드(10)를 구성하되, 상기 체결볼트(30)의 단부에 걸림편(33)이 형성된 절곡부(32)를 구성하고, 상기 걸림편(33)이 체결공(24)에 끼워져 결속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주용 체결밴드{Electric pole connecting band}
본 고안은 전주의 외면에 필요한 구조물을 체결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전주용 체결밴드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속작업시 밴드의 걸림공으로부터 체결볼트가 이탈분리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결속된 상태의 외관이 미려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주용 체결밴드는 도 6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철판을 이용하여 체결밴드(100)를 구성하되, 일측 단부에 밴드를 절곡구성한 볼트고정부(110)을 구성하고, 타측에는 체결공(120)을 뚫어 구성한 다음, 상기 볼트고정부(110)에 고리(131)가 형성된 체결볼트(130)가 끼워질 수 있게 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의 체결볼트(100)를 이용하여 전주 외면에 케이블 관체나 파이프 등과 같은 구조물을 결속고정하고자 할 때에 체결볼트(130)의 고리(131)를 체결공(120)에 걸려지게 한 다음 체결볼트(130)를 볼트고정부(110)에 결합하고, 볼트고정부(110)를 관통한 체결볼트(130)의 나사부에 너트(140)를 나사결합하여 체결되게 하므로서 전주의 외면에 구조물이 결속고정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의 체결밴드(100)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체결밴드(100)를 체결하기 위하여 체결볼트(130)에 구성된 고리(131)를 체결공(120)에 건 다음 체결볼트(130)를 볼트고정부(110)에 끼우고, 상기 체결볼트 (130)에 너트(140)를 죄어 결합하는 과정에서 체결밴드(100)의 체결공(120)으로부터 체결볼트(130)의 고리(131)가 자주 분리되므로 체결밴드(100)의 체결작업에 많은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뿐만아니라 체결볼트(130)의 고리(131)는 체결공(120)의 외측에서 걸어 고정하게 되므로 고리(131)가 체결밴드(100) 내측으로 돌출하게 되고, 따라서 고리(131)가 전주의 외면과 접촉하게 될 경우에는 고리(131)가 끼워진 체결밴드(100) 부분은 외측으로 돌출하게 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단점이 있고, 또한 견고한 죄임을 위하여 체결볼트(130)에 끼워진 너트(140)를 강하게 죄임할 경우에도 체결공(120)이 고리(131)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이탈하게 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종래 사용되고 있는 체결밴드(100)의 체결부, 즉 체결볼트(130)는 주로 전주 외면에 위치한 구조물의 근처에 형성되는 공간부에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조정하여 작업하게 된다.
따라서 체결하고자 하는 구조물이 작업자를 기준으로 하여 전주의 뒷쪽에 위치하여 있을 경우에는 체결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시정하고자 전주용 체결밴드를 구성하되, 체결밴드의 죄임작업시 체결공으로부터 체결볼트가 이탈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체결부 즉 체결볼트의 위치가 전주의 어느 부위에 위치하더라도 견고한 결속이 가능케 함과 동시에 결속된 상태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체결밴드의 볼트고정부와 체결공을 연결하면서 결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체결볼트를 구성하되, 체결볼트의 일측 단부에 걸림편을 돌출구성하여, 상기 걸림편이 체결공에 끼워져 결합되게 한 것이다.
이때 체결볼트에 구성된 걸림편은 길쭉한 형태로 구성되게 하여 걸림편이 체결공에 끼어지게 할 때 체결볼트를 체결밴드의 본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걸림편이 체결공에 끼워지게 한 다음 체결볼트를 본체와 나란하게 회전시켜 볼트고정부에 끼어져 결합되게 하고, 상기 체결볼트의 선단부 즉 걸림편이 위치하는 부분은 일정각도 만곡지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 본 고안 체결밴드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2 : 본 고안 체결밴드의 결속상태 요부단면구성도
도 3 : 본 고안의 사용상태 측면구성도
도 4 : 본 고안의 사용상태 평면구성도
도 5 : 본 고안에 사용되는 체결볼트의 사시도
도 6 : 종래 체결밴드의 요부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체결밴드 (20)--본체
(21)--볼트고정부 (22)--통공
(23)--장공 (24)--체결공
(30)--체결볼트 (31)--나선부
(32)--절곡부 (33)--걸림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체결밴드(10)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4는 사용상태 평단면구성도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체결밴드(10)의 본체(20) 구성은 종래와 같다.
