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701Y1 -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701Y1
KR200301701Y1 KR20-2002-0030072U KR20020030072U KR200301701Y1 KR 200301701 Y1 KR200301701 Y1 KR 200301701Y1 KR 20020030072 U KR20020030072 U KR 20020030072U KR 200301701 Y1 KR200301701 Y1 KR 200301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pper
hopper
engaged
guide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진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진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진기연
Priority to KR20-2002-0030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7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공체로 이루어진 소직경의 경량 합성수지재 세척볼 내부에 수분을 신속 용이하게 흡수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실사용하기전의 사전 준비 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세척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세척볼용 물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일측 하부에는 유입구와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전방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일정량의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저수공간부의 하부에는 중앙을 가로막는 차단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저수공간부 상부에 위치하는 일내측면으로 부터 하부 중앙에는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일측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 가이드 호퍼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 가이드 호퍼의 일측 끝단에는 절곡된 형태의 또다른 절곡 가이드 호퍼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저수공간부 일측에는 일측 전방에 형성된 배출구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결 형성된 가이드 배출 호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절곡 가이드 호퍼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 1 구동 모터와 치합을 이루고 있는 회동롤과 치합을 취하고 있되, 일측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판과 소정의 유격을 형성토록 설치된 컨베이어 밸트로 이루어진 압착 이송부와; 상기, 제 1 구동모터와 상반되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구동모터와 연동 가능하게 치합을 취하고 있어 이를 구동원으로 하여 무한궤도운행을 이룰 수 있는 컨베이어 체인으로 이루어진 인출 이송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SUCTION APPARATUS FOR CLEANING BALL OF TUBE}
본 고안은 원자력 발전소 등의 시설물을 연결하는 배관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 세척볼을 적셔 줄 수 있도록 한 세척볼용 물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공체로 이루어진 소직경의 경량 합성수지재 세척볼 내부에 수분을 신속 용이하게 흡수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실사용하기전의 사전 준비 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세척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세척볼용 물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 등의 시설물을 연결하는 배관 파이프 라인의 내면은 주기적인 세척을 가해야 한다.
이는 배관 내면에 퇴적되는 노폐물에 의해 유기체의 정상적인 흐름이 방해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세척작업은 통상적으로 다공체로 이루어진 소직경의 합성수지재 세척볼을 관내에 유기체와 동시에 다량 유입시켜 실시하게 된다.
그러면, 유기체와 동시에 관 내부를 경유하는 세척볼은 관 내면에 퇴적된 퇴적물과 마찰을 빚고 이동하는 가운데 외표면에 퇴적물을 묻혀 세척을 취하며 배출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척을 취하는데 이용되는 세척볼은 실사용전에 사전 준비작업이 뒤따라야만이 효과적인 실사용이 가능했다.
여기서 말하는 사전 준비 작업이란 세척볼 내에 물을 충분히 적셔주는 것을말하는데, 이는 세척볼이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있는 관계로 물기의 흡수를 효과적으로 취할 수 없어 원상태 그대로 유기체와 동시에 관내로 유입시키게 되면 부력 작용에 의해 관 내면 전체의 효과적인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관 내면의 효과적인 세척작업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시하는 세척볼의 사전 준비 작업을 취하는데 있어서는 여러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준비 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취할 수 없어 세척작업을 취하는데 있어 여러 불편과 전체적인 세척 작업 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일히 수작업에 의존하여 세척볼을 적셔 준 후 공급하였기 때문이다.
