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6783A -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 Google Patents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6783A
KR20030096783A KR1020020033801A KR20020033801A KR20030096783A KR 20030096783 A KR20030096783 A KR 20030096783A KR 1020020033801 A KR1020020033801 A KR 1020020033801A KR 20020033801 A KR20020033801 A KR 20020033801A KR 20030096783 A KR20030096783 A KR 20030096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unit
display
recogni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220B1 (ko
Inventor
지만경
가루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안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안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안전자
Priority to KR102002003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220B1/ko
Publication of KR20030096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21Flat leads, e.g. lead frames with or without insulating supports
    • H01L21/4842Mechanical treatment, e.g. punching, cutting, deforming, cold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프리즘 볼록렌즈, 오목거울 또는 홀로그래픽 렌즈를 이용하여 원래의 출력화면보다 확대된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확대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위치인식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위치인식신호를 인식하여 위치지정수단이 상기 표시부에서 해당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A PORTABLE TERMINAL HAVING A LCD INCLUDING ENLARGED WINDOW}
본 발명은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즘 볼록렌즈, 오목거울 또는 홀로그래픽 렌즈를 이용하여 원래의 출력화면보다 확대된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액정 표시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휴대용 이동전화기, 모니터 및 PDA등)가 생활의 필수품이 되고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 기능이외에 인터넷을 통해 게임, 채팅, 정보검색 기능 등을 더 제공하고 있어,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소지하고 이용하고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가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각 휴대용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사용자들의 구매의욕을 향상시키기 위해,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 시키는 한편 그 두께를 좀더 얇게 제작하여 보급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 경량화 및 슬림화하여 소비자들의 욕구를 부분적으로 해소할 수 있었으나,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크기가 작아지거나,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버튼들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었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은 채팅 및 정보 검색 기능을 이용하게 될 경우 작은 화면으로 정보들이 제공되는 경우 그 크기가 작아 사용자, 특히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들의 경우 제공되는 정보를 확인하는데 불편함이 많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는 소형화를 이루면서 기능은 추가되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버튼들이 작아지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버튼을 잘못 누르게 되어 원하지 않는 메뉴가 실행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즘 볼록렌즈, 오목거울 또는 홀로그래픽 렌즈를 이용하여 원래의 출력화면보다 확대된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수단으로 볼 및 볼센서부를 구비시켜 화살표 키버튼이 아닌 볼을 움직여 위치지정수단이 화면상에서 좌, 우, 상, 하로 움직여 원하는 메뉴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수단으로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시켜 화살표 키버튼이 아닌 별도의 입력도구(예를 들면 손가락, 펜)를 패널 상에 움직여 위치지정수단이 화면상에서 좌, 우, 상, 하로 움직여 원하는 메뉴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a는 도 1에 적용된 표시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b 및 도 2c는 도 2a에 적용된 프리즘 볼록렌즈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도 1에 적용된 입력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b, 도 3c는 도 3a에 적용된 오목거울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적용된 입력부의 또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휴대용 단말기 10, 14 : 표시부
11 : 광빔 12 : 프리즘 볼록렌즈
13 : 액정표시기 15 : 오목거울
16 : 홀로그래픽 렌즈
20, 20a : 입력부 21 : 볼
22 : 볼센서부 23 : 발광부
24 : 수광부 30 : 제어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확대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위치인식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위치인식신호를 인식하여 위치지정수단이 상기 표시부에서 해당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는, 그림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액정표시기; 상기 액정표시기에 광빔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액정표시기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표시기에 제공된 그림이나 문자를 확대하는 프리즘 볼록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그림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액정표시기; 상기 액정표시기에 광빔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액정표시기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표시기에 제공된 그림이나 문자를 확대하는 오목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그림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액정표시기; 상기 액정표시기에 광빔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액정표시기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표시기에 제공된 그림이나 문자를 확대하는 홀로그래픽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로서, 상술한과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움직이는 볼; 및 상기 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인식신호를 출력하는 볼 센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인식신호에 응하여 x, y 좌표 값을 생성하여 상기 위치 지정수단이 상기 표시부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패널 