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992Y1 - 유골함 - Google Patents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992Y1
KR200302992Y1 KR20-2002-0033348U KR20020033348U KR200302992Y1 KR 200302992 Y1 KR200302992 Y1 KR 200302992Y1 KR 20020033348 U KR20020033348 U KR 20020033348U KR 200302992 Y1 KR200302992 Y1 KR 2003029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shes
cover
inlet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순
Original Assignee
문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순 filed Critical 문영순
Priority to KR20-2002-0033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9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9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9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골함의 투입구를 통해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유골함 내에 사진을 끼울 수 있도록 한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망자의 유골을 담는 본체(5)와; 이 본체의 투입구(5')에 결합되는 커버(6)로 구성된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커버(6)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5)의 투입구(5')와 마주하도록 일정크기의 팩킹부재(8)가 제공되고, 상기 본체(5)의 내벽에는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사진틀(9)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골함{ASHES URN}
본 고안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골함의 투입구를 통해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유골함 내에 사진을 끼울 수 있도록 한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는 국토는 좁은데다 매장문화가 널리 퍼져 있어 사회적으로나 환경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나 민간차원에서는 화장의 불가피성을 홍보하고 이와 아울러 화장문화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꾸고자 많은 노력을 기우려 왔다.
이러한 노력 때문인지, 근래에는 화장문화가 점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화장문화가 좀더 널리 보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가족들이 거부감 없이 받아들 수 있을 만한 위생적인 납골당이 필수적이다.
납골당을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유골함에 담긴 망자의 유골이 습기 등으로 인해 부패되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한 예로 유골함의 구조를 살펴보면, 유골함(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골을 담는 본체(2)와, 이 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2)의 투입구(2') 외주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나선형돌기(2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나선형돌기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3)의 내주변에는 나선형홈(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2) 안에 망자의 유골을 넣은 후 상기 커버(3)를 본체(2)의 투입구(2')에 정렬시켜 결합하면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유골함의 커버가 단순히 본체의 투입구에 대해 나사 결합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외기가 커버와 본체의 투입구 사이를 통해 본체 안으로 유입되어 유골의 골분을 부패시켜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커버와 본체의 투입구 사이를 유체 밀봉시켜 외기가 유골함의 본체 안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골함의 본체 내에 고인의 사진을 착탈식으로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골함의 본체 내에 봉분 형태의 인공잔디를 제공하여 묘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골함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골함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골함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유골함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유골함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본체 5': 투입구
6: 커버 7: 유골함
8: 팩킹부재 9: 사진틀
10: 인공잔디 11: "L"자형홈
12: 구형돌기 13: "ㄷ"자형 결합돌기
14: "L"자형돌기 15: 받침돌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망자의 유골을 담는 본체와; 이 본체의 투입구에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의 투입구와 마주하도록 일정크기의 팩킹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본체의 내벽에는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사진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골함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골함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자의 유골을 담는 본체(5)와; 이 본체의 투입구(5')에 결합되는 커버(6)로 구성된 유골함(7)에 있어서,
상기 커버(6)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5)의 투입구(5')와 마주하도록 일정크기의 팩킹부재(8)가 제공되고, 상기 본체(5)의 내벽에는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사진틀(9)이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사진틀(9)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은 완전 개구되고 하방은 사진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부분 개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5)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진틀(9)과 바닥 사이의 본체(5) 둘레에는 일정색상의 칼라가 코팅되고 이 칼라로 코팅된 본체(5) 안에는 골분이 넣어지며, 이 골분 위에는 봉분 형태의 인공잔디(10)가 제공되고, 상기 칼라는 황토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사진틀(9) 바로 아래의 칼라 코팅된 부분은 비문 등을 쓰는 면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 면은 비문을 쓰는데 적합한 검정 색상으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진틀(9) 주위에는 나비 또는 꽃 등의 그림이 배경무늬로 장식될 수 있다.
상기 본체(5)의 투입구(5') 외주변에는 "L"자형홈(11)이 형성되고, 이 "L"자형홈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6)의 내주변에는 구형돌기(12)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본체(5)의 투입구(5') 외주변에는 구형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이 구형돌기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6)의 내주변에는 "L"자형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5)의 투입구(5') 외주변에는 "ㄷ"자형 결합돌기(13)가 형성되고, 이 "ㄷ"자형 결합돌기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6)의 내주변에는 "L"자형돌기(14)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도 5 참조).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본체(5)의 투입구(5') 외주변에는 "L"자형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이 "L"자형돌기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6)의 내주변에는 "ㄷ"자형 결합돌기(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5)의 바닥에는 습기가 차지 않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3개소에 받침돌기(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골함(7)의 재질은 유리, 아크릴, 또는 석재 등에서 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유골함에 골분을 넣은 후 잔디로 장식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골함(7)의 커버(6)를 열고 화장처리를 통해 얻어진 유골의 골분을 본체(5) 안에 담는다.
이때, 유골의 골분 양은 망자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황토색으로 코팅된 본체(5) 안에 담겨지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골분 위에 봉분 형태의 인공잔디(10)를 덮은 후, 상기 사진틀(9)에 고인의 사진을 끼워 넣는다.
그런 다음, 팩킹부재(8)가 부착된 커버(6)의 축선을 본체(5)의 축선에 정렬시켜, 상기 커버(6)를 본체(5)를 향해 일정깊이로 내리 누른 후 회전시키면, 상기커버(6)의 구형돌기(12)가 본체(5)의 투입구(5')측 "L"자형홈(11) 안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팩킹부재(8)는 커버(6)의 내면과 본체(5)의 투입구(5') 테두리면 사이에서 일정깊이로 눌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어떤 외기나 습기도 본체(5) 안으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나아가, 상기 팩킹부재(8)는 원래위치로 복원되려는 성질이 있어 상기 커버(6)의 구형돌기(12)는 본체(5)의 "L"자형홈(11) 안에서 일정압력으로 밀착 고정되게 된다.
다른 한편, 커버(6)의 내벽에 "L"자형돌기(14)가 형성되고 본체(5)의 투입구(5') 외주변에 "ㄷ"자형 결합돌기(13)가 마련된 경우, 커버(6)의 축선을 본체(5)의 축선에 정렬시켜 커버(6)를 본체(5)를 향해 일정깊이로 내리 누른 후 회전시키면, 상기 "L"자형돌기(14)의 하단이 본체(5)의 "ㄷ"자형 결합돌기(13) 안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팩킹부재(8)는 커버(6)의 내면과 본체(5)의 투입구(5') 테두리면 사이에서 일정깊이로 눌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어떤 외기나 습기도 본체(5) 안으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나아가, 상기 팩킹부재(8)는 원래위치로 복원되려는 성질이 있어 상기 커버(6)의 "L"자형돌기(14)의 하단은 본체(5)의 "ㄷ"자형 결합돌기(13) 안에서 일정압력으로 밀착 고정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골함의 커버와 본체의 투입구 사이를 유체 밀봉시켜 외기가 유골함의 본체 안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나아가, 본 고안은 유골함의 본체 내에 고인의 사진을 착탈식으로 끼울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유골함의 본체 내에 봉분 형태의 인공잔디를 제공하여 묘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8)

