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6243A - 개방 루프 전력 제어 및 비트율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개방 루프 전력 제어 및 비트율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6243A
KR20030096243A KR10-2003-7008878A KR20037008878A KR20030096243A KR 20030096243 A KR20030096243 A KR 20030096243A KR 20037008878 A KR20037008878 A KR 20037008878A KR 20030096243 A KR20030096243 A KR 20030096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interference
bit rat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988B1 (ko
Inventor
발케알라티키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96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6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전송 전력 및 비트율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특히, 개방 루프 전력 제어의 콘텍스트에서 입력 매개변수들에 응답하여 유도 간섭 및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비용 함수를 최소화하도록 전송 전력 및 비트율이 선택된다.

Description

개방 루프 전력 제어 및 비트율 선택 방법{Method for open loop power control and bit rate selection}
개방 루프 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 전력은 즉시 되돌림(feedback)의 이익을 갖지 않고, 따라서 전송의 타단에서 오류 없는 신호 수신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전력 레벨을 정확하게 알지 못한 채 선택된다. 따라서, 개방 루프 전력 제어 시스템에서의 전형적인 전송 장치는 반드시 불완전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추정들을 수행한다. 전력 추정이 너무 낮은 경우, 신호는 전송의 타단에 수신되지 않을 것이고; 전력 추정이 너무 높은 경우, 신호는 다른 사용자들과 불필요하게 간섭한다. 부적합한 추정 방법들로 인하여, 저전력 추정 문제 및 고전력 추정 문제가 선행 기술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제3 세대 협력 프로젝트; 기술 사양 그룹 GERAN; 디지털 셀룰러 원격통신 시스템, 단계 2t; 무선 서브시스템 링크 제어 (3GPP TS 05.08 V8.6.0, 2000년 9월 부록 B, 페이지 85-88) 참조. 이것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장치로의 다운링크에서 문제이고, 업링크 방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선행 기술에 대한 추가 문제는 고정 비트율에 대한 문제이다. 비트율이 고정되고 일정한 경우, 전송 전력은 대응하여 제한된다. 고정 비트율이 높은 경우, 높은 전송 전력이 요구되고, 과도한 간섭을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비트율이 낮은 경우, 전송은 더 느리고 (즉, 큰 전송 시간) 전송 채널은 더 오래 점유되어 다른 사용자들을 희생시킨다. 그러므로, 고정 비트율은 전송 시간 및 유도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전송 전력을 조정하는 것을 어렵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 명백하다. 이것은 선행 기술에서의 주요 문제이고, 여기서 비트율은 전형적으로 상수이고 아마 트래픽 추정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선행 기술이 고정 비트율을 채용하는 경우에, 전송 전력의 제한된 유연성이 종종 이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에서, 선행 기술에서의 전력 전송은 무선 네트워크 계획에 의해 선택된 상수일 수 있다. 업링크에서, 전력 전송은 조정될 수 있지만, 측정된 다운링크 경로손실과 동일하게 가정되는 업링크 경로손실(즉, 신호 감쇠)에 따른다. 업링크 전송 전력은 또한 이동 송신기가 어느 섹터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섹터-특정 고정 오프셋이 각 섹터에서 방송될 수 있다. 모든 이들 선행 기술 기법들의 기본 특성은 과도한 간섭을 유도하는 전송 전력이 되고, 과도한 전송 지연들을 생성하는 비트율들이 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신호 전송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계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업링크 방향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다운링크 방향으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전송이 업링크되거나 다운링크되는지에 상관없이 본 발명이 작동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장치,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주요 사상은 유도 간섭 문제 및 전송 지연 문제를 최소화하도록 비트율 및 전송 전력을 선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비트율 및 전송 전력 어느 것도 일정하지 않다. 고정 비트율 또는 전송 전력을 갖는 방법들과 비교하여, 본 방법은 다양한 부하 상태들에서 이용가능한 무선 자원을 더 잘 이용하고, 그 결과는 더 낮은 시스템 간섭을 갖는 더 높은 처리율이 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적절한 전송 전력 및 비트율을 구비하는 무선 전송 신호를 제공한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세트의 입력 매개변수들이 유도 간섭 및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비용 함수를 최소화하는 비트율 및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명령 신호는 입력 매개변수 신호에 의해 제공된 입력 매개변수들에 응답하여 계산된 비트율 및 계산된 전송 전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그 다음 상기 명령 신호에 의해 지시되는 비트율 및 전송 전력을 구비하는 전송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명령 신호는 상기 입력 매개변수 신호에 응답하여 계산 모듈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명령 신호는 송신기 모듈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송신기 모듈은 상기 계산 모듈에 의해 결정된 비트율 및 전송 전력을 구비하는 전송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방향(즉, 이동 장치로부터 기지국으로)으로 또는 다운링크 방향(즉,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장치로)으로 또는 양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개방 루프 전력 제어를 채용하는 시스템을 위해 설계된다.
