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994Y1 -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994Y1
KR200301994Y1 KR20-2002-0028974U KR20020028974U KR200301994Y1 KR 200301994 Y1 KR200301994 Y1 KR 200301994Y1 KR 20020028974 U KR20020028974 U KR 20020028974U KR 200301994 Y1 KR200301994 Y1 KR 2003019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aggregate
tank
water tank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수
Original Assignee
(유)그린환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그린환경건설 filed Critical (유)그린환경건설
Priority to KR20-2002-0028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9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9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9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water impul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콘크리트를 건축이나 토목의 골재의 원료로 하여 재생골재를 제조하는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폐콘크리트의 파쇄중에 발생되는 여러 가지 이물질(산업폐기물)을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걸러내도록 한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일정한 저수용량을 갖는 역삼각형 하부구조의 수조(10)와, 상기 수조(10) 내부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골재배출 컨베이어(12)와, 상기 골재배출 컨베이어(12)의 하부 수조(10)에 설치되고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토분을 이송시켜 토분 배출슈트(14)로 배출시키게 하는 이송스크류(16)와, 상기 수조(10)의 내부에 설치되고 고압분사에 의해 물살을 일으켜 이물질을 부상시키도록 상향되는 분사노즐을 갖는 분사파이프(18)와, 부상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경로와 반대되는 수조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배출흐름을 일으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안내분사파이프(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Floating dust exclusion apparatus using for high air pressure spray}
본 고안은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콘크리트를 건축이나 토목의 골재의 원료로 하여 재생골재를 제조하는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폐콘크리트의 파쇄중에 발생되는 여러 가지 이물질(산업폐기물)을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걸러내도록 한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 처리를 통한 재생골재 생산기술은 최근 매립지의 절약으로 인한 국토이용의 효율화, 건설폐기물 재활용에 따른 직간접 이익 등 연간 수천억원에 달하는 경제적 이득을 가져옴은 물론 자원절약과 재상용에 따른 자원 보존효과가 지대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사회적인 관심이 부족하여 선별처리 및 재활용기술의 개발 및 보급이 잘 되지 않고 있고, 폐기물 처리체계 및 기술이 전반적으로 미흡한 실정에 있다.
건설폐기물중 토사는 오염된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재활용되고 있으며, 폐콘크리트와 폐아스팔트 콘크리트는 현재 일부 기업에서 파쇄처리장비를 자체 개발 또는 외국에서 직도입하거나 기술제휴에 의한 장비 및 설비 시스템의 도입을 추진하였으나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재활용품의 사용실적도 미미한 실정이다.
최근 정부의 도시 재개발, 재건축 활성화 정책에 따라 가속화되는 구조물 해체공사로 인해 건설폐기물이 급증하고 있어 폐기물의 효율적 처리가 불가피한 실정에 있다.
이렇게 대량 발생된 건설폐기물 중 일부는 단순 매립형 재활용 정도로 사용되고 일부는 매립지로 직송되고 있어 국가자원 낭비는 물론 국가 경제 손실을 가중시키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골재 부존자원 감소는 한천 골재 공급중심에서 산림골재 채취공급의 이동과정을 거치고 있어 자원 훼손이 크게 우려되고 있는 상황에 고부가가치의 재생골재 생산기술 개발은 국가적인 숙명과제이며,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업체로서도 양질의 재활용골재를 생산 보급함으로서 건설업체의 원가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건설폐기물은 일반적으로 잔토, 콘크리트 폐재, 아스팔트폐재, 건설오니, 나무조각, 종이류, 금속류, 폐플라스틱, 폐유리 및 폐도자기류 등이 혼재된 상태에서 배출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건설폐기물은 생활폐기물이나 제조업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과는 달리 폐기물 발생장소가 일정하지 않고 배출량이 많으며, 폐기물 종류도 다양하다. 따라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많은 정교한 처리과정을 거쳐야만 된다. 그러나 기존의 단순한 죠 크러셔나 임팩트 크러셔등을 이용한 파쇄공정으로선 이러한 불순물 분리가 어려워 재활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철저한 분리선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단순한 매립이나 보조기층재 등으로 밖에 재활용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 기술적 선결과제이다.
또한 철저한 선별을 위해 많은 인력을 투입할 수 없으므로 인력의 투입없이 자동으로 골재와 부유 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 본 고안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폐콘크리트를 건축이나 토목의 골재의 원료로 하여 재생골재를 제조하는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폐콘크리트의 파쇄중에 발생되는 여러 가지 이물질(산업폐기물)을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걸러내도록 한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조, 12: 골재배출 컨베이어,
14: 토분 배출슈트, 16: 이송스크류,
18: 분사파이프, 20: 이물질 배출 컨베이어,
22: 이물질 안내 분사파이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을 이용하여 재생골재를 제조하는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정한 저수용량을 갖는 역삼각형 하부구조의 수조와, 상기 수조 내부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골재배출 컨베이어와, 상기 골재배출 컨베이어의 하부 수조에 설치되고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토분을 이송시켜 토분 배출슈트로 배출시키게 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고압분사에 의해 물살을 일으켜 이물질을 부상시키도록 상향되는 분사노즐을 갖는 분사파이프와, 부상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경로와 반대되는 수조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배출흐름을 일으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안내분사파이프를 포함하여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며, 도 3 은 도 2 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건설폐기물을 이용하여 재생골재를 제조하는 재생골재제조시스템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정한 저수용량을 갖는 역삼각형 하부구조의 수조(10)와, 상기 수조(10) 내부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골재배출 컨베이어(12)와, 상기 골재배출 컨베이어(12)의 하부 수조(10)에 설치되고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토분을 이송시켜 토분 배출슈트(14)로 배출시키게 하는 이송스크류(16)와, 상기 수조(10)의 내부에 설치되고 고압분사에 의해 물살을 일으켜 이물질을 부상시키도록 상향되는 분사노즐을 갖는 분사파이프(18)와, 부상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이물질 배출 컨베이어(20)와 반대되는 수조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배출흐름을 일으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안내분사파이프(22)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방법에서는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면 1차 죠 파쇄기, 진동식 스크린을 이용하여 20mm 석분분리를 하는 선별스크린, 2차 죠 파쇄, 자선기, 재생골재 완제품 배출 순서로 공정이 이루어졌지만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수조 및 부대장치와 골재 세척용 물분사기를 선별스크린과 2차 죠 파쇄단계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2차 죠 파쇄기에 들어가도록 하였다.
