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555Y1 - 중간정산 기능을 갖는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정산장치 - Google Patents

중간정산 기능을 갖는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정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555Y1
KR200302555Y1 KR20-2002-0034008U KR20020034008U KR200302555Y1 KR 200302555 Y1 KR200302555 Y1 KR 200302555Y1 KR 20020034008 U KR20020034008 U KR 20020034008U KR 200302555 Y1 KR200302555 Y1 KR 2003025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terminal
signal
facility
sett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0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구
Original Assignee
조석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석구 filed Critical 조석구
Priority to KR20-2002-00340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5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5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5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도한 금액의 사용방지 및 RF태그의 분실우려를 해소하도록 하기 위해 선불식 요금정산 체계와 중간정산기능을 갖는 알에프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RF태그가 내장된 락커키, 카드 등을 사용자가 지니고 시설 내로 입장하고, 출입허가인증 및 이용요금, 물품 구입요금 사항이 출입문 단말기, 정산소 단말기, 판매업장 단말기에서 상기 RF태그의 RF신호를 리딩함에 의해 정산용 컴퓨터에서 확인 및 정산될 수 있도록 한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단말기, 정산소 단말기, 판매업장 단말기는 락커키, 카드 등의 RF태그에 시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RF신호로 입력하여 사용가능한 금액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충전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를 제공한다.
동시에 본 고안은 판매업장 단말기가, 락카키, 카드 등의 RF태그에 저장된 잔여금액에 대한 신호를 리딩하기 위한 RF리더와; 상기 리딩된 신호를 입력받아 구입될 물품의 책정금액인 대상요금과 RF태그에 기록된 잔액을 수치연산하여 물품제공의 가능, 불가능을 판단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물품제공의 가능, 불가능 사유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신호가 물품제공 가능일 경우 구동되어 자동판매기 내에 보관된 물품을 외부로 제공하는 자동판매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간정산 기능을 갖는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Fare adjustment system using RF tag, having the function of intermediate settlement}
본 고안은 중간정산 기능을 갖는 알에프 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과도한 금액의 사용방지 및 RF태그의 분실우려를 해소하도록 하기 위해 선불식 요금정산 체계와 중간정산기능을 갖는 정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영장, 사우나 등의 시설 내에는 시설물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금 또는 카드 등의 결제수단을 휴대하기 불가능하여, 최근들어 신체에 착용되는 락커열쇠 등에 RF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는 RF태그를 적용하고, 시설물을 이용할 때 RF태그에 이용요금이 기록되도록 하여 시설물 외부로 퇴장할 때 기록된 이용요금을 결제하도록 한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제안된 장치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0003144호 '알에프칩이 내장된 락커키를 이용한 시설물 사용요금정산장치'(이하, 기 출원고안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 출원고안은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RF태그(2)가 내장된 락커키(1)와, 상기 락커키(1)의 접촉에 의해 RF태그(2)의 데이터를 리딩(reading, 읽고) 및 라이팅(writing, 쓰고)하기 위한 출입문, 판매업장, 정산소의 각 단말기(3 4, 5)와, 상기 각 단말기(3, 4, 5)에서 리딩된 RF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록, 요금의 정산, 사용시간 등의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각 단말기로 송출하는 정산용 컴퓨터(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요금 정산장치는 사용자가 시설의 입장시 락커키(1)를 제공받아 시설의 내부로 입장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락커키(1)는 크게 3가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기능을 살펴보면, 우선 통상적인 락커의 시건장치를 해제시키는 열쇠의 역할과, 내장된 RF태그(2)에 의한 출입통제의 허가여부에 대한 인증 및 각 단말기(3, 4, 5)에서 시설물의 이용요금을 정산할 때 RF태그(2)에 시설물을 사용한 내역 및 요금이 기록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된 요금 정산장치는 락커키(1)를 사용자가 휴대하고 시설물을 이용하며 이용된 내역 및 요금이 RF태그(2)에 기록되도록 한 후, RF태그(2)에 기록된 내역, 요금 등의 사항을 시설의 퇴장시 확인, 정산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된 것과 같은 기 출원고안의 요금 정산장치는 사용자가 일단 시설물의 이용이 인증된 락커키를 이용하여 각종 시설물을 사용하고, 퇴장시 이용요금을 지불하도록 하는 후불식 체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요금후불의 방식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 액수 및 사용가능한 정도를 스스로 인지하고 있는 일반 성인의 경우에는 아무런 문제없이 사용될 수있지만, 이와 같은 인지상태가 다소 낮고 충동적인 발상의 어린아이 또는 소수의 성인일 경우에는 자신의 지불능력에 비해 과다한 요금을 사용하게 되어 퇴장시 시설측과 사용자측 간의 불미스러운 상황이 발생될 소지가 많은 폐단이 발생된다.