도 1의 흐름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베스트 모드는 본질적으로 한 세트의 입력 매개변수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매개변수들로부터 비용을 최소화하는 비트율 및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비트율 및 상기 계산된 전송 전력을 구비하는 전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예를 들어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WCDMA)을 채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적절한 전송 전력 및 비트율을 구비하는 전송 신호를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이것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루프 전력 제어 시스템(28)의 콘텍스트에서 이동 장치(20) 및 기지국(26) 사이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을 포함할 것이다. 비용 함수는 유도 간섭 및 전송 지연을 나타내고, 따라서 본 발명은 간섭 및 지연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도 2는 상기 베스트 모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전송 신호(22)는 이동 장치(20)로부터 기지국(26)으로 업링크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베스트 모드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 3의 개방 루프 전력제어 시스템(2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운링크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전송 신호(22)가 다운링크 방향인지 업링크 방향인지에 상관없이, 전송 방향에 독립적인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도 4로부터 볼 수 있다. 도 4는 명령 신호(39)가 입력 매개변수 신호(47)에 응답하여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명령 신호는 계산된 전송 비트율 및 계산된 전송 전력을 나타내는 크기를 구비하고, 유도 간섭 및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비용 함수를 최소화하도록 선택되는 크기들을 구비한다. 도 4는 또한 전송 신호(22)가 명령 신호(39)에 응답하여 제공되고, 상기 전송 신호(22)가 계산된 전송 비트율 및 계산된 전송 전력을 채용하는 것을 도시한다.
업링크 전송 신호(22)를 포함하는 도 2로 돌아가면, 추가 단계는 방송 매개변수 신호(24)가 기지국(26)에 의해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송 매개변수 신호(24)는 입력 매개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크기를 구비한다. 다시 말하면, 입력 매개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장치(20)에 방송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입력 매개변수 신호(47)는 방송 매개변수 신호(24)에 응답하여 제공되고, 상기 기지국(26)으로부터 방송될 필요가 없는 다른 매개변수들뿐만 아니라 방송 매개변수(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기지국(36)으로부터 이동 장치(30)로 다운링크 전송 신호(22)를 포함하고, 명령 신호(39)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1)에 의해 기지국(36)으로 제공되는 상황을 예시한다. 그러나, 상기 명령 신호(39)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1)에 관련되지 않고 전적으로 상기 기지국(36)내에서 생성되고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확실히 가능하다.
본 발명을 올바르게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근본 원리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높은 전송 전력은 상대 장치에서 수신을 보장하는데 바람직하고, 높은 전송 전력은 또한 데이터 전송이 높은 비트율(b)로 발생할 수 있고 따라서 채널들을 지나치게 이용하지 않고 다른 사용자들을 지연시키지 않도록 하는데 바람직하다. 비트율(b) 및 전송 전력(p) 간의 상호 관계의 간단한 모델은 수학식 1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WCDMA 시스템에서 더 높은 전송 전력(p)은 더 높은 비트율(b)을 허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수학식 1에서, "L"은 신호 감쇠의 양을 측정하는 경로손실을 나타내고, "I"는 전체 간섭이며, "C"는 칩 속도(chip rate)이고, "E"는 적절한 신호 복호화에 필요한 수신된 전체 간섭 밀도에 대한 수신된 비트 에너지의 비인 "에브노(ebno)"를 나타낸다.
