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120Y1 - 인서트 드릴 - Google Patents

인서트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120Y1
KR200301120Y1 KR20-2002-0027519U KR20020027519U KR200301120Y1 KR 200301120 Y1 KR200301120 Y1 KR 200301120Y1 KR 20020027519 U KR20020027519 U KR 20020027519U KR 200301120 Y1 KR200301120 Y1 KR 200301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groove
drill blade
installation groov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극우
Original Assignee
박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극우 filed Critical 박극우
Priority to KR20-2002-0027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1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릴날부의 끼움부 없이 드릴의 선단부에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초경재를 절약하는 한편, 상기 선단부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결합봉으로 드릴날부를 고정시킴으로써 별도의 공구관리를 할 필요가 없으며, 드릴의 선단부에 드릴날부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공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선단부의 설치홈 양측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드릴날부에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고정턱을 형성하여 상기 드릴날부가 선단부의 설치홈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드릴의 선단부와 드릴날부의 결합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키고, 드릴날부의 주절삭날과 웨브절삭날에 절단홈을 각각 형성하여 절삭칩이 짧게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절삭을 매우 용이하게 한 인서트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선단부의 설치홈에 드릴날부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서트 드릴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12)의 내측벽에 고정홈(16)을 형성하고, 드릴날부(20)의 외측에 상기 고정홈(16)과 대응되는 고정턱(25)을 형성하여 드릴날부(20)를 설치홈(12)의 측방에서 끼움 결합시키므로 드릴날부(20)가 설치홈(12)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드릴날부(20)의 저면에 소정깊이의 걸림홈(24)을 형성하고, 상기 선단부(11)의 설치홈(12) 중앙에서 자루부(30)까지 관통공(13)을 형성한 다음, 이 관통공(13)에 설치홈(12)의 바닥면으로부터 다소 돌출되게 결합봉(15)을 결합하여 이의 상단이 드릴날부(20)의 걸림홈(24)에 위치토록 하므로 드릴날부(20)가설치홈(12)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드릴날부(20)의 주절삭날(21)과 웨브절삭날(22)에 절단홈(23)을 형성하여 절삭칩이 짧게 절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서트 드릴{inserted drill}
본 고안은 인서트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물과 대응하여 이를 절삭하는 드릴날부를 인서트 드릴의 선단부로부터 조립가능하게 한 인서트 드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인서트 드릴은 크게 나누어 주절삭날(111a)과 웨브절삭날(111b)을 가진 드릴날부(11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선단부(110)와, 칩배출 및 절삭유 공급을 위한 나선형홈 형상의 플루트(121)가 구비된 날부(120)와, 드릴링머시인의 드릴처크에 결합되는 자루부(130)등으로 구비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드릴의 선단부(110)에 드릴날부(111)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릴날부(111)의 주절삭날(111a)이나 웨브절삭날(111b)이 마모, 또는 손상되었을 때 상기 드릴날부(111)만 교체하므로서 드릴을 구입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드릴날부(111)의 착탈방식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드릴의 선단부(110)에 설치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12)의 저면 중앙에서 날부(120)와 동일축선상으로 끼움공(112a)이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110)의 양측방에서 설치홈(112) 저면의 끼움공(112a)에 체결공(112b)이 경사지게 천공되는데, 상기 체결공(112b)이 끼움공(112a)의 동일축선상으로부터 다소 편심되게 천공된다.
또한, 상기 드릴날부(111)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끼움부(111c)의 양측에 체결공(112b)을 관통한 조임볼트(114)의 단부와 대응되게 소정형상의 고정홈(111d)이 각각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체결공(112b)이 끼움공(112a)의 일측 예컨대, 끼움공(112a)의 우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어 조임볼트(114)가 드릴날부(111)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끼움부(111c)의 고정홈(111d)에 고정되므로서 드릴날부(111)의 측면부가 설치홈(112)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드릴날부(111) 형성시 그 저면으로 돌출된 끼움부(111c)를 동일한 재질(초경)로 함께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가공이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끼움부(111c)를 형성하는 만큼 고가의 초경이 더 소요되기 때문에 드릴날부(111)의 생산단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상기 끼움부(111c)의 체결공(112b)에 조임볼트(114)를 체결하고자 할 시에는 반드시 육각렌치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드릴날부(111)의 