즉 체결밴드(10)의 본체(20) 일측 단부에 본체(20)를 절곡하여 구성한 볼트고정부(21)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고정부(21)에는 통공(22)과 장공(23)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20)의 타측에는 등간격으로 길게 구성된 체결공(24)이 뚫려 있다.
상기 체결밴드(10)를 연결하여 체결이 이루어지게 하는 체결볼트(30)는 다음고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체결볼트(30)에 나선부(31)가 형성되게 하고, 나선부(31) 단부에는 일정각도 휘어진 절곡부(32)를 구성하고 상기 절곡부(32)의 끝단부에는 걸림편(33)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편(33)은 대체로 장방형으로 길쭉하게 구성되어 있고 두께는 얇게 구성되게 한다.
또한 상기 걸림편(33)은 체결볼트(30) 몸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길게 구성되게 하므로서 체결볼트(30)의 걸림편(33)이 체결공(24)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 체결볼트(30)를 체결밴드(10)에 조립되게 하는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체결볼트(30)를 체결밴드(10)의 본체(20)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체결볼트(30)의 걸림편(33)이 체결공(24)과 나란히 위치되게 한 다음 걸림편(33)이 체결공(24)에 완전히 끼워지게 하고, 걸림편(33)이 체결공(24)에 끼워지면 체결볼트(30)를 회전시켜 체결밴드(10)의 본체(20)와 나란한 상태가 되게 한다.
이때 걸림편(33)은 장공(24)에 대하여 수직으로 교차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는 체결공(24)으로부터 걸림편(33)이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한 상태에서 체결볼트(30)의 나선부(31)를 본체 일측 단부에 구성된 볼트고정부(21)의 장공(24)과 통공(22)을 관통되게 하고, 통공(22)을 관통한 체결볼트(30)의 나선부(31)에 너트(34)를 나사결합하여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40)은 전주, (41)은 구조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4에서와 같이 전주(40) 일측에 케이블 보호관체와 같은 구조물(41)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구조물(41)을 전주(40)와 일체형으로 결속고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게 된다는 것은 종래와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의 체결밴드(10)는 체결작업 중 체결밴드(10) 본체(20)에 구성된 체결공(24)으로부터 체결볼트(30)가 이탈되지 않는다.