더 높은 전송 전력(p)의 바람직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더 높은 전송 전력은 또한 더 많은 유도 간섭(Ii)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고, 이것은 다른 사용자들을 혼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비트율(b) 및 전송 전력(p)을 높이거나 낮추는 것은 유도 간섭(Ii) 및 전송 지연(d) 간의 트레이드-오프를 수반한다. 따라서, 낮은 전송 전력(p) 및/또는 비트율(b)을 선택하는 것이 다른 관련된 비용들을 가지는 것과 같이, 높은 전송 전력(p) 및/또는 비트율(b)을 선택하는 것은 관련된 비용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유도 간섭(Ii) 및 전송 지연(d)에 선형으로 의존하는 선형 비용 함수 F(b)를 최소화하고, 따라서, 상기 비용 함수는 상술된 트레이드-오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를 통해, 아래 첨자를 갖는 "K"는 비트율(b)에 독립한 양을 나타낸다. 유도 간섭(Ii)은 비트율(b)에 정비례하고 따라서 Ii= K3b가 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송 지연(d)은 비트율(b)에 역비례하고 패킷 크기(S)에 정비례하며 따라서 d = S/b는 패킷의 전송 시간을 제공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수학식 2는 수학식 3으로 인도되고, K4= K1K3으로 설정한다.
이 비용 함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우리는 간단히 수학식 3을 비트율(b)에 관하여 미분하고, 미분계수를 제로와 같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절차를 사용하여, 비트율이 수학식 4로 주어지는 경우 비용은 최소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큰 비트율들에 대해, 수학식 3은 함수 F가 대략 K4b와 거의 같다는 것을 나타낸다는 것을 주의한다. 유사하게, 큰 시간 지연들에 대해, 우리는 상술된 수학식 d = S/b에 따라 작은 비트율을 가지며, 따라서 수학식 3은 F가 K2·S/b = K2d와 거의 같다는 것을 나타낸다. 우리의 목적은 비용을 줄이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 양을 넘는 비용(F)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따라서 K2·D는 K4·B와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D"는 전송 지연(d)의 최대 값이고, "B"는 비트율(b)의 최대 값이다. 이 결과를 수학식 4에 대입하면, 수학식 4는 수학식 5와 같이 될 수 있다.
수학식 1로부터 전송 전력(p)의 최대 값 "P"에 대한 수학식을 획득하는 것은 간단하고, 이것은 비용(F)이 최대인 특별한 경우에 적용된다.
수학식 6은 이제 수학식 1 및 수학식 5에서 최대 비트율(B)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그 다음 전송 전력(p) 및 비트율(b)에 대해 풀이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우리는 패킷 크기(S), 칩 속도(C), 최대 전송 전력(P), 최대 전송 지연(D), 에브노(적절한 신호 복호화에 필요한 수신된 전체 간섭 밀도 및 수신된 비트 에너지간의 비 "E"), 경로손실(L), 및 전체 간섭(I)의 항으로 비트율(b) 및 전송 전력(p)에 대한 다음 2개의 신규 수학식에 도달할 수 있다.
수학식 7 및 수학식 8은 비트율(b) 및 전송 전력(p)이 개방 루프 전력 제어를 사용하여,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에 대해, 본 발명에 따라 어떻게 선택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수학식 7 및 수학식 8의 우측에 있는 모든 양들은 도 4에 도시된 입력 매개변수 신호(47)에 포함될 수 있는 입력 매개변수들이다.