또한, 이와 같은 폐단과 더불어 일부 악의적인 사용자가 요금을 정산하지 않기 위해 락커키 자체가 도난되는 경제적 문제점이 수반되며, 특히 각 판매업장에서 시설물을 이용할 때 자신이 사용한 여러 금액을 사용자가 일일히 기억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공하게되고, 이와 같은 번거로움에 의해 시설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시설의 이용요금 정산이 선불식 체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한 금액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요금 정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설내의 판매업장을 관리하는 판매원을 배제하고 판매업장이 자동판매기 등에 의해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한 요금 정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기 출원고안의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 중 요금 확인 및 충전구성의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 중 판매업장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도 2의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의 기능 중 사용허가 과정의 순서도.
도 6은 도 2의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의 요금 정산 및 충전과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RF태그 13: 정산소 단말기
14: 출입문 단말기 15: 판매업장 단말기
16: 정산용 컴퓨터 20, 32: RF리더
21: 중앙처리부 22, 34: 디스플레이부
23: 자동판매기 구동부 30: 충전단말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특징의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RF태그가 내장된 락커키, 카드 등을 사용자가 지니고 시설 내로 입장하고, 출입허가인증 및 이용요금, 물품 구입요금 사항이 출입문 단말기, 정산소 단말기, 판매업장 단말기에서 상기 RF태그의 RF신호를 리딩함에 의해 정산용 컴퓨터에서 확인 및 정산될 수 있도록 한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단말기, 정산소 단말기, 판매업장 단말기는 락커키, 카드 등의 RF태그에 시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RF신호로 입력하여 사용가능한 금액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충전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본 고안은 충전단말기에 의해 사용자가 선불을 지급한 후 시설내에서 사용될 금액을 충전받게 되어 시설관리자 측에서는 안정된 요금 선불식 체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기 판매업장 단말기는, 락카키, 카드 등의 RF태그에 저장된 잔여금액에 대한 신호를 리딩하기 위한 RF리더와; 상기 리딩된 신호를 입력받아 구입될 물품의 책정금액인 대상요금과 RF태그에 기록된 잔액을 수치연산하여 물품제공의 가능, 불가능을 판단하는 중앙처리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물품제공의 가능, 불가능 사유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중앙처리부의 신호가 물품제공 가능일 경우 구동되어 자동판매기 내에 보관된 물품을 외부로 제공하는 자동판매기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자동판매기를 통해 판매업장에는 판매원의 배치가 요구되지 않아 업장의 자동화가 구현된다.
이하, 상기 특징이 적용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요금 정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요금 정산장치는 시설 내의 락커 시건장치를 잠금/해제 할 수 있는 락커키(11) 또는 특정의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는 카드(12)(예로써, 회원증이나 사원증 등)에 내장된 RF태그(10)(알에프 태그, Radio Frequency tag)와, 상기 RF태그(10)의 기록내용을 RF신호에 의해 리딩하는 정산소 단말기(13), 출입문 단말기(14), 판매업장 단말기(15)와, RF태그(10)에 시설 내에서 사용가능한 금액을 RF신호의 데이터로 기록할 수 있는 충전단말기(30)와, 상기 각 단말기(13, 14, 15)에서 리딩된 신호를 처리하여 저장하는 정산용 컴퓨터(16)로 구성된다.