다시 설명하면 체결공(24)에 끼워진 체결볼트(30)의 걸림편(33)이 체결공(24)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교차되면서 걸림편(33) 상하길이가 체결공(24)의 상하폭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공(24)으로부터 체결볼트(30)의 걸림편(33)이 이탈, 즉 분리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체결밴드(10)는 체결볼트(30)가 체결공(24)으로부터 이탈할 염려가 없기 때문에 결속작업시 체결밴드(10)의 본체(20)를 잡고 체결볼트(30)의 나선부(31)에 결합된 너트(34)를 죄이는 작업만 하면 되므로 체결밴드(10)의 결속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체결볼트(30)의 걸림편(33)의 두께가 얇게 구성되어 있어 결속부, 즉 체결볼트(30)의 위치에 관계없이 결속작업을 할 수 있게 되고, 경우에 따라 걸림편 (33)이 전주(40)의 외면과 접촉하더라도 체결밴드(10)가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결속된 외관이 미려할 뿐 아니라 체결볼트(30)의 위치에 관계없이 결속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유는 종래 체결볼트를 이용한 결속작업시에는 체결볼트에 구성된 고리가 내측방향으로 돌출구성되어 있어 고리가 전주 외면에 접촉하게 되면 체결밴드 본체가 전주로부터 돌출되므로 보기가 흉하고 견고한 결속을 기대할 수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 구조물 측면에 형성된 공간부에 체결볼트의 고리가 위치되게 하여야 하나 본 고안에서는 체결볼트(30)의 걸림편(33)이 얇게 구성되어 있어 체결볼트(30)의 위치에 관계없이 결속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체결볼트(30)의 절곡부(32)는 원형으로 구성된 전주(40)의 외면에 체결밴드(10)를 이용한 결속작업시 걸림편(33)이 체결밴드(10)의 본체(20) 내면에 나란하게 접촉되게 하므로서, 걸림편(33)의 체결위치가 전주(40)의 외면과 접하게 되더라도 체결밴드(10)가 돌출되지 않고 전주(40)와 밀착되게 하여 미려하고 견고한 결속을 기대할 수가 있게 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주용 체결밴드를 구성함에 있어서, 체결밴드의 양측 단부를 연결하여 결속이 이루어지게 하는 체결볼트의 일측 단부에 걸림편이 형성된 절곡부를 구성하고, 상기 걸림편이 체결밴드의 본체에 구성된 체결공에 끼워져 결속되게 하므로서 결속작업 중 체결공으로부터 체결볼트가 이탈하는 일 없이 신속하고 견고한 결속작업이 이루어지게 될 뿐 아니라 미려한 외관을 갖는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20) 일측에 구성된 볼트고정부(21)와 타측에 구성된 체결공(24)을 체결볼트(30)로 결속되게 하는 전주용 체결밴드(10)를 구성하되, 상기 체결볼트(30)의 단부에 절곡부(32)를 구성하고, 상기 절곡부(32)의 단부에 걸림편(33)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걸림편(33)이 체결밴드(10)의 체결공(24)에 끼워져 결속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체결밴드.
KR20-2002-0031926U 2002-10-25 2002-10-25 전주용 체결밴드 KR200303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926U KR200303084Y1 (ko) 2002-10-25 2002-10-25 전주용 체결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926U KR200303084Y1 (ko) 2002-10-25 2002-10-25 전주용 체결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585A Division KR20040036982A (ko) 2002-10-25 2002-10-25 전주용 체결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084Y1 true KR200303084Y1 (ko) 2003-02-06

Family

ID=4933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926U KR200303084Y1 (ko) 2002-10-25 2002-10-25 전주용 체결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0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27715A1 (en) Pipe clamp
US20130047409A1 (en) Tie device for elongate articles
KR200303084Y1 (ko) 전주용 체결밴드
KR20040036982A (ko) 전주용 체결밴드
JP4033366B2 (ja) ポール用取付金具
JP3110970U (ja) 電柱用バンド
KR200197233Y1 (ko) 파이프 행거
JP4837447B2 (ja) 螺旋状ケーブルハンガーの支持線固定金具
US10124862B2 (en) Cleat attachable device
KR100967083B1 (ko) 편측 조임용 볼트넛
KR200171104Y1 (ko) 도시가스배관의 고정 클램프
KR200320764Y1 (ko) 콘센트조립체의 장착구조
JP2639404B2 (ja) 電子機器ケースにおける取付部の構造
JP2017189055A (ja) 分線金物留め具
JPH0436177Y2 (ko)
KR890000647Y1 (ko) 전주용 가공지선 지지대 고정장치
JP2578683Y2 (ja) 線、棒状物のクランプ
JPS6246390Y2 (ko)
JPH0140272Y2 (ko)
KR100869301B1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JPH0713386Y2 (ja) 電柱用バンド
JPH0643376Y2 (ja) 電柱用バンド
KR200150690Y1 (ko) 전신주용 케이블 체결장치
JPH0436180Y2 (ko)
JPH03171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