즉, 선별스크린을 통하여 나온 재생골재가 이송 컨베이어(도시안됨)에 의해 수조(10)에 낙하하면 수면 아래에 있는 골재배출 컨베이어(12)에 떨어지게 되고, 이 때 폐기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부유되지만 물보다 비중이 크고 입자가 작은 플라스틱이나 철재류 등은 가라앉게 된다.
이 때 수면 아래에 위치된 분사파이프(18)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고압분사압력에 의해 와류를 일으켜 상기 비중이 큰 이물질을 부상시킨다.
부상된 이물질은 수조(10)의 측부에 구성된 이물질안내 분사파이프(22)에서 분사되는 분사력에 의해 이물질 배출 컨베이어(20)쪽으로 안내되어 배출된다.
이외에 입자가 미세한 토분은 이송스크류(16)의 작동에 의해 배출슈트(14)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기존의 건설폐기물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부유 이물질을 고압 압축공기의 분사와 물 분사를 통해 완전하게 분리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재생골재의 품질이 개선되는 지대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건설폐기물을 이용하여 재생골재를 제조하는 재생골재 제조시스템에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일정한 저수용량을 갖는 역삼각형 하부구조의 수조(10)와, 상기 수조(10) 내부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노출되도록 연장 설치되는 골재배출 컨베이어(12)와, 상기 골재배출 컨베이어(12)의 하부 수조(10)에 설치되고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토분을 이송시켜 토분 배출슈트(14)로 배출시키게 하는 이송스크류(16)와, 상기 수조(10)의 내부에 설치되고 고압분사에 의해 물살을 일으켜 이물질을 부상시키도록 상향되는 분사노즐을 갖는 분사파이프(18)와, 부상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경로와 반대되는 수조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배출흐름을 일으켜 이물질을 걸러내는 이물질 안내분사파이프(2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
KR20-2002-0028974U 2002-09-27 2002-09-27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019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974U KR200301994Y1 (ko) 2002-09-27 2002-09-27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974U KR200301994Y1 (ko) 2002-09-27 2002-09-27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994Y1 true KR200301994Y1 (ko) 2003-01-24

Family

ID=49330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974U KR200301994Y1 (ko) 2002-09-27 2002-09-27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99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11B1 (ko) 2009-11-18 2011-05-30 현대이엔티주식회사 건설 폐기물의 분리 배출장치의 골재 배출 컨베이어
KR101071633B1 (ko) * 2009-11-18 2011-10-10 현대환경산업(주) 부유물의 안정된 배출구조를 갖는 건설 폐기물의 분리 배출장치
CN113776062A (zh) * 2021-08-16 2021-12-10 江苏德誉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医疗垃圾分类处理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11B1 (ko) 2009-11-18 2011-05-30 현대이엔티주식회사 건설 폐기물의 분리 배출장치의 골재 배출 컨베이어
KR101071633B1 (ko) * 2009-11-18 2011-10-10 현대환경산업(주) 부유물의 안정된 배출구조를 갖는 건설 폐기물의 분리 배출장치
CN113776062A (zh) * 2021-08-16 2021-12-10 江苏德誉环保设备科技有限公司 医疗垃圾分类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2141236B1 (ko) 각종 준설토용 정화시스템
CN211100741U (zh) 盾构渣土零排放处理系统
KR20040004294A (ko) 재생골재를 위한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장치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CN104084413A (zh) 混凝土废料回收分离再利用设备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20050050320A (ko)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 방법 및 장치
KR200301994Y1 (ko) 고압 공기분사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9990017560A (ko) 건축 폐기물의 재활용 처리공정
CN217190089U (zh) 一种湿法制砂生产线
KR20070109737A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KR100674006B1 (ko) 건설폐기물 재생용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070019780A (ko) 건설폐기물 토사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112962B1 (ko) 오염토 세척 선별 장치
KR100624444B1 (ko) 유류오염 건설폐자재의 재생공법
KR100314386B1 (ko) 건설폐재류의 선별세척장치 및 그 방법
KR101533924B1 (ko) 폐목재의 재활용을 통한 우드펠릿 제조 방법
KR102197340B1 (ko)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KR200357648Y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청정 재생 골재 생산용 자동 이물질분리 제거 장치
KR20050051428A (ko)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KR100608480B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청정 재생 골재 생산 방법
KR200396099Y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