착탈시 마다 그 공구를 찾아야 하는 등의 공구관리가 매우 번거롭고, 드릴의 선단부(110)에 드릴날부(111)를 체결하기 위하여 체결공(112b) 및 고정홈(111d) 등이 가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드릴날부(111)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가 다소 복잡하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또, 드릴날부(111)의 주절삭날(111a)과 웨브절삭날(111b)이 그 정점에서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절삭날(111a)로부터 절삭되는 절삭칩이 길어 가공기 드릴에 방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드릴날부의 끼움부 없이 드릴의 선단부에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초경재를 절약하는 한편, 상기 선단부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결합봉으로 드릴날부를 고정시킴으로써 별도의 공구관리를 할 필요가 없으며, 드릴의 선단부에 드릴날부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공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선단부의 설치홈 측벽에 고정홈을 형성하고 드릴날부에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고정턱을 형성하여 상기 드릴날부가 선단부의 설치홈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드릴의 선단부와 드릴날부의 결합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킨 인서트 드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또, 드릴날부의 주절삭날과 웨브절삭날에 절단홈을 각각 형성하여 절삭칩이 짧게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절삭을 매우 용이하게 한 인서트 드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날부 11:선단부
12:설치홈 13:관통공
14:고정구 15:결합봉
15a:수나사부 15b:체결고리
16:고정홈 20:드릴날부
21:주절삭날 22:웨브절삭날
23:절단홈 24:걸림홈
25:고정턱 30:자루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선단부의 설치홈에 드릴날부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서트 드릴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의 양 내측벽에 고정홈을 대향 형성하고, 드릴날부의 양측에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고정턱을 형성하여 드릴날부를 설치홈의 측방에서 끼움 결합시키므로 드릴날부가 설치홈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드릴날부의 저면에 소정깊이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선단부의 설치홈 중앙에서 자루부까지 관통공을 형성한 다음, 이 관통공에 설치홈의 바닥면으로부터 다소 돌출되게 결합봉을 결합하여 이의 상단이 드릴날부의 걸림홈에 위치토록 하므로 드릴날부가 설치홈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드릴날부의 주절삭날과 웨브절삭날에 절단홈을 형성하여 절삭칩이 짧게 절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단면도이다.
날부(10) 상단에 구비된 선단부(11)의 설치홈(12)에 드릴날부(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서트 드릴에 있어서,
먼저, 상기 드릴날부(20)는 그 상부 중앙에서 양측으로 주절삭날(21)과 웨브절삭날(22)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주절삭날(21)과 웨브절삭날(22)에 이들과 길이방향으로 거의 직각을 이루는 절단홈(23)을 형성하여 주절삭날(21)에 의해 절삭되는 절삭칩이 짧게 절단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드릴날부(20)의 저부에는 장변측과 직각이 되는 걸림홈(24)을 소정깊이 예컨대, 약 3.5㎜로 형성하고, 상기 드릴날부(20)의 일측벽에 고정턱(25)을 각각 형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턱(25)을 드릴날부(20)의 양측벽에 형성하여도 무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선단부(11)의 설치홈(12)에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그 바닥 중앙에서 자루부(30)까지 관통공(13)을 형성하는데, 상기 관통공(13)의 내측 상부에는확장부(13a)가 형성되어 고정구(1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14)의 저부에는 관통공(13)으로 삽입 지지되는 지지봉(14a)이 형성된 다음, 그 하단에서 그 내측 상부로 암나사부(14b)가 소정깊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루부(30) 하단에서 관통공(13)을 통해 결합봉(15)이 삽입되는데, 상기 결합봉(15)의 상단에는 고정구(14)의 암나사부(14b)와 대응되는 수나사부(15a)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봉(15)의 하단에는 이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체결고리(15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14a)의 외주연에는 관통공(13)보다 그 직경이 다소 큰 스프링(15c)이 탄설되어 확장부(13a)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봉(14a)의 암나사부(14b)에는 결합봉(15)의 수나사부(15a)가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구(14)의 상단이 설치홈(12)의 바닥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도 5와 같이 드릴날부(20)의 걸림홈(24)과 대응되므로서 상기 드릴날부(20)가 설치홈(12)의 트여진 측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홈(12)의 일측벽에는 고정홈(16)을 형성하여 드릴날부(20)의 고정턱(25)과 대응토록 하므로서 드릴날부(20)가 설치홈(12)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서트 드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선단부(11)의 설치홈(12)에 구비된 확장부(13a)에 고정구(14)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하는데, 이때 고정구(14) 저부의 지지봉(14a)에스프링(15c)이 탄설되어 확장부(13a)에 안착된다.