상기 RF태그(10)는 읽기전용, 또는 RFIC태그(예로써, 교통카드 등과 같은)와 같이 읽기/쓰기가 가능한 종류의 것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정산소 단말기(13), 출입문 단말기(14), 판매업장 단말기(15)는 RF태그(10)를 리딩할 수 있는 RF리더(reader)(20) 및 RF태그(10)에 기록된 내용이 현재 시점에서 사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부(21)와, 사용가능/불능 여부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2)의 구성이 공통적으로 갖추어져야 하고,(도 4 참조) 이들 단말기(13, 14, 15)와 정산용 컴퓨터(16) 등은 상호 데이터교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네트워크화 됨이 당연하다.
상기 충전단말기(30)는 RF태그(10)의 종류가 읽기전용, 읽기/쓰기 가능한 것에 의해 2가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단순 읽기전용의 것은 항상 해당 정산용 컴퓨터(16)를 수반하여 사실상 RF태그(10)에 내용을 기록한다 함은 해당 RF태그(10)의 내용이 정산용 컴퓨터(16)에 기록되는 것이며, RFIC태그에는 태그 자체에 내용이 기록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충전단말기(30)는 읽기/쓰기의 종류로 된 RF태그(10) 전용이 됨이 합당하겠지만, 읽기전용의 경우 충전단말기(10) 구성은 정산용 컴퓨터(16)에서 RF태그(10)에 사용금액등을 충전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나 그 프로그램 및 이를 구동시키는 여러 하드웨어에 의한 구성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충전단말기(30)는 충전된 금액이나 사용되고 남은 잔액을 사용자가 확인하기 위한 정산요금 확인단말기(31)를 포함한다.
도 3은 상기 요금 정산장치 중 사용자가 정산요금을 확인하기 위한 정산요금 확인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정산요금 확인단말기(31)는 RF태그(10)의 기록내용을 리딩하기 위한 RF리더(32)와, RF리더(32)에서 리딩된 신호를 처리하여 10진 수치의 신호로 출력하는 신호처리부(33)와, 신호처리부(33)에서 입력받은 신호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10진 수치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4)는 대체로 LCD 또는 7-세그먼트이며, 이들은 부호화된 신호를 입력받아야 하기 때문에 신호처리부는 RF신호의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인코더(encoder)이다.
또한, 상기 정산요금 확인단말기(31)는 읽기전용의 RF태그(10)의 경우에 정산용 컴퓨터(16)의 데이터를 필요로하기 때문에 정산용 컴퓨터(16)와 데이터 교류가능하게 연결됨은 당연하다.
상기 RF리더(32)와 디스플레이부(34)는 정산요금 확인단말기(31)가 전술된 정산소 단말기(13), 출입문 단말기(14), 판매업장 단말기(15)와 별도로 구비될 경우를 감안하여 이들 단말기(13, 14, 15)의 RF리더(20), 디스플레이부(22)와는 서로 다른 것으로 표시하였지만, 이들이 하나의 케이스 내에 결합되었다면 RF리더와 디스플레이부를 각 1개씩만을 선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된 판매업장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판매업장 단말기(15)는 RF리더(20), 중앙처리부(21), 디스플레이부(22), 자동판매기 구동부(23)로 구성된다.