가능한 바이어스를 보상하기 위하여, 에브노 매개변수(E)는 프레임 오류가 검출되는 경우 약간 증가되고, 프레임이 올바르게 수신되는 경우 감소되도록 규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증가 및 감소의 양들은 타깃 프레임 오류율을 평균으로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업링크 프레임 오류들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의해 직접 검출될 수 있다; 다운링크 프레임 오류들을 검출하기 위하여, RNC는 재전송 요청들에 대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업링크 방향으로 전송 신호의 비용이 최소화되어지는 경우, 특정 지리적 섹터에서 에브노(E) 및 전체 간섭(I)은 사용자 장치(UE)에 방송될 수 있고, 그 다음, 상기 UE는 수학식 7 및 수학식 8에 따라 비트율 및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데 이들 방송 값들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UE는 방송되는 방송 채널의 전송 전력(BCTP), 공통 방송 채널의 측정된 신호 대 간섭비(SIR)로부터 경로손실(L)을 근사할 수 있다.
수학식 7 및 수학식 8은 또한 다운링크에 대한 비트율(b) 및 전송 전력(p)을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경우에,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는 경로손실(L) 및 전체 간섭(I)의 곱을 근사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상기 곱이 전송 전력 및 비트율을 계산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상기 RNC가 경로손실 및 전체 간섭의 곱을 근사하는데 다양한 대안적인 방식들이 있다. 제1 방식은 RNC가 UE로부터 공통 방송 채널의 신호 대 간섭비(SIR)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최근에 수신했다고 가정하고, 또한 측정된 SIR은 전체 광대역 간섭에 대한 수신된 공통 채널 전력의 비라고 가정한다. 섹터 전체 전송 전력(STTP), 방송 채널 전송 전력(BCTP), 및 계획되거나 측정된 다운링크 부호 직교성(DCO; downlink code orthogonality)와 함께 상기 측정된 SIR은 경로손실 및 전체 간섭의 곱을 산출한다.
도 3은 이동 장치(30)에 의해 기지국(36)에 제공되는 측정 보고 신호(35)를 나타내고, 이 측정 보고 신호(35)는 측정된 SIR을 나타내는 크기를 구비할 수 있다. 수학식 9는 다음 수학식 10a 내지 10d로부터 대수적으로 매우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수학식 10a는 전체 광대역 간섭(IW)이 인트라-셀 간섭(IINTRA), 인터-셀 간섭(IINTER), 및 열 잡음과 같은 잡음(INOISE)의 합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는 것을 간단히 나타낸다. 수학식 10b는 다운링크에서, 관찰된 전체 간섭(I)이 부호들의 직교성으로 인하여 수학식 10a에 의해 주어지는 전체 광대역 간섭(IW)보다 다소 더 낮다는 것을 나타낸다. 수학식 10c는 간단히 SIR 측정 표준들의 결과이다. 수학식 10d는 인트라-셀 간섭(IINTRA)이 섹터 안테나 및 UE 간의 경로손실(L)에 의해 나누어진 섹터 전체 전송 전력(STTP)과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RNC가 경로손실(L) 및 전체 간섭(I)의 곱을 근사하는 제2 방식은 섹터내의 활동 사용자들의 전송 전력들에 기초하여 섹터내의 평균 경로손실-간섭 인자를 추정하는 것이다. 고속 폐쇄 루프 전력 제어는 다운링크 경로손실-간섭 인자들을 압도하도록 전송 전력들을 조정하고, 따라서 각각의 경로손실-간섭 인자들은 각각의 전송 전력(pi), 비트율(bi), 계획된 에브노(Ei) 및 칩 속도(C)로부터 결정될 수 있으며, 섹터내의 "N" 사용자들에 대한 평균 경로손실-간섭 인자를 산출한다.
이러한 통계적인 수학식 11의 정확성은 섹터내의 사용자들의 수 및 분포에 의존하고, 계획된 에브노 값들의 정확성에 의존한다. 다른 통계적인 수학식들이 평균 수학식 11 대신에 허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섹터내의 모든 N 사용자들보다 더 작은 사용자들이 샘플링될 수 있고/있거나 가중 평균이 채용될 수 있고/있거나 오프셋이 경로손실(L) 및 전체 간섭(I)의 곱에 추가될 수 있다.