그런 다음, 상기 지지봉(14a) 하단의 암나사부(14b)에 결합봉(15)의 수나사부(15a)를 체결하는데, 이때 결합봉(15) 하단의 체결고리(15b)를 이용하여 쉽게 체결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결합봉(15)이 결합되면, 상기 결합봉(15)을 자루부(30) 하방으로 당겨 고정구(14)가 설치홈(13)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한 다음, 도 2와 같이 설치홈(12)의 고정홈(16)에 드릴날부(20)의 고정턱(25)을 대응시켜 측방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드릴날부(20)가 설치홈(12)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설치홈(12)에 드릴날부(20)가 정확히 위치하면 도 5와 같이 당기고 있던 결합봉(15)을 놓으면 스프링(15c)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구(14)가 설치홈(12)의 바닥으로부터 상승하여 드릴날부(20)의 걸림홈(24)에 결합되어 드릴날부(20)가 설치홈(12)의 양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치홈(12)으로부터 사용중이던 드릴날부(20)를 분리시키고자 하면, 상기 결합봉(15)을 자루부(30) 하방으로 당겨 결합봉(15) 상단의 고정구(14)가 드릴날부(20)의 걸림홈(24)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 다음, 드릴날부(20)를 설치홈(12) 측방으로 밀어 드릴날부(20)의 고정턱(25)이 설치홈(12)의 고정홈(16)으로부터 분리시키므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릴날부(20)의 주절삭날(21)과 웨브절삭날(22)에 이들과 길이방향으로 거의 직각을 이루는 절단홈(23)이 형성되어 절삭시 상기 절단홈(23)에 의해 절삭칩이 짧게 절단된 상태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드릴날부(20)의 끼움부 없이 드릴의 선단부(11)에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초경재를 절약하는 한편, 상기 선단부(11)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결합봉(15)으로 드릴날부(20)를 고정시킴으로써 별도의 공구관리를 할 필요가 없으며, 드릴의 선단부(11)에 드릴날부(20)를 체결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공을 형성하지 아니하고, 선단부(11)의 설치홈(12) 양측에 고정홈(16)을 형성하고 드릴날부(20)에 상기 고정홈(16)과 대응되는 고정턱(25)을 형성하여 상기 드릴날부(20)가 선단부(11)의 설치홈(12)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드릴의 선단부(11)와 드릴날부(20)의 결합구조를 매우 단순화시킨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또, 상기 드릴날부(20)의 주절삭날(21)과 웨브절삭날(22)에 절단홈(23)을 각각 형성하여 절삭칩이 짧게 절단되도록 함으로써 절삭을 매우 용이하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선단부의 설치홈에 드릴날부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서트 드릴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12)의 내측벽에 고정홈(16)을 형성하고, 상기 드릴날부(20)의 외측에 상기 고정홈(16)과 대응되는 고정턱(25)을 형성하여 드릴날부(20)를 설치홈(12)의 측방에서 끼움 결합시키므로 드릴날부(20)가 설치홈(12)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드릴날부(20)의 저면에 걸림홈(24)을 형성하고, 상기 선단부(11)의 설치홈(12) 중앙에서 자루부(30)까지 관통공(13)을 형성한 다음, 이 관통공(13)에 설치홈(12)의 바닥면으로부터 다소 돌출되게 결합봉(15)을 결합하여 이의 상단이 드릴날부(20)의 걸림홈(24)에 위치토록 하므로 드릴날부(20)가 설치홈(12)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인서트 드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날부(20)의 주절삭날(21)과 웨브절삭날(22)에 절단홈(23)을 형성하여 절삭칩이 짧게 절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인서트 드릴.
KR20-2002-0027519U 2002-09-13 2002-09-13 인서트 드릴 KR200301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519U KR200301120Y1 (ko) 2002-09-13 2002-09-13 인서트 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519U KR200301120Y1 (ko) 2002-09-13 2002-09-13 인서트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120Y1 true KR200301120Y1 (ko) 2003-01-24

Family

ID=4939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519U KR200301120Y1 (ko) 2002-09-13 2002-09-13 인서트 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1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0063B (fi) Ankkuri
JP4176644B2 (ja) 切削工具
EP1363756B1 (en) Tool and countersinker for chip removing machining
JP2011101945A (ja) 切り屑除去機械加工用回転工具及びそのためのルーズトップと基体
CA2242565A1 (en) Tacking fastener
US6142719A (en) Self-drilling screw
JP2014520678A (ja) 舌部のないワイヤスレッドインサートを着脱するための工具、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工具の連行ブレードを手作業で交換する方法
US8302515B2 (en) Support element for strengthening connection between a tool and its holder
KR200301120Y1 (ko) 인서트 드릴
KR101320070B1 (ko) 카운터보링, 또는 카운터싱킹, 또는 카운터보링 및 카운터싱킹 둘 다의 작업들을 위한 절삭 인서트, 및 그 절삭 인서트를 구비한 인서트 홀더
JPH06503149A (ja) 軽量建材の壁に物体を固着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6247790A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KR200338408Y1 (ko) 인서트 드릴
WO2005102573A1 (en) Insert drill
FR2590191A1 (fr) Outil de coupe monobloc a plusieurs etages pour le prealesage et l&#39;alesage
KR20020074778A (ko) 인서트 드릴
EP1184577A1 (en) Screw fastener with externally threaded anchoring ring
KR101419400B1 (ko) 절삭공구
KR200237150Y1 (ko)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
KR200333566Y1 (ko) 인서트 드릴
JP3602069B2 (ja) コアドリルのコア体結合構造
KR19990038034U (ko) 인서트 드릴
JP2007038387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3081797B2 (ja) ホ―ルソ―脱着装置
KR200193291Y1 (ko) 인서트 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