둘째, 세척볼을 효과적으로 적셔 줄 수 없어 실사용시 효과적인 세척 행정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세척볼을 효과적으로 적셔주기 위해서는 수중에서 여러번에 걸쳐 다공체로 이루어진 세척볼을 가압하여야지만 수분 유입이 가능하나 세척작업시 이용되는 다량의 세척볼을 상술한 바와같이 수작업을 통해 일일히 이루기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공체로 이루어진 소직경의 합성수지재 세척볼 내부에 수분을 신속 용이하게 흡수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실사용하기전의 사전 준비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취해 세척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세척볼용 물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일측 하부에는 유입구와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전방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일정량의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저수공간부의 하부에는 중앙을 가로막는 차단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저수공간부 상부에 위치하는 일내측면으로 부터 하부 중앙에는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일측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 가이드 호퍼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 가이드 호퍼의 일측 끝단에는 절곡된 형태의 또다른 절곡 가이드 호퍼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저수공간부 일측에는 일측 전방에 형성된 배출구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결 형성된 배출 가이드 호퍼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절곡 가이드 호퍼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 1 구동 모터와 치합을 이루고 있는 회동롤과 치합을 취하고 있되, 일측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판과 소정의 유격을 형성토록 설치된 컨베이어 밸트로 이루어진 압착 이송부와;
상기, 제 1 구동모터와 상반되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구동모터와 연동 가능하게 치합을 취하고 있어 이를 구동원으로 하여 무한궤도운행을 이룰 수 있는 컨베이어 체인으로 이루어진 인출 이송부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인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우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좌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유입구
12 : 배수구 13 : 배출구
14 : 저수공간부 15 : 차단판
16 : 가이드판 17 : 경사 가이드 호퍼
18 : 절곡 가이드 호퍼 19 : 배출 가이드 호퍼
20 : 압착 이송부 21 : 제 1 구동모터
22 : 회동롤 23 : 컨베이어 밸트
30 : 인출 이송부 31 : 제 2 구동모터
32 : 컨베이어 체인 33 : 환봉
34 : 아타치먼트 40 : 세척볼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우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의 구성상태를 도시한 좌측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하부에는 유입구(11)와 배수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전방에는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일정량의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공간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저수공간부(14)의 하부에는 중앙을 가로막는 차단판(15)이 설치되어 있으며, 저수공간부(14) 상부에 위치하는 일내측면으로 부터 하부 중앙에는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판(16)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일측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 가이드 호퍼(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 가이드 호퍼(17)의 일측 끝단에는 절곡된 형태의 또다른 절곡 가이드 호퍼(18)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저수공간부(14) 일측에는 일측 전방에 형성된 배출구(13)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결 형성된 배출 가이드 호퍼부(19)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곡 가이드 호퍼(18)의 하부에는 제 1 구동 모터(21)와 치합을 이루고 있는 회동롤(22)과 또다시 치합을 취하고 있되, 일측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판(16)과 소정의 유격을 형성토록 설치된 컨베이어 밸트(23)로 이루어진 압착 이송부(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모터(21)와 상반되는 본체(10) 내부에는 제 2 구동모터(31)와 연동 가능하게 치합을 취하고 있어 이를 구동원으로 하여 무한궤도운행을 이룰 수 있는 컨베이어 체인(32)으로 이루어진 인출 이송부(3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인출 이송부(30)를 구성하고 있는 컨베이어 체인(32)은 등간격으로 환봉(33)을 연결 고정하고 있는 아타치먼트(34)가 연결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동과 이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이는, 저수공간부(14)에 일정량의 물을 유입 저장한 후 제 1, 제 2 구동모터(21),(31)를 작동시키면 가동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에 있어 가장 핵심 구성인 압착 이송부(20)는 제 1구동모터(21)의 작동과 동시에 연동을 취해 컨베이어 밸트(23)를 무한궤도 운행시키게 된다.
이때, 제 1구동모터(21)의 동력은 컨베이어 밸트(23)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회동롤(22)을 경유하여 전달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건베이어 밸트(23)의 진행방향과 회동롤(22)의 진행방향은 상반된다.
그리고, 인출 이송부(30)는 제 2구동모터(31)의 작동과 치합되어 있는 컨베이어 체인(32)을 연동시켜 무한궤도 운행시키게 된다.
이러한 운행 가동이 시작되면 작업자는 경사 가이드 호퍼(17)의 상부에 세척볼(40)을 투입하면 된다.
그러면 투입된 세척볼(40)은 이 경사 가이드 호퍼(17)를 따라 일측에 연결 위치된 절곡 가이드 호퍼(18)측으로 자연 유하하게된다.
그리고, 이렇게 절곡 가이드 호퍼(18) 측으로 자연 유하된 세척볼(40)은 컨베이어 밸트(23)와 가이드판(16)이 형성하고 있는 소정의 공간부로 낙하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컨베이어 밸트(23)와 가이드판(16)이 형성하고 있는 소정의 공간부로 낙하 이동하기전 세척볼(40)은 회동롤(22)을 사전 경유하게 되는데 여기서 회동롤(22)은 컨베이어 밸트(23)와 상반되는 회동을 취하게 되므로 낙하 유입되는 세척볼(40)이 일정량 이상 유입되는 현상을 사전 방지하여 유입측에 부하가 걸리게 되는 현상을 사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거쳐 컨베이어 밸트(23)와 가이드판(16)이 형성하고 있는 소정의 공간부로 낙하이동하게 되는 세척볼(40)은 유입 즉시 컨베이어 밸트(23)와 가이드판(16)에 의해 압축되어 물이 일정량 저수된 저수공간부(14) 하부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컨베이어 밸트(23)를 통해 저수공간부(14) 하부로 압축 이송이 종료되면 세척볼(40)은 원상태로 복원을 취하는 가운데 내부에 다량의 물을 흡수 유입시켜 적셔지게 됨과 동시에 자체의 부력을 통해 저수공간부(14) 상부로부상하게 되고, 이렇게 적셔져 부상되는 세척볼(40)은 컨베이어 체인(32)의 환봉(33)에 걸러져 상부로 이송되게 되며, 이렇게 상부로 이송되는 세척볼(40)은 최상부에서 자연 낙하하게 되어 배출 가이드 호퍼부(19)의 일측 상부로 전달되고, 이와 같이 전달된 세척볼(40)은 배출 가이드 호퍼부(19)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구(13) 측으로 자연 유하하여 배출되게 된다.