RNC가 경로손실(L) 및 전체 간섭(I)의 곱을 근사하는 제3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수학식 12는 이동 장치가 섹터 외부로부터의 간섭이 섹터 내부로부터의 간섭에 고정 비(ICI)를 갖는 섹터내에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또한 잡음(INOISE)은 무시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수학식 12는 수학식 10b 및 수학식 10d로부터 대수적으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상기 ICI 값은 측정될 수 있거나, 대안으로 무선 네트워크 계획에 의해 제안된 상수 값이 사용될 수 있다(ICI 값으로 0.5가 전형적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법뿐만 아니라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베스트 모드의 2가지 필수 성분들을 도시한다: 즉, 계산 모듈(43) 및 송신기 모듈(44). 상기 계산 모듈(43)은 본질적으로 입력 매개변수들을 취하고 적절한 전송 비트율 및 적절한 전송 전력을 계산하는데 사용하며, 상기 2개의 적절한 값들은 상기 송신기 모듈(44)에 전송된다. 그 다음 상기 송신기 모듈(44)은 상기 계산 모듈(43)에 의해 지시된 비트율 및 전송 전력을 구비하는 전송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장치(50)는 도 5에 도시된다. 상기 이동 장치(50)는 기지국(56)과 상호 작용한다. 물론, 도 5 및 다른 도면들은 본 발명에 특히 관련되는 성분들 및 신호들을 도시하고, 이들 도면들은 이동 장치(50) 및 기지국(56)에 포함될 수 있는 많은 다른 특징들을 도시하지 않는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잘 이해될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매개변수 저장 모듈(55)은 입력 매개변수들을 유지하고 갱신하며, 상기 입력 매개변수들은 입력 매개변수 신호(47)에 의하여 계산 모듈(43)에 제공된다. 상기 입력 매개변수들의 적어도 부분에 대한 하나의 소스는 기지국(56)으로부터 매개변수 저장 모듈(55)로의 방송 매개변수 신호(51)이다. 상기 계산 모듈(43)은 상기 송신기 모듈(44)에 명령 신호(59)를 제공함으로써 입력 매개변수 신호(47)에 응답하고, 상기 송신기 모듈(44)은 그 다음 상기 명령 신호(59)에 의해 지시되는 비트율 및 전력으로 전송 신호(22)를 기지국(56)에 제공한다. 당업자가 인식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성분들 및 신호들은 다양한 상이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조합들에 의해 다양한 상이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구조들 및 상호작용들로서 적절하게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강조되어야 한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66)은 다운링크 전송에서 사용하기 위한 계산 모듈(43) 및 송신기 모듈(44)을 구비할 수 있다. 전송 신호(22)는 기지국(66)으로부터 이동 장치(60)로 진행한다. 도 6은 도 5에서와 같이 매개변수 저장 모듈을 명시적으로 도시하지 않지만, 그러한 매개변수 저장 모듈은 용이하게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상기 계산 모듈(43)이 매개변수 저장 모듈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성분들을 포함한다고 간단히 가정할 수 있다. 도 6의 측정 보고 신호(65)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된 측정 보고 신호(35)에 비교될 수 있고, 이 측정 보고 신호(65)는 측정된 SIR을 나타낼 수 있는 크기를 구비한다. 도 6에 있어서, 명령 신호(69)는 기지국(66)내에서 전송되고 수신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계산모듈(43) 및 상기 송신기 모듈(44) 양자가 상기 기지국(66)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7에 도시된다. 도 7에 있어서, 송신기 모듈(74)은 기지국(76)에 위치하지만, 계산 모듈(43)은 RNC(71)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명령 신호(79)는 상기 RNC(71)로부터 상기 기지국(76)으로 진행한다. 물론, 전송 신호(72)는 상기 기지국(76)으로부터 이동 장치(70)로 진행한다.