상기 RF리더(20)는 락카키(11), 카드(12) 등의 RF태그(10)에 저장된 잔여금액에 대한 신호를 리딩하며, 상기 중앙처리부(21)는 리딩된 신호를 입력받아 구입될 물품의 책정금액인 대상요금과 RF태그(10)에 기록된 잔액을 수치연산하여 물품제공의 가능, 불가능을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중앙처리부(21)의 신호를 전달받아 물품제공의 가능, 불가능 사유를 외부로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처리부(21)는 CPU, MPU 등의 중앙처리장치이며, 디스플레이부(22)는 LCD, 7-세그먼트 등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자동판매기 구동부(23)는 중앙처리부(21)의 신호가 물품제공 가능일 경우 구동되어 자동판매기(P) 내에 보관된 물품을 외부로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상기된 RF태그에 의해 시설의 내부로 출입하거나 시설물의 이용 및물품을 구입할 때 그 사용여부의 인증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RF태그(10)를 시설의 내부로 출입, 시설물의 사용, 물품의 구입을 위해 각 단말기(13, 14, 15)에 대향시키게 되면, RF리더(20)는 RF태그(10)의 기록내용을 리딩하고,(S1) 리딩된 신호의 데이터는 중앙처리부(21)로 입력되어 RF태그(10)가 정식적인 절차에 의해 제공된 것인지의 여부를 인증하기 위해 이미 허가된 기록사항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S3)
여기서, 상기 기록사항이 허가되지 않은 내용의 것이라면 RF태그(10)의 사용불능사유를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표시하고, 허가된 내용의 것이라면 RF태그(10)의 사용을 허가한다는 문구를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표시한 후,(S4) 사용허가의 데이터를 정산용 컴퓨터(16)로 송출하게 된다.(S5)
이와 같은 과정의 수행 후, 위의 과정을 수행한 사용자가 시설물을 이용하기 위한 목적 또는 물품을 구입하고자 하는 목적(RF태그를 판매업장에서 사용한 경우)이라면 요금정산과정이 수행된다.
도 6은 상기된 요금정산과정 및 요금정산과정에서 사용가능금액이 부족한 경우 충전을 유도하는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서와 같은 RF태그(10)의 사용여부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S10) 단말기(15)의 중앙처리부(21)는 RF신호 중 요금에 관한 데이터에서 잔액이 0보다 큰 수치인지를 판단한다.(S11)
이와 같이 판단하여 잔액이 0과 같다면 후술될 충전과정으로 유도하고, 잔액이 0보다 큰 수치라면 중앙처리부(21)는 RF태그(10)에 기록된 잔액과 사용자가 선택한 물품의 구입요금인 대상요금을 감산연산하여 연산결과가 0보다 크거나 같은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
상기 판단에서 연산결과가 0보다 적은 수치라면 거래불가 사유를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표시하며 후술될 충전과정으로 유도하고, 0보다 크거나 같은 수치라면 대상취득을 허가하고 자동판매기 구동부(23)를 구동시켜 사용자가 물품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다.(S13)
이 때, 상기 연산결과가 0과 같은 수치라면 후술될 충전과정으로 유도하고, 0이 아니라면(즉, 0보다 큰 수치라면) 거래데이터를 정산용 컴퓨터(16)로 송출하고 정산과정을 완료하게 된다.(S14-S15)
상기된 여러 단계에서 언급된 충전과정은 각각의 단말기(13, 14, 15)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부(22)를 통해 사용자에게 충전을 요구하는 표시를 하고, 사용자가 충전을 요구한다면 충전금액을 선택한 후,(S16-S17) RF태그(10)에 충전내용을 기록하여 충전과정을 완료한다.(S18)
이 때, 상기 사용자에 의한 충전여부의 선택은 통상의 선택스위치장치를 적용함에 의해 그 구성이 만족되며, 사용자가 충전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요금정산 과정을 완료하게 되며, 이와 같은 충전여부의 선택은 사용자가 시설물 내에서 수시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된 내용에서 물품의 대상요금 및 RF태그(10)의 잔액 등의 금액에 관계된 데이터는 정산용 컴퓨터(16)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것이며, 이 데이터 베이스를 근거하여 금액정산에 대한 전과정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요금의 정산이 선불식 체계에 의해 수행되어 사용자가 시설의 퇴장시 요금을 지불 못하게 되어 발생되는 불미스러운 폐단이 해소되고,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RF태그가 내장된 락커키나 카드, 사원증 등이 도난되어야 하는 원인을 배제하여 고가의 RF제품의 도난우려가 해소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시설 내의 판매업장에서 사용된 이용요금 및 잔여요금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하고, 이를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설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판매업장의 물품 구입이 자동판매기에 의해 수행되어 업장의 자동화가 실현되며, 이로인해 각 판매업장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채용에 의한 인건비 감소에 따른 경제적인 이익을 제공받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RF태그(2)가 내장된 락커키(1)등을 사용자가 지니고 시설 내로 입장하고, 출입허가인증 및 이용요금, 물품 구입요금 사항이 출입문 단말기(3), 정산소 단말기(5), 판매업장 단말기(4)에서 상기 RF태그(2)의 RF신호를 리딩함에 의해 정산용 컴퓨터(6)에서 확인 및 정산될 수 있도록 한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에 있어서,
