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566Y1 - 인서트 드릴 - Google Patents

인서트 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566Y1
KR200333566Y1 KR20-2003-0018683U KR20030018683U KR200333566Y1 KR 200333566 Y1 KR200333566 Y1 KR 200333566Y1 KR 20030018683 U KR20030018683 U KR 20030018683U KR 200333566 Y1 KR200333566 Y1 KR 200333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upling rod
coupling
dril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극우
임광빈
오영탁
조남철
송교석
김건호
Original Assignee
박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극우 filed Critical 박극우
Priority to KR20-2003-0018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566Y1/ko
Priority to CNU2004200670556U priority patent/CN2726772Y/zh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50Drilling tools comprising cut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릴날부의 저부 중앙에 자루부에서 그 선단부까지 이어지는 관통공과 일치되게 결합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결합공에 결합봉과 동일한 재질의 나사관을 용접하여 결합봉 상단의 나사부와 대응토록 함으로써 결합봉의 마모를 극소화하는 동시에, 인서트 드릴의 관통공 내에 드릴날부를 고정시키는 결합봉이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봉이 외부로 노출 또는,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합봉의 보관을 용이하게 한 인서트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드릴날부의 저부 중앙에 자루부에서 그 선단부까지 이어지는 관통공과 일치되게 결합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결합공에 결합봉과 동일한 재질의 나사관을 용접하되, 상기 나사관이 드릴날부의 저부에서 다소 돌출되게 형성하는 한편, 상기 설치홈의 바닥 중앙에서 자루부까지 관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의 내측 상부에 이 보다 다소 큰 직경의 확장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공의 저부에 이 보다 직경이 다소 큰 대직경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대직경부의 내주연에 암나사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결합봉의 하단에는 관통공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의 중앙에는 렌치와 같은 체결공구와 대응되게 렌치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서트 드릴{inserted drill}
본 고안은 인서트 드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대상물과 대응하여 이를 절삭하는 드릴날부를 인서트 드릴의 선단부로부터 조립가능하게 한 인서트 드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드릴날부가 인서트 드릴의 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서트 드릴은 이미 공지된 기술인 바, 상기 인서트 드릴의 구성을 도 1및 도 2를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그 선단부의 설치홈(12)에 드릴날부(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드릴날부(20)의 저부 중앙에 자루부(30)에서 그 선단부까지 이어지는 관통공(13)과 일치되게 체결나사공(21)이 소정 깊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3)에 설치홈(12)의 바닥면으로부터 다소 돌출되게 결합봉(15)을 결합하여 이의 상단이 드릴날부(20)의 체결나사공(21)와 결합토록 하므로 드릴날부(20)가 설치홈(12) 측방이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인서트 드릴은 상기 드릴날부(20)가 초경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체결나사공(21)을 형성하기가 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나사공(21)은 초경재질인 반면에, 이에 체결되는 결합봉(15)의 재질은 일반 금속이기 때문에 잦은 체결시 결합봉(15)의 나사부(15a)가 초경재질의 체결나사공(21)으로 인하여 쉽게 마모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결합봉(15) 하단의 체결고리(15b)를 이용하여 결합봉(15)을 체결 또는 분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체결고리(15b)가 다소 가늘어 작업자의 손이 매우 고통스러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결합봉(15)을 강하게 체결할 수 없다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드릴날부의 저부 중앙에 자루부에서 그 선단부까지 이어지는 관통공과 일치되게 결합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결합공에 결합봉과 동일한 재질의 나사관을 용접하여 결합봉 상단의 나사부와 대응토록 함으로써 결합봉의 마모를 극소화하는 동시에, 인서트 드릴의 관통공 내에 드릴날부를 고정시키는 결합봉이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봉이 외부로 노출 또는,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합봉의 보관을 용이하게 한 인서트 드릴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날부 111:선단부
112:설치홈 113:관통공
113a:암나사부 113b:대직경부
113c:확장부 120:드릴날부
130:자루부 140:체결공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드릴날부의 저부 중앙에 자루부에서 그 선단부까지 이어지는 관통공과 일치되게 결합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결합공에 결합봉과 동일한 재질의 나사관을 용접하되, 상기 나사관이 드릴날부의 저부에서 다소 돌출되게 형성하는 한편, 상기 설치홈의 바닥 중앙에서 자루부까지 관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의 내측 상부에 이 보다 다소 큰 직경의 확장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공의 저부에 이 보다 직경이 다소 큰 대직경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대직경부의 내주연에 암나사부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결합봉의 하단에는 관통공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의 중앙에는 렌치와 같은 체결공구와 대응되게 렌치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단면도이며, 도 6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인서트 드릴의 요부 단면도이다.