상으로 빛을 방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패널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위치인식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인식신호에 응하여 x, y 좌표 값을 생성하여 상기 위치 지정수단이 상기 표시부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 이전에 도면부호 10, 14는 모두 표시부를 의미하는 도면부호로서, 10으로 넘버링(numbering)된 표시부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의미하며, 14로 넘버링된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10)와는 다른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확대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10)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위치인식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20)와, 상기 입력부(20)의 위치인식신호를 인식하여 위치지정수단이 상기 표시부(10)에서 해당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부(10)는 첨부 도면 도 2a, 도 2b,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액정표시기(13)와, 상기 액정표시기(13)에 광빔(11)을 제공하는 광원(17) 및 상기 액정표시기(13)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표시기(13)에 제공된 그림이나 문자를 확대하는 프리즘 볼록렌즈(1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시부(10)의 다른 실시 예인 표시부(14)는 첨부 도면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4a, 도 4b,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볼록렌즈(12) 대신에 오목거울(15) 또는 홀로그래픽 렌즈(16)로 대체시켜도 프리즘 볼록렌즈(12)와 마찬가지로 액정표시기(13)에 제공된 그림이나 문자를 확대시켜 사용자에게 좀더 넓은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20)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움직이는 볼(21)과, 상기 볼(2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인식신호를 출력하는 볼 센서부(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볼 센서부(22)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인식신호에 응하여 x, y 좌표 값을 생성하여 상기 위치 지정수단이 상기 표시부(10)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위치 지정수단은 밑줄모양의 커서나 화살표 모양의 커서이며, 커서가 위치한 메뉴항목은 다른 메뉴항목으로부터 표시될 수 있도록 반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00)의 볼(21)을 상 또는 하 또는 좌 또는 우로 움직이게 되는 경우 볼센서부(22)는 볼(21)이 어느 방향으로 어느 정도 움직였는지를 인식하여 위치인식신호를 제어부(3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30)는 상기 위치인식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지정수단이 표시부(10)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위치인식신호를 이용하여 x, y 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x, y 좌표값에 따라 위치지정수단이 표시부(10)에 표시되도록 한다.
도 2a 내지 도 4c는 도 1에 적용된 표시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는 광원(11)과, 프리즘 볼록렌즈(12)와 액정표시기(1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정표시기(13)에 제공된 그림이나 문자를 상기 프리즘 볼록렌즈(12)를 이용하여 확대한다. 상기 액정표시기(13)로부터 출사된 광빔(11)은 상기 프리즘 볼록렌즈(12)의 반사면에 의해 반사 및 수렴된 후 확대창 밖에 확대된 상을 맺는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표시부(14)는 상기 도 2에 적용된 표시부(10)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볼록렌즈(12)를 오목거울(15)로 대체한 것으로서 상기 오목거울(15)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기(13)에 제공된 그림이나 문자를 확대한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표시부(14)는 상기 도 2a 내지 도 3c에 적용된 표시부(10)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볼록렌즈(12) 및 오목거울(15)을 홀로그래픽 렌즈(16)로 대체한 것으로서 상기 홀로그래픽 렌즈(16)를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기(13)에 제공된 그림이나 문자를 확대한다. 이 경우 상기 액정표시기(13)와 상기 홀로그래픽 렌즈(16)와 확대창은 일직선상에 있도록 배치된다.
도 5는 도 1에 적용된 입력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20a)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23)과,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패널(23) 상으로 빛을 방사하는 발광부(24)와, 상기 패널(23)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위치인식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2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수광부(25)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인식신호에 응하여 x, y 좌표 값을 생성하여 상기 위치지정수단이 상기 표시부(10)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발광부(24)가 상기 패널(23)을 향해 광을 방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패널(23) 상에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펜과 같은 별도의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위치를 지정하게 되면, 수광부(25)로 수광되는 광량이 변하게 되고, 수광부(25)는 광량을 전기적 신호인 위치인식신호로 변환하여제어부(3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30)는 상기 위치인식신호를 이용하여 위치지정수단이 표시부(10)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위치인식신호를 이용하여 x, y 좌표값을 산출하고, 상기 x, y 좌표값에 따라 위치지정수단이 표시부(10)에 표시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설명을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리즘 볼록렌즈, 오목거울 또는 홀로그래픽 렌즈를이용하여 원래의 출력화면보다 확대된 화면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수단으로 볼 및 볼센서부를 구비시켜 화살표 키버튼이 아닌 볼을 움직여 위치지정수단이 화면상에서 좌, 우, 상, 하로 움직여 원하는 메뉴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버튼을 이용할 경우 잘못 눌러 원하지 않은 메뉴항목이 선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수단으로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시켜 화살표 키버튼이 아닌 별도의 입력도구(예를 들면 손가락, 펜)를 패널 상에 움직여 위치지정수단이 화면상에서 좌, 우, 상, 하로 움직여 원하는 메뉴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버튼을 이용할 경우 잘못 눌러 원하지 않은 메뉴항목이 선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Claims (6)

  1. 액정 표시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확대된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위치인식신호를 출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위치인식신호를 인식하여 위치지정수단이 상기 표시부에서 해당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그림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액정표시기;