그러므로, 실사용하는데 있어 사전에 필수적으로 취하여야만 하는 사전 준비 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전자동을 취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반적인 세척 작업의 편의성을 배가 시켜 줄 수 있고,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세척볼(40) 내부에 효과적인 수분의 유입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주어 세척 행정에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는 세척볼(40)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세척을 할 수 있는 작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공체로 이루어진 소직경의 경량 합성수지재 세척볼 내부에 수분을 신속 용이하게 흡수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하여 실사용하기전의 사전 준비 작업을 신속 용이하게 이룰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세척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측 하부에는 유입구(11)와 배수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일측 전방에는 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일정량의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공간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저수공간부(14)의 하부에는 중앙을 가로막는 차단판(15)이 설치되어 있으며, 저수공간부(14) 상부에 위치하는 일내측면으로 부터 하부 중앙에는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판(16)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는 일측으로 하향경사지게 경사 가이드 호퍼(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 가이드 호퍼(17)의 일측 끝단에는 절곡된 형태의 또다른 절곡 가이드 호퍼(18)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저수공간부(14) 일측에는 일측 전방에 형성된 배출구(13) 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연결 형성된 배출 가이드 호퍼부(19)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절곡 가이드 호퍼(18)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제 1 구동 모터(21)와 치합을 이루고 있는 회동롤(22)과 치합을 취하고 있되, 일측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판(16)과 소정의 유격을 형성토록 설치된 컨베이어 밸트(23)로 이루어진 압착 이송부(20)와;
    상기, 제 1 구동모터(21)와 상반되는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구동모터(31)와 연동 가능하게 치합을 취하고 있어 이를 구동원으로 하여 무한궤도운행을 이룰 수 있는 컨베이어 체인(32)으로 이루어진 인출 이송부(30)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볼용 물 흡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이송부(30)를 구성하고 있는 컨베이어 체인(32)은 등간격으로 환봉(33)을 연결 고정하고 있는 아타치먼트(34)가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볼용 물 흡수장치.
KR20-2002-0030072U 2002-10-09 2002-10-09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 KR200301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072U KR200301701Y1 (ko) 2002-10-09 2002-10-09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072U KR200301701Y1 (ko) 2002-10-09 2002-10-09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701Y1 true KR200301701Y1 (ko) 2003-01-24

Family

ID=4939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072U KR200301701Y1 (ko) 2002-10-09 2002-10-09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7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14950B (zh) 一种卫浴花洒软管清洁设备
CN203735419U (zh) 三段式水果清洗机
CN108526090A (zh) 一种机械加工用清洗输料机
DE69922249T2 (de) Spülvorrichtung
CN110103897A (zh) 一种汽车清洗装置
CN104117494B (zh) 螺旋式输送清洗工艺
US10207209B1 (en) Mobile wet waste separator
KR200301701Y1 (ko) 관세척볼용 물 흡수장치
CN101194822A (zh) 餐盘洗涤机
CN107364429B (zh) 一种轨道交通车辆大型柜体自动化清洗系统
KR100794319B1 (ko) 고추 세척기
KR200394201Y1 (ko) 고추세척기
DE19952533A1 (de) Waschanlage für Fahrzeugräder
CN114308890B (zh) 一种洗药机
CN211914547U (zh) 一种生物质颗粒燃料筛选机构
CN209597745U (zh) 一种通用性机械零件清洗装置
JP3131484U (ja) シートパレット洗浄装置
CN202910034U (zh) 汽车内饰件用周转箱自动清洗机
CN112545005A (zh) 一种生姜多功能高效去皮装置
CN206996089U (zh) 自动清洗装置
CN219425192U (zh) 垃圾桶自动清洗设备
JPH11178502A (ja) 魚体の表面処理装置
KR20020000924A (ko) 강판 코팅롤의 수분 제거장치
CN108715433A (zh) 保温涂料的灌装设备
KR102474255B1 (ko) 세척대상물에 대한 세척이 용이한 이동식 청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