  1. 망자의 유골을 담는 본체(5)와; 이 본체의 투입구(5')에 결합되는 커버(6)로 구성된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커버(6)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본체(5)의 투입구(5')와 마주하도록 일정크기의 팩킹부재(8)가 제공되고, 상기 본체(5)의 내벽에는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사진틀(9)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틀(9)과 바닥 사이의 본체(5) 둘레에는 일정색상의 칼라가 코팅되고 이 칼라로 코팅된 본체(5) 안에는 골분이 넣어지며, 이 골분 위에는 봉분 형태의 인공잔디(1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황토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의 투입구(5') 외주변에는 "L"자형홈(11)이 형성되고, 이 "L"자형홈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6)의 내주변에는 구형돌기(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의 투입구(5') 외주변에는 구형돌기가 형성되고, 이 구형돌기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6)의 내주변에는 "L"자형홈이 형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의 투입구(5') 외주변에는 "ㄷ"자형 결합돌기(13)가 형성되고, 이 "ㄷ"자형 결합돌기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6)의 내주변에는 "L"자형돌기(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의 투입구(5') 외주변에는 "L"자형돌기가 형성되고, 이 "L"자형돌기에 상응하여 상기 커버(5)의 내주변에는 "ㄷ"자형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의 바닥에는 습기가 차지 않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적어도 3개소에 받침돌기(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KR20-2002-0033348U 2002-11-07 2002-11-07 유골함 KR2003029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348U KR200302992Y1 (ko) 2002-11-07 2002-11-07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348U KR200302992Y1 (ko) 2002-11-07 2002-11-07 유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992Y1 true KR200302992Y1 (ko) 2003-02-11

Family

ID=4933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348U KR200302992Y1 (ko) 2002-11-07 2002-11-07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9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329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cological burial
US20060179623A1 (en) Degradable urn
KR101821155B1 (ko) 진공 유골함
US8286314B1 (en) Cremation remains system for memorializing a decedent
KR200302992Y1 (ko) 유골함
JP3193921U (ja) ペットメモリアルプランター
KR20100117466A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101844115B1 (ko) 유골함
KR101875157B1 (ko) 미니어처 봉분
KR200240508Y1 (ko) 황토 유골함
CN209519066U (zh) 具镭射激光三维效果的人造水晶骨灰罐
KR200356988Y1 (ko) 부부합장 유골함
KR200179104Y1 (ko) 납골단지
KR100778556B1 (ko) 봉안함 및 그를 이용한 납골방법
JP3001477U (ja) 骨つぼ
KR200437150Y1 (ko) 수목장용 납골함
KR200397432Y1 (ko) 납골함
USD497233S1 (en) Surface ornamentation for caskets
KR200380182Y1 (ko) 단지형 유골함
KR200325773Y1 (ko) 유골 보관용 봉투
JP3027537U (ja) ペットの為の墓碑
USD491710S1 (en) Surface ornamentation for caskets
KR200256677Y1 (ko) 납골함 패킹구조
KR19990007233U (ko) 상여유골함
USD497234S1 (en) Surface ornamentation for cask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