    출입문 단말기(14), 정산소 단말기(13), 판매업장 단말기(15)는 락커키(11), 카드(12) 등의 RF태그(10)에 시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을 RF신호로 입력하여 사용가능한 금액을 충전할 수 있도록 한 충전단말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정산 기능을 갖는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말기(30)는
    락카키(11), 카드(12) 등에 내장된 RF태그(10)에 저장된 신호를 리딩(reading)하기 위한 RF리더(32)와;
    상기 RF리더(32)에서 리딩된 신호를 입력받아 10진의 수치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신호처리부(33)와;
    상기 처리된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4);로 이루어져 정산용 컴퓨터(16)와 신호 전달가능하도록 연결된 정산요금 확인단말기(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정산 기능을 갖는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업장 단말기(15)는
    락카키(11), 카드(12) 등의 RF태그(10)에 저장된 잔여금액에 대한 신호를 리딩하기 위한 RF리더(20)와;
    상기 리딩된 신호를 입력받아 구입될 물품의 책정금액인 대상요금과 RF태그(20)에 기록된 잔액을 수치연산하여 물품제공의 가능, 불가능을 판단하는 중앙처리부(21)와;
    상기 중앙처리부(21)의 신호를 전달받아 물품제공의 가능, 불가능 사유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와;
    상기 중앙처리부(21)의 신호가 물품제공 가능일 경우 구동되어 자동판매기(P) 내에 보관된 물품을 외부로 제공하는 자동판매기 구동부(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간정산 기능을 갖는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 정산장치.
KR20-2002-0034008U 2002-11-14 2002-11-14 중간정산 기능을 갖는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정산장치 KR2003025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08U KR200302555Y1 (ko) 2002-11-14 2002-11-14 중간정산 기능을 갖는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정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008U KR200302555Y1 (ko) 2002-11-14 2002-11-14 중간정산 기능을 갖는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정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555Y1 true KR200302555Y1 (ko) 2003-02-11

Family

ID=4939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008U KR200302555Y1 (ko) 2002-11-14 2002-11-14 중간정산 기능을 갖는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정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5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872B1 (ko) 가상카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4083430B2 (ja) 電子決済システム、決済装置及び端末
US4023012A (en) System for verifying the user of a card
KR100531075B1 (ko) 대금결재 시스템
US6273334B1 (en) Electronic-money rewarding system for lost and found IC card
US20030163434A1 (en) Parking fee payment system
JP2000501464A (ja) ロック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H07507647A (ja) 物または用役を提供する端末に介入する方法
KR100538477B1 (ko) 가상신용카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5299828B2 (ja) 自転車レンタルシステム
CN100492420C (zh) 光学支付发射机
KR200302555Y1 (ko) 중간정산 기능을 갖는 알에프태그를 이용한 시설물 요금정산장치
JP2005293402A (ja) レンタサイクルシステム
JP4484156B2 (ja) ポイント管理システム
JP2003022460A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管理方法
JP2729493B2 (ja) 店舗用駐車場管理装置
JP2002329150A (ja) 電子通貨送受信端末装置、電子通貨送受信方法、電子通貨送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代金決済装置、代金決済方法、代金決済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記録媒体、電子通貨送受信決済システム
JP4621340B2 (ja) 携帯端末機と携帯端末機による料金の決済方法
JP2001312752A (ja) 駐車場と自動販売機の決済方法とその装置
JPH04127289A (ja) 認証及びプリペイド機能を有する多機能icカードシステム
JP3356682B2 (ja) 認証決済装置
KR100493743B1 (ko) 무선신호 수동 송출 기능이 포함된 무선통신 전자식별시스템과 그에 적합한 휴대용전자장치
JPS5828277Y2 (ja) 自動取引処理装置
JP4483135B2 (ja) 現金立替機及びこの現金立替機を備えた公衆施設
WO2018179422A1 (ja) 決済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