비록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베스트 모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형태에서 상기 및 다양한 다른 변경들, 생략들 및 추가들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3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절한 전송 전력 및 비트율을 구비하는 전송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입력 매개변수 신호(47)에 응답하여, 계산된 전송 전력 및 계산된 전송 비트율을 나타내는 크기를 구비하는 명령 신호(39)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계산된 전송 비트율 및 상기 계산된 전송 전력은 유도 간섭 및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비용 함수를 최소화하도록 선택된 크기들을 구비하는 단계; 및
    상기 명령 신호(39)에 응답하여, 상기 계산된 전송 비트율 및 상기 계산된 전송 전력을 구비하는 상기 전송 신호(22)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은 개방 루프 전력 제어 시스템(28)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함수는 상기 유도 간섭 및 상기 전송 지연의 선형 함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방송 매개변수 신호(24)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신호(22)는 이동 장치(20)로부터 기지국(26)으로 전송되며, 상기 방송매개변수 신호(24)는 상기 입력 매개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크기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매개변수 신호(47)는 상기 방송 매개변수 신호(24)에 응답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매개변수 신호(47)는 경로손실(L) 및 전체 간섭(I)을 곱(L·I)으로서 포함하는 입력 매개변수들을 나타내는 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매개변수들은 또한 최대 지연(D), 최대 전력(P), 에브노 값(E)(ebno value), 칩 속도(C)(chip rate), 및 패킷 크기(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율(b)은
    에 의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p)은
    에 의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신호(22)는 기지국(36)으로부터 이동 장치(30)로 전송되고, 상기 전송 신호(22)의 전송 전력 및 비트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 신호(22)를 전송하기 전에 경로손실 및 간섭의 곱이 근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전송 비트율 및 전송 전력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1)에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경로손실 및 간섭의 곱은 상기 이동 장치(30)로부터의 측정 보고 신호(35)를 사용하여 근사되고, 상기 측정 보고 신호(35)는 측정된 신호 대 간섭비를 나타내는 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경로손실 및 간섭의 곱은 섹터내의 다른 활동 사용자들을 통계적으로 조사함으로써 근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경로손실 및 간섭의 곱은 상기 이동 장치(30)가 섹터의 외부로부터의 간섭이 상기 섹터의 내부로부터의 간섭의 고정 비율인 섹터내에 위치한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프레임 오류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에브노 값을 증가시키고, 프레임이 올바르게 수신되는 경우 상기 에브노 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신호 제공 방법.
  1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절한 전송 전력 및 비트율을 구비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계산된 전송 전력 및 계산된 전송 비트율을 나타내는 크기를 구비하는 명령 신호(39)에 응답하여, 상기 계산된 전송 비트율 및 상기 계산된 전송 전력을 구비하는 전송 신호(22)를 제공하기 위한 송신기 모듈(44); 및
    입력 매개변수 신호(47)에 응답하여, 상기 명령 신호(39)를 제공하기 위한 계산 모듈(43)로서, 상기 전송 비트율 및 상기 전송 전력은 유도 간섭 및 전송 지연을 나타내는 비용 함수를 최소화하도록 선택된 크기들을 구비하는 계산 모듈(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개방 루프 전력 제어가 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용 함수는 상기 유도 간섭 및 상기 전송 지연의 선형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방송 매개변수 신호(51)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매개변수 신호(47)를 제공하기 위한 매개변수 저장 모듈(5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 모듈(44), 상기 매개변수 저장 모듈(55) 및 상기 계산 모듈(43)은 이동 장치(50)에 위치하고, 상기 방송 매개변수 신호(51)는 상기 입력 매개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매개변수 신호(47)는 경로손실(L) 및 전체 간섭(I)을 곱(L·I)으로서 포함하는 입력 매개변수들을 나타내는 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매개변수들은 또한 최대 지연(D), 최대 전력(P), 에브노 값(E)(ebno value), 칩 속도(C)(chip rate), 및 패킷 크기(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율(b)은
    에 의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전력(p)은
    에 의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모듈(44)은 기지국(66)에 위치하고, 상기 계산 모듈(43)은 상기 전송 신호(22)의 전송 전력 및 비트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경로손실 및 간섭의 곱을 근사 계산하도록 프로그램되고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 모듈(43)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71)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경로손실 및 간섭의 곱은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의 측정 보고 신호(65)를 사용하여 근사되고, 상기 측정 보고 신호(65)는 측정된 신호 대 간섭비를 나타내는 크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경로손실 및 간섭의 곱은 섹터내의 다른 활동 사용자들을통계적으로 조사함으로써 근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경로손실 및 간섭의 곱은 상기 이동 장치가 섹터의 외부로부터의 간섭이 상기 섹터의 내부로부터의 간섭의 고정 비율인 섹터내에 위치한다는 가정에 기초하여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29. 제21항에 있어서, 프레임 오류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에브노 값은 증가되고, 프레임이 올바르게 수신되는 경우 상기 에브노 값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3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장치.