    상기 액정표시기에 광빔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액정표시기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표시기에 제공된 그림이나 문자를 확대하는 프리즘 볼록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그림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액정표시기;
    상기 액정표시기에 광빔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액정표시기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표시기에 제공된 그림이나 문자를 확대하는 오목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그림이나 문자를 표시하는 액정표시기;
    상기 액정표시기에 광빔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액정표시기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액정표시기에 제공된 그림이나 문자를 확대하는 홀로그래픽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 하, 좌, 우로 움직이는 볼; 및
    상기 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위치인식신호를 출력하는 볼 센서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인식신호에 응하여 x, y 좌표 값을 생성하여 상기 위치 지정수단이 상기 표시부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위치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패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하여 상기 패널 상으로 빛을 방사하는 발광부; 및
    상기 패널을 통해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위치인식신호를 출력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광부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인식신호에 응하여 x, y 좌표 값을 생성하여 상기 위치 지정수단이 상기 표시부의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KR1020020033801A 2002-06-17 2002-06-17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KR100739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801A KR100739220B1 (ko) 2002-06-17 2002-06-17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3801A KR100739220B1 (ko) 2002-06-17 2002-06-17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335U Division KR200289468Y1 (ko) 2002-06-17 2002-06-17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783A true KR20030096783A (ko) 2003-12-31
KR100739220B1 KR100739220B1 (ko) 2007-07-18

Family

ID=32387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3801A KR100739220B1 (ko) 2002-06-17 2002-06-17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6895B2 (en) 2005-04-06 2008-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selecting and magnifying multiple micro-images, and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148A (ja) * 1997-03-10 1998-09-25 Sanwa Insatsu:Kk 携帯電話機の表示装置
KR100469704B1 (ko) * 1997-04-21 2005-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랙볼을이용한휴대폰사용자인터페이스장치
KR20000014296A (ko) * 1998-08-19 2000-03-06 윤종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트랙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2000174866A (ja) * 1998-12-09 2000-06-23 Courir Japon:Kk 表示文字拡大装置および携帯型通信装置
KR20000065882A (ko) * 1999-04-09 2000-11-15 김종해 휴대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용 렌즈 장치
KR100790090B1 (ko) * 2000-03-16 2007-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메뉴 검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6895B2 (en) 2005-04-06 2008-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displaying, selecting and magnifying multiple micro-images, and display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220B1 (ko) 200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5947B2 (ja) 文字入力システム
US7069057B2 (en) Cellular phone including a display revealed by removing a removable operation unit
KR100856203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8509855B2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having operation keys and a display on opposite sides
US7016704B2 (en) Coordinating images displayed on devices with two or more displays
US20020158812A1 (en) Phone handset with a near-to-eye microdisplay and a direct-view display
US8106885B2 (en) Input mechanism for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JPH1127368A (ja) 自動記号拡大機能を有する接触感知入力つき移動局
US20060040712A1 (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as pointing device
US20060061557A1 (en) Method for using a pointing device
CN101452356A (zh) 输入装置、显示装置、输入方法、显示方法及程序
JP2007312360A (ja) ディスプレイ機能を持つボタンを備えた端末機及びそ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方法
US9189077B2 (en) User character input interface with modifier support
US20100267423A1 (en)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of operational section
JPH10289045A (ja) タッチパッドによ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双方向通信装置
JP2017204024A (ja) 携帯端末装置
KR2010000817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연속 키 동작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A2646142C (en) Input mechanism for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JP2009169789A (ja) 文字入力システム
KR100739220B1 (ko)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KR200289468Y1 (ko) 확대창을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장치
KR100689515B1 (ko) 투명 키패드를 이용한 장치
JP4498345B2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装置
JP6538785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30145B1 (ko) 문자입력과 포인팅이 가능한 광포인팅 장치가 구비된 개인 휴대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