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5652A -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 - Google Patents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5652A
KR20030095652A KR1020020032950A KR20020032950A KR20030095652A KR 20030095652 A KR20030095652 A KR 20030095652A KR 1020020032950 A KR1020020032950 A KR 1020020032950A KR 20020032950 A KR20020032950 A KR 20020032950A KR 20030095652 A KR20030095652 A KR 20030095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ulsion
pipe
opening
tub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명일
박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20032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5652A/ko
Priority to JP2002376942A priority patent/JP3795859B2/ja
Publication of KR20030095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65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6Making by using a driving shield, i.e. advanced by pushing means bearing against the already placed li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5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by forcing prefabricated elements through the ground, e.g. by pushing lining from an access p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에 관한 것으로서, 관추진 공법에 사용되는 추진관에 있어서, 추진관(100)은 측면에 개구(140)가 형성되고, 개구(140)에 착탈 가능하도록 덮개(150)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관추진 공법에 의해 다수의 추진관을 압입 추진하여 터널을 완성후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분기를 추가로 설치시 필요한 최소의 작업공간에서 최소의 지역만을 굴착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인근 작업 지역의 민원을 감소시키며, 작업에 따른 지하에 매설된 추진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PROPULSION PIPE FOR USING A PIPE PROPULSION TECHNIQUE}
본 발명은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추진 공법에 의해 다수의 추진관을 압입 추진하여 터널을 완성후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분기를 추가로 설치시 필요한 최소의 작업공간에서 최소의 지역만을 굴착하여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에 따라 전기통신구, 상하수도, 철도, 도로, 도시가스 등 각종 기반시설의 수요가 증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 등은 지하 공간의 활용 및 시설물 자체의 보호를 위해 지하에 매설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하 매설을 위한 공법의 기술향상과 이를 실시하는 시공장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환경보존, 지하 시설물의 안정성 및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복잡한 현장여건 속에서 지하 시설물의 매설에 따른 도심지 교통소통 및 먼지 발생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하면서 지하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공법이 관추진 공법으로 세미실드(semi-shield) 공법이라고도 한다.
관추진 공법은 세미실드머신이라는 강재 원통형의 굴진기를 수직 작업구 내에 투입시켜 굴진기 선단부에 장착됨과 아울러 롤러 커터 및 스크레이퍼 비트를 구비한 토사 굴착용 커터 헤드(cutter head)를 회전시켜서 지반을 굴착하고 각종 보조공법으로 막장면의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굴진기 후방부에 설치된 추진관을 유압잭키로 압입하여 추진시키면서 설치하는 것을 반복하여 터널을 굴착한다.
종래의 관추진 공법에 사용되는 추진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10)은 콘크리트(11)의 내부에 주철근(12)과 보강철근(13)을 배근하여 형성한 원통형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추진관(10)은 유압잭키(미도시)로 압입 추진시 추진관(10)과 추진관(10)의 서로 마주 보는 끝단을 매립칼라(20)로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터널의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연결되어 지하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추진관(10)은 터널을 굴착하여 완성후 일정 구간을 수직으로 굴착하여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분기를 추가 설치해야 할 경우에 추진관(10)상에 천공이 불가능하므로 해당 구간에 위치하는 추진관(10)을 들어 올려야 한다. 따라서,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분기를 추가로 설치하는데 필요한 공간보다 추진관(10) 하나에 해당하는 넓은 작업공간을 요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넓은 지역을 굴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 지역의 민원이 증가되며, 추진관(10)을 들어올릴 때 나머지 다른 추진관(10)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추진 공법에 의해 다수의 추진관을 압입 추진하여 터널을 완성후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분기를 추가로 설치시 필요한 최소의 작업공간에서 최소의 지역만을 굴착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인근 작업 지역의 민원을 감소시키며, 작업에 따른 지하에 매설된 추진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추진 공법에 사용되는 추진관에 있어서, 추진관은 측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추진관 110 ; 콘크리트
120 ; 주철근 130 ; 보강철근
140 ; 개구 150 ; 덮개
160 ; 씰링부재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100)은 콘크리트(110)의 내부에 주철근(120)과 보강철근(130)을 배근하여 형성한 원통 형상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고, 측면에 개구(140)가 형성되며, 개구(140)에 덮개(1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개구(140)는 원형이나 사각형 그 밖에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추진관(1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개구(140)는 내주면에 걸림턱(141)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덮개(150)가 삽입 장착된다.
덮개(150)는 외주면이 개구(140)의 내주면과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즉, 덮개(150)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미도시의 돌출부가 걸림턱(141)에 걸려서 개구(140)에 삽입 장착된다.
한편, 덮개(150)는 개구(140)에 삽입 장착된 후 그 외주면의 돌출부와 개구(140)의 걸림턱(141)이 볼트(B)에 의해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140)에는 그 내주면에 씰링부재(160)가 설치된다.
씰링부재(160)는 일정한 탄력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씰링부재(160)에 의해 개구(140)와 덮개(150)의 결합부위가 밀폐됨과 아울러 추진관(100)이 추진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덮개(15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종래의 추진관(10)을 매립칼라(20)에 의해 계속 연결시켜 유압잭키(미도시)로지하에 압입 추진함으로써 터널을 완성시켜 나간다. 이 때,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분기를 추가 설치해야 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종래의 추진관(10) 사이에 본 발명의 추진관(100)을 삽입시켜서 종래의 추진관(10)과 함께 유압잭키(미도시)로 압입 추진시킨다.