KR10-2003-7008878A 2001-01-02 2001-12-31 개방 루프 전력 제어 및 비트율 선택 방법 KR100537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53,213 2001-01-02
US09/753,213 US6778839B2 (en) 2001-01-02 2001-01-02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ssion power selection and bit rate selection for channels with open loop power control
PCT/IB2001/002715 WO2002054622A1 (en) 2001-01-02 2001-12-31 Method for open loop power control and bit rate sel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6243A true KR20030096243A (ko) 2003-12-24
KR100537988B1 KR100537988B1 (ko) 2005-12-20

Family

ID=25029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878A KR100537988B1 (ko) 2001-01-02 2001-12-31 개방 루프 전력 제어 및 비트율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778839B2 (ko)
EP (1) EP1348262B1 (ko)
JP (1) JP3722801B2 (ko)
KR (1) KR100537988B1 (ko)
CN (1) CN1254929C (ko)
AT (1) ATE364935T1 (ko)
BR (1) BR0116595A (ko)
CA (1) CA2431879C (ko)
DE (1) DE60128957T2 (ko)
WO (1) WO2002054622A1 (ko)
ZA (1) ZA2003046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9471A (ja) * 2000-03-07 2001-09-14 Fuji Denki Gazo Device Kk 電子写真用感光体
US7349712B2 (en) * 2001-01-31 2008-03-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s system with transmitting power control and method for the same
DE10107850A1 (de) * 2001-02-16 2002-09-05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Netzwerk mit einer Anpassung des Modulationsverfahrens
FR2824685B1 (fr) * 2001-05-14 2003-10-03 Evolium Sas Procede pour fixer des parametres d'adaptation de debit specifiques a chaque service dans 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US7171229B2 (en) * 2001-10-31 2007-01-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operating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30109261A1 (en) * 2001-12-11 2003-06-12 Javad Razavilar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al rate (PHY mode) control in wireless modems with variable bit rate (VBR) capability
EP2161959A1 (en) * 2002-11-26 2010-03-1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Bias error compensated initial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data services
JP2004207840A (ja) * 2002-12-24 2004-07-22 Nec Corp 無線リソース管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管理装置、基地局及び端末
CN1745598A (zh) * 2003-01-29 2006-03-08 日本电气株式会社 无线电通信系统、基站设备、下行传输定向特性控制方法
US7493133B2 (en) * 2004-02-05 2009-02-17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in ad-hoc wireless networks
JP2007526724A (ja) * 2004-03-04 2007-09-13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アレス・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低データ・レート・トラフィックの早期打ち切り
US20050195849A1 (en) * 2005-03-03 2005-09-08 Amol Rajkotia Early termination of low data rate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GB2426150B (en) * 2005-05-12 2007-09-19 Roke Manor Research A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US7813753B2 (en) * 2006-02-27 2010-10-1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in communication systems
US8284793B2 (en) 2006-02-27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Backoff control for access probe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s
JP4814734B2 (ja) * 2006-09-06 2011-1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装置
US8565103B2 (en) 2006-12-12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Load determination in wireless networks
US20090303888A1 (en) * 2007-05-03 2009-12-1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wireless networks through feedback and adaptation
US8200270B2 (en) * 2007-08-20 2012-06-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for adusting power at a node
US7899483B2 (en) * 2007-10-08 2011-03-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distributed outer loop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8107387B2 (en) * 2008-03-25 2012-01-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to operate a wireless network having a predictable and stable performance
US9094979B2 (en) * 2008-05-16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Load balanc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65683B2 (en) 2008-08-07 2012-09-11 Qualcomm Incorporated Two-tier random backoff and combined random backoff and transmit power control in wireless networks