날부(110) 상단에 구비된 선단부(111)의 설치홈(112)에 드릴날부(1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서트 드릴에 있어서,
먼저, 상기 드릴날부(120)는 그 상부 중앙에서 양측으로 주절삭날(121)과 웨브절삭날(122)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주절삭날(121)과 웨브절삭날(122)에 이들과 길이방향으로 거의 직각을 이루는 절단홈(123)을 형성하여 주절삭날(121)에 의해 절삭되는 절삭칩이 짧게 절단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릴날부(120)의 저부 중앙에 자루부(130)에서 그 선단부(111)까지 이어지는 관통공(113)과 일치되게 결합공(124)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결합공(124)에 결합봉(115)과 동일한 재질의 나사관(125)을 용접하되, 상기 나사관(125)이 드릴날부(120)의 저부에서 그 하방으로 다소 돌출되게 형성하여 결합봉(115) 상단의 나사부(115a)와의 결합력을 강화한다.
한편, 상기 설치홈(112)의 바닥 중앙에서 자루부(130)까지 관통공(113)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113)의 내측 상부에 이 보다 다소 큰 직경의 확장부(113c)를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공(113)의 저부에 이 보다 직경이 다소 큰 대직경부(113b)를 형성한 다음, 상기 대직경부(113b)의 내주연에 암나사부(113a)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봉(115)의 하단에는 관통공(113)의 암나사부(113a)와 대응되는 나사부(115b)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15b)의 중앙에는 렌치와 같은 체결공구(140)와 대응되게 렌치홈(115c)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서트 드릴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과 같이 선단부(111)의 설치홈(112)과 대응되는 드릴날부(120)의 저부에 결합공(124)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결합공(124)에 결합봉(115)과 동일한 재질의 나사관(125)을 용접한다.
그런 다음,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설치홈(112)에 드릴날부(120)를 끼운결합한 후 드릴날부(120)의 결합공(124)에 관통공(113)을 통해 삽입된 결합봉(115) 상단의 나사부(115a)를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결합봉(115) 하단의 렌치홈(115c)에 체결공구(140)를 대응시켜 이를 일측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결합봉(115) 하단의 나사부(115b)가 관통공(113) 저부의 암나사부(113a)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관통공(113)에 결합봉(115)이 결합되면, 도 6과 같이 체결공구(140)를 이용하여 결합봉(115)을 더욱 조이게 되는데, 이때 결합봉(115)이 확장부(113c)의 상방으로 더욱 상승하여 그 상단의 나사부(115a)가 드릴날부(120)의 결합공(124)과 단단히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관(125)이 드릴날부(120)의 저부에서 그 하방으로 다소 돌출됨으로써 결합봉(115) 상단의 나사부(115a)와의 결합력이 크게 강화된다.
한편, 상기 결합봉(115)을 완전히 조이고 나면 결합봉(115) 하단의 나사부(115b)가 관통공(113) 저부의 암나사부(113a)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결합봉(115) 하단의 렌치홈(115c)으로부터 체결공구(140)를 제거하여 드릴날부(120)의 조립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드릴날부(120)의 저부 중앙에 자루부(130)에서 그 선단부(111)까지 이어지는 관통공(113)과 일치되게 결합공(124)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결합공(124)에 결합봉(115)과 동일한 재질의 나사관(125)을 용접하여 결합봉(115) 상단의 나사부(115a)와 대응토록 함으로써 결합봉(115)의 마모를 극소화하는 동시에, 인서트 드릴의 관통공(113) 내에 드릴날부(120)를 고정시키는 결합봉(115)이 체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봉(115)이 외부로 노출 또는,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합봉의 보관을 용이하게 한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날부 상단에 구비된 선단부의 설치홈에 드릴날부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서트 드릴에 있어서,
    드릴날부(120)의 저부 중앙에 자루부(130)에서 그 선단부(111)까지 이어지는 관통공(113)과 일치되게 결합공(124)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결합공(124)에 결합봉(115)과 동일한 재질의 나사관(125)을 용접하여, 결합봉(115)상단의 나사부(115a)가 체결되게 하되, 상기 나사관(125)이 드릴날부(120)의 저부에서 다소 돌출되게 형성하는 한편, 상기 설치홈(112)의 바닥 중앙에서 자루부(130)까지 관통공(113)을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113)의 내측 상부에 이 보다 다소 큰 직경의 확장부(113c)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관통공(113)의 저부에 이 보다 직경이 다소 큰 대직경부(113b)를 형성한 다음, 상기 대직경부(113b)의 내주연에 암나사부(113a)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결합봉(115)의 하단에는 관통공(113)의 암나사부(113a)와 대응되는 나사부(115b)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15b)의 중앙에는 렌치와 같은 체결공구(140)와 대응되게 렌치홈(115c)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인서트 드릴.
KR20-2003-0018683U 2003-06-13 2003-06-13 인서트 드릴 KR200333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683U KR200333566Y1 (ko) 2003-06-13 2003-06-13 인서트 드릴
CNU2004200670556U CN2726772Y (zh) 2003-06-13 2004-06-14 插入式钻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683U KR200333566Y1 (ko) 2003-06-13 2003-06-13 인서트 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566Y1 true KR200333566Y1 (ko) 2003-11-15

Family

ID=3504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683U KR200333566Y1 (ko) 2003-06-13 2003-06-13 인서트 드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33566Y1 (ko)
CN (1) CN2726772Y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387B1 (ko) * 2008-07-08 2009-11-23 베스너 주식회사 마이크로 드릴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726772Y (zh) 200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4267A (en) Self-drilling blind rivet
US5820319A (en) Auger bit having a replaceable tip
US5220967A (en) Drill and self-centering cutter insert therefor
US20010001276A1 (en) Connection device of boring saw
CN102049554A (zh) 用于去屑加工的可旋转刀具及其松顶部和基体
GB2534370A (en) A cutting element for a drill bit
WO2004016377A3 (en) Drill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port seals
US6142719A (en) Self-drilling screw
AU3191000A (en) Drill bit
US6189633B1 (en) Drill
CA2262306A1 (en) Drill and a chuck for receiving the drill shank
CA2718541A1 (en) Drill head for deep-hole drilling
KR200333566Y1 (ko) 인서트 드릴
KR20020074778A (ko) 인서트 드릴
US6908264B1 (en) Quick change drill bit
HUT72771A (en) Drill unit with hole cutter and central drill bit
KR101419400B1 (ko) 절삭공구
US20170204676A1 (en) Roof drill bit and associated coupler
JPH06170615A (ja) ヘッド交換式切削ホルダー
US20010006122A1 (en) Suction tool
KR20090108205A (ko) 절삭가공용 테이퍼홀더
WO2005102573A1 (en) Insert drill
EP1184577A1 (en) Screw fastener with externally threaded anchoring ring
JPH09217580A (ja) さく孔用工具類及びそれを使用するさく孔方法
JP2006231434A (ja) 回転軸体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