터널이 완성되면,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분기를 추가 설치해야 하는 지점을 추진관(100)의 덮개(150)가 노출될 때까지 수직으로 굴착하며, 이 때, 추진관(100)을 들어 올리기 위한 면적에 해당하는 넓은 지역을 굴착할 필요없이 덮개(150)를 추진관(100)의 개구(1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범위의 면적만을 굴착한다.
덮개(150)가 노출되면 볼트(B)를 풀어 추진관(100)의 개구(110)로부터 덮개(150)를 분리한 후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분기를 추가 설치한다.
씰링부재(160)는 추진관(100)의 개구(140)와 덮개(150)의 결합부위를 밀폐함과 동시에 추진관(100)의 추진시 발생되는 진동으로부터 덮개(150)에 미치는 충격을 차단시킨다.
한편, 추진관(100)은 이처럼 비개착식 공법뿐만 아니라 개착식 공법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개착식 공법에 의해 지하에 추진관(100)을 연결하여 매설후 필요에 따라 개구(140)를 통해 용이하게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분기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추진 공법에 의해 다수의 추진관을 압입 추진하여 터널을 완성후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분기를 추가로 설치시 필요한 최소의 작업공간에서 최소의 지역만을 굴착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인근 작업 지역의 민원을 감소시키며, 작업에 따른 지하에 매설된 추진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은 관추진 공법에 의해 다수의 추진관을 압입 추진하여 터널을 완성후 케이블을 연결시키거나 분기를 추가로 설치시 필요한 최소의 작업공간에서 최소의 지역만을 굴착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고, 인근 작업 지역의 민원을 감소시키며, 작업에 따른 지하에 매설된 추진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관추진 공법에 사용되는 추진관에 있어서,
    상기 추진관은 측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덮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와 상기 덮개와의 결합부위를 밀폐시키는 쌀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
KR1020020032950A 2002-06-12 2002-06-12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 KR20030095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950A KR20030095652A (ko) 2002-06-12 2002-06-12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
JP2002376942A JP3795859B2 (ja) 2002-06-12 2002-12-26 管推進工法用推進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950A KR20030095652A (ko) 2002-06-12 2002-06-12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652A true KR20030095652A (ko) 2003-12-24

Family

ID=31185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950A KR20030095652A (ko) 2002-06-12 2002-06-12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95859B2 (ko)
KR (1) KR200300956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691B1 (ko) 2022-01-06 2022-03-15 (주)대원콘크리트 레진관 성형틀의 소켓플랜지 및 단부켓칭플랜지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 제작된 레진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8258B2 (en) * 2013-08-08 2020-03-31 Tanaka Kikinzoku Kogyo K.K. Catalyst for solid polymer fuel cell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4691B1 (ko) 2022-01-06 2022-03-15 (주)대원콘크리트 레진관 성형틀의 소켓플랜지 및 단부켓칭플랜지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성형 제작된 레진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19435A (ja) 2004-01-22
JP3795859B2 (ja) 200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23065B (zh) 加固装置及富水砂砾地层中深基坑局部冷冻加固施工方法
KR100656194B1 (ko) 터널공법을 적용한 개착식 공법
KR20100115019A (ko) 지하연속벽 시공용 패널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CN111853418B (zh) 一种用于管道修复的施工方法
CN105822311A (zh) 内部开口增加作业面的特大断面隧道原位扩建施工结构及施工方法
KR100877452B1 (ko) 쓰리아치 굴착 터널의 중간벽체 시공 방법
CN110565686A (zh) 管廊下穿河道的施工方法
KR20030095652A (ko) 관추진 공법용 추진관
KR100217845B1 (ko) 비개착의 지하에 구조물의 새로운 축조 방법
JP7357517B2 (ja) 推進工法を用いた管路構築工法
CN109868881B (zh) 一种雨污水管道内衬修复机构的修复方法
KR100701885B1 (ko) 비개착 관로 건설공법
CN112228121A (zh) 一种适用于巷道腐蚀性水质注浆堵水加固结构
CN111648773A (zh) 一种与中心城区既有地下结构连通的联络通道施工方法
KR20210002947A (ko) 양면 반원아치형 선도관과 이를 이용한 비개착 터널 구조물 및 그의 시공 방법
JPH11247591A (ja) 推進装置を用いた地中構造物間接合方法
CN217681552U (zh) 一种用于处理小规模路基病害的冲击式挤密杆
KR100888858B1 (ko) 추진관
CN215949485U (zh) 一种顶管施工临时封门结构
CN216665625U (zh) 一种对排土系统
CN220910657U (zh) 一种燃气管道用水平管幕防护结构
JP4587219B2 (ja) 既設コンクリート管更新用圧気掘進機とそれを用いた既設コンクリート管の更新工法。
JP3401177B2 (ja) 管渠更新シールド掘削機
CN118065430A (zh) 一种沉管隧道与盾构隧道的施工方法及结构
JP2006152680A (ja) シールドトンネルの接合工法及びその工法によるシールドトンネル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