US8320269B2 (en) * 2008-11-18 2012-11-27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Scalable delay-power control algorithm for bandwidth sharing in wireless networks
US8340586B2 (en) 2008-11-19 2012-12-25 T-Mobile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for variable link conditions
KR101530218B1 (ko) * 2008-11-26 201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률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36382B1 (ko) * 2009-09-28 2016-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셀 통신 시스템 또는 다중-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스케쥴링 및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위한 장치
CN102665242B (zh) * 2012-05-28 2014-07-09 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初始接入时选择amr语音编码速率的方法及设备
US9473271B2 (en) * 2012-05-31 2016-10-18 Mediatek Inc. Telecommunications methods for increasing reliability of early termination of transmission
US11838873B2 (en) * 2021-04-15 2023-12-05 Nokia Technologies Oy Altitude-aware energy saving methods and apparatus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7031A (en) 1997-08-29 2000-12-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selecting a combination of modulation and channel coding schemes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JP3904716B2 (ja) 1998-03-10 2007-04-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dma移動通信システム
EP0986282B1 (en) 1998-04-17 2002-09-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rate
US6546252B1 (en) * 1998-12-18 2003-04-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interfrequency measurements used for radio network function
US6539213B1 (en) * 1999-06-14 2003-03-25 Time Domai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ulse radio power control
US6473467B1 (en) * 2000-03-22 2002-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high efficiency, high performance communications system
US6603797B1 (en) * 2000-03-22 2003-08-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Outer loop/weighted open loop power control in a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system
US7016332B2 (en) * 2000-12-05 2006-03-21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remote downlink transmitter for increasing the capacity of a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limited spread-spectrum wireless network
US6898192B2 (en) * 2000-12-29 2005-05-24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ast forward link power control during variable rate operation of CDMA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22801B2 (ja) 2005-11-30
EP1348262B1 (en) 2007-06-13
CN1531785A (zh) 2004-09-22
CN1254929C (zh) 2006-05-03
DE60128957T2 (de) 2008-02-14
EP1348262A1 (en) 2003-10-01
ZA200304649B (en) 2004-08-03
CA2431879C (en) 2007-04-17
US6778839B2 (en) 2004-08-17
KR100537988B1 (ko) 2005-12-20
WO2002054622A1 (en) 2002-07-11
BR0116595A (pt) 2006-02-21
DE60128957D1 (de) 2007-07-26
US20020128031A1 (en) 2002-09-12
CA2431879A1 (en) 2002-07-11
JP2004517548A (ja) 2004-06-10
ATE364935T1 (de) 2007-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988B1 (ko) 개방 루프 전력 제어 및 비트율 선택 방법
US7483404B2 (en) Power control for mobile station in a CDMA-TDD system
US939854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gain factors for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power
US7274947B2 (en) Bias error compensated initial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data services
US7769391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RU2388147C2 (ru) Внешний контур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передачи для f-dpch
US20070173281A1 (en) Adjustment of target signal-to-interference in outer loop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6879813B2 (en) Link-quality estimation method and components for multi-us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60026899A (ko)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방법
JP2006304355A (ja) 無線通信送信電力のゲイン係数(gainfactors)を決定する装置および方法
Shin et al. Pathloss-aided closed loop transmit power control for 